3편입니다.

 

====================================================================================

 

트릭을 배우는 순서 편

 

스노우 보드 자체가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트리커만을 위한 스포츠기 때문에(ㅋㅋ)

FS180 이나 360과 같이 정확한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트릭도 있지만

일정 레벨을 넘어가면 몬토야 360과 같이 어떤 틀에 맞춰서 이름을 붙이기가

어려운 기술들이 있다. 굳이 붙이면 노즈 180 테일 프레스 아웃;;

 

본 글은

이런 일정레벨을 넘어가는 기술이 아닌

이름을 명확하게 붙일 수 있는 기술중

 

필자가

트릭을 연습하면서 만약에 나의 수제자가 있으면 가르쳐 주고 싶었던

순서를 것들을 정리한 것이다.

 

 

 

우선 트릭은 세가지 회전, 프레스, 응용으로 구분하고 싶다.(개인적으로;;;)

 

  회전-FS(프런트싸이드)180,360,BS(빽싸이드)180,360과같이회전하는것을말함.

  프레스 - 노즈, 테일 프레스, 버터링을 말함.

  응용 - 일명 몬토야, 레이티드 360과 같이 연결 또는 응용된 트릭을 말함.

 

 

  

위의 구분 중 회전과 프레스를 중심으로

간단하게 본인이 수제자(직장인 가정)에게 가르쳐주고 싶은 순서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본다.

 

 

 

널리180(FS, 스위치포함) -> 널리360(FS) -> 테일프레스 -> 노즈프레스 ->

버터링(스위치 포함) -> 펌핑 -> 펌핑 시프티 -> 펌핑180(FS,BS스위치포함)->

알리180(FS,스위치포함)->알리360->BS360 -> 응용 및 연결 트릭

 

 

 

위 순서는 당연히 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트릭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트릭을 시작함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바로 360을 돌리려고 노력한다.

간혹 필자에게 초보가 360을 가르쳐 달라고 하면 꼭 물어보는 질문이 있다.

(인간 관계상 거절은 못한다. 술이라도 얻어 먹을라믄~ㅋㅋ)

 

 

트릭을 제대로 배우고 싶으냐? 아님 이 기술만 배울꺼냐

 

 

만약 제대로 배우고 싶다면 180을 먼저 연습하라고 하지만..

스위치로 랜딩해야 되는 180의 부담으로 거의 스위치 라이딩을 연습하라고 한다.

 

반대의 경우도 거의 초보기 때문에 가르쳐줘도 못따라한다.. 해도 간지는 안난다;;;

 

 

 

필자 알리180/360의 안정감 때문에 선호하는 트릭이었으나

몬토야 간지완성 연습하던 어느날...

 

'모든 트릭의 궁극의 기본은 노즈 180이구나'를

깨닫고 미천한 180실력에 좌절한 날이 있었다

 

아마 많은 트리커들이 처음 트릭을 배우면서 하는 가장 큰 실수는

노즈 180의 중요성을 모른다는 것인다.

(아닐수도있다왜냐난혼자탔으니깐;;트리커와교류)

 

 

 

노즈 180

알리와 같이 진행방향의 반대로 몸을 땡겨오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진행방향으로 던지면서 완성하는 트릭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음 동작을 하기 쉽다.

 

만약 몬토야 360을 돌리는데 시작을 알리로 한다면 불가능 하거나

아마 엄청나게 힘들 것이다.

 

즉 노즈180

알리에 비해서 응용트릭시 다음 동작에 대해 반박자 ''고 들어가기 때문에

응용트릭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트릭을 하더라도

간지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주로

스위치 라이딩의 정도와

(스위치 라이딩이 자신이 있을 수록 자신있게 트릭을 할 수 있기 때문)

노즈 180의 숙련도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또는 생각한다)

 

결국 완벽한 노즈180으로 몸을 빵 띄우는 것이야 말로

꽃간지 트릭의 기본이자 정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 완벽한 노즈 180은 무엇이냐...

 

이미 좀 꽃트리커 분들은 아시겠지만

노즈 180도 숙련도와 스타일에 따라서 정말 다르다.

이 미묘한 숙련도와 스타일에 따라서

단순한 노즈 180이냐 꽃간지 180이냐가 나누어진다.

 

그러나 이런 스타일과 숙련도를 고려하지 않고

내가 제자에게 원하는 완벽한 노즈180

폴라인을 정확하게 180도를 돌리며, 높이는 무릎에서 허리정도이다.

 

얼마나 자신있게 노즈를 박아 몸을 날리고

안정감 있게 날아가 착지함에 따라서

응용 트릭시 꽃간지가 피어나느냐 마느냐가 판단된다고 하여도 무방하다.

 

 

 

그 다음에 중요한 트릭을 뽑자면 노즈, 테일 프레스와 버터링이다.

이 트릭은 그닥 간지도 안나고, 프레스 즉 눌러준다는 특성 때문에

엄청난 체력이 필요해서 기피하는 트릭이다.

 

하지마 위 트릭의 중요성은 응용트릭(연계트릭)들에서 나타난다.

응용트릭들 잘 보면결국 트릭과 트릭의 연결동작이다.

 

두개의 다른 트릭을 자연스럽게 하나로 합쳐주는 트릭이 바로 프레스 트릭들이다.

 

 

 

마지막 중요 트릭은 펌핑 시프티다.

(개인적으로 트릭의 끝이라 생각하는 레이티드 360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시프티는 무미 건조할 수 있는 단순한 펌핑 트릭들을

우아하게 만들어주는 추임세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시프티를 넣어주는 방법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어떤식에 시프티를 어떻게 하라는 말을 하지는 않겠다.(할 수도 없다;)

 

하지만 스프티에 대한 감을 위해서 끄적이자면

자신이 BS180시 데크를 반대로 돌려 시프티로 추임세를 주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즉 회전의 방향과 카운터 로테이션을 넣어주는 것

(이 부분은 아직 필자도 부족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부분이자 꽃트릭을 연습하는데 시간을 세이브하며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노하우를 적으면서 마무리를 해본다.

 

 

 

필자 글을 쓰면서 제자가 있다면 그것도 직장인이라 가정을 했다

여기에 이 글의 목적이 살표시 숨어 있다.

 

솔직히 이 글을 읽는 사람 중 보드가 업인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아마 업인 사람은 이런 허접한 글을 읽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면 외 필자는 제자가 직장인이라 가정하며 이런 말을 했는가

 

이는 우리가 일반인으로 시간이 없기 때문에

주말에 북적거리는 리프트를 기다리면서 꽃간지 트릭연습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이고 핵심적으로 트릭을 연습하는 것이

체력, 정신 건강에 좋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가장 효율적이고 핵심적으로 트릭을 연습하는 방법이 무엇이냐!

 

 

 

혼자 타는 것이다!!!!!!!!!!!!!!(이것은 정수~~ㅋㅋㅋ)

 

 

 

트릭은 직선으로 내려가는 보드를 특정방향으로 돌려 꽃간지를 피우는 것이다.

 

여기서 포인트는 특정 방향이라는 것이다.

 

 

돌리다 보면 사람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방향이 생기기 마련이다.

 

필자의 경우 레귤러시 FS를 선호하며 구피시 BS를 선호한다.(반대는 거의 못한다;;)

잘 생각해봐라

필자는 한방향으로 도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다.

 

우리는 프로가 아니기 때문에

양방향으로 완벽에 가까운 트릭을 구사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연습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겠다.

 

 

 

처음 나열한 순서에 약간 위배되는 말이지만

우린 자유를 추구하는 꽃트리커기 때문에 이해해 주리라 믿는다.

(위의 순서는 제대로 배운다는 가정으로 FM이다.)

 

 

 

트릭을 연습함에 있어서 우선 자신이 선호하는 방향을 찾는다.

예를들어 레귤러 FS180이다 라면 다음에 무엇을 연습해야 될까?

 

답은 레귤러 FS버터링 또는 구피 BS.

 

 

 

그럼 왜 이렇게 연습을 해야되는가?

 

응용 트릭은 거의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여러 트릭을 연결하는 것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는 트릭들을 마스터 하고

이를 연결함으로 응용트릭에 쉽게 접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걸 보면서 당연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잘 생각해봐라

자신은 어떻게 어떤 순서로 트릭들을 연습을 했었는지

아마 기억이 나지 않거나 대충 땡기는 트릭으로 했을 것이다.

 

 

필자는 아마 알리 180, 360 -> 버터링 -> 노즈블런트 -> BS180으로 배웠다.

자 그럼 필자가 선호하는 트릭인 몬토야360은 언제 배울 수 있는가?

 

4개 트릭을 배운 후인 노즈블런트가 끝난 시점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다;;;

1개 배우기도 쉽지 않은데 4개를 배워야 할 수 있다니

한 방향으로 도는 것을 고려하고 배웠으면

2~3개 배우고 나서 충분히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위 순서와 한방향을 고려해서 트릭을 배우면 응용트릭(연계트릭)

배움에 있어서 다른사람들 보다 훨씬 빠르다는 답이 나온다.

 

그러니 트릭을 배움에 있어서 자신이 어떤 방향을 선호하고

어떤 트릭을 연습해야 되는지 순서를 꼭 생각해보기 바란다.

 

 

 

그럼 꽃보드복을 고르는데 여념없는 보더들에게

거지차림으로도 꽃간지 트릭을 보여주는 그날까지 Let's trick!!!

 

 

 

 

PS - 여름이 되면 한 번씩 보드를 사무치게 그리워하며 버닝하는 날들이 있다.

     주로 힘들 날들이면 그러곤 하는데요즘이 딱 그런거 같다.

     언젠가 마음 맞는 사람들과 슬룹에서

     외박나가는 군인마냥... 소풍나온 아이마냥...

     뛰노는 그날을 그리면서 적어본다.

엮인글 :

라랄라랄라

2013.03.13 11:31:45
*.115.162.194

나중에 트릭 연습하게 되면 꼭 이렇게 해야겠어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697 장비 관련 슬로프를 통해 본 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 file [45] leeho730 2013-03-15 10 5568
2696 장비 튜닝 바인딩의 어쩌면 불편한 진실(?) [27] 레드미라지 2013-03-13 7 4524
2695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94 절약법 휴대폰 광각렌즈~ file [6] TrustMe 2013-03-12 1 3199
2693 장비 튜닝 엣지 녹안슬게 하는 방법 중 간단한 방법 중... [13] 알리알리짱 2013-03-08 10 4559
2692 장비 튜닝 보관왁싱을 해야하는 이유 file [7] Nieve5552 2013-03-08   4143
2691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0
2690 기술(테크닉) 트릭 연습방법 - 응용트릭 편(연계기) [2] 성게군~ 2013-03-07 3 3383
2689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트릭마스터 노하우 [7] 성게군~ 2013-03-07 7 3699
»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연습순서 [1] 성게군~ 2013-03-07 6 5809
2687 기술(테크닉) 트릭연습-이미지 트레이닝 [1] 성게군~ 2013-03-07 8 3722
2686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트릭(인트로) [1] 성게군~ 2013-03-07 6 4753
2685 기타 슬로프를 통해 본 국내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8] boarderboarder 2013-03-04 6 3220
2684 일반 Your choice! : 된밥? or 진밥!! [9] guycool 2013-02-27   1428
2683 일반 페달링에 관해... 카시라이딩에 관한거에요 [21] 파랭이최고다 2013-02-25 10 2991
2682 장비 튜닝 스크래퍼 블래이드 자작기 (허접 주의) file [8] 인도유랑 2013-02-21 1 1856
2681 기타 나만의 장비보관걸이 쉽게 만들기 file [29] 사부 2013-02-21 7 2872
2680 기타 라이딩 위주 바인딩 각도 평균값 file [11] 카빙낙엽 2013-02-20 3 9381
2679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트 , 업 언웨이트 의 구별에 대하여 [22] 알리알리짱 2013-02-16 6 3132
2678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2) file [2] leeho730 2013-02-15 1 1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