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게시판 이용안내]

음식과 약의 궁합

-약 복용시 가급적 피해야 할 음식-

>

궁합이 안 맞으면 명약도 독약이 된답니다.

우리 각자의 몸과 궁합이 맞는 음식이 있다고 하듯이 약과 음식에도
궁합이 있다고 합니다. 약효와 안정성이 입증된 "명약"이라도
어울리지 않는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약효는 고사하고 예기치 않은
부작용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정청은 최근 약품의 성분에따라 궁합이 맞는
식습관과 음주습관 등을 발표해 여러 대표님들과 같이 나누고 싶어
자유로운 글로 옮겨드립니다. 이에 따르면 특정 약물에따라
함께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을 잘 아는 것이질병치료의 지름길인
셈입니다.

약이 독이 되지않게 하려면 음식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자주 복용하는 의약품과 밥상에 흔히 오르는 음식의
궁합을 식품의약품안정청 자료를 바탕으로 소개합니다.

>

* 항생제

세균(박테리아)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는 우유, 술, 커피와
상극이랍니다. 항생제는 식사 한시간 전이나 두시간 후, 즉 공복상태에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좋답니다.

그러나 위장 장애가 나타나면
적당한 음식과 함께 복용을 권합니다.

>

*해열진통제

경미한 통증부터 중간 정도의 통증을 완화하고 열을 내리는데 사용하는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등은 나쁜 음식은 없지만 술과는 상극이랍니다.
이런 약은 간 손상과 위장관 출혈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하게되면 이러한 부작용의 위험성이
증대 될 수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약물을 복용할 때는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평소에 알코올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반드시 상담해야 한답니다.

>

*소염진통제

아스피린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를 자극 할 수
있으므로 음식이나 우유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오히려 좋답니다.

그러나 여러 성분이 든 복합진통제는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드링크류 등을
너무 많이 마시면 카페인 과잉상태가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므로 주의해야 한답니다.

*칼슘보충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복용하는 칼슘 보충제 복용시 커피, 콜라, 홍차 등
카페인을 많이 함유하는 음료는 신장에서 칼슘배설을 증가시켜 골다공증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삼가하는 것이 좋답니다.

또한 탄산음료에는 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뼈의 칼슘을 빼내는
작용을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고지방 식이도 칼슘의 흡수를
저하시키고 칼슘배설을 증가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골다공증 환자는 하루 1000-1500mg의 칼슘, 비타민-D가 많이 든 간,
생선 또는계란 등을 많이 섭취하고 햇빛을 자주 쬐는 것이 좋답니다.

>

*위장약

속쓰림, 소화불량 등에 복용하는 위장약은 카페인, 오렌지쥬스 등과
상극이랍니다. 위산분비를 줄여주는 히스타민 억제제는 커피, 콜라, 차,
초콜렛 등에 함유된 카페인 때문에 위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알루미늄 성분이 함유된 제산제와 오렌지쥬스를
함께 먹으면 아루미늄 성분이 체내로 쉽게 흡수될 수 있으므로 함께
복용해서는 안된답니다.

알루미늄 성분이 체내에 많이 쌓이면
알츠하이머 병에 쉽게 걸린다는 연구보고도 있어 그 이유때문에
알루미늄 식기나 조리기구를 가급적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랍니다.
과일쥬스, 콜라 등도 위의 산도를 높여 약효를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

*변비약

변비약은 우유와 상극이랍니다.

변비약은 대장에서 약효를 내기 때문에
산성상태의 위장에서 용해되지 않도록 코팅을 하는데 약알칼리성 우유는
위산을 중화시켜 변비약의 코팅을 손상시키므로 약효도 내기전에
녹아 버린답니다.

이때 약효를 떨어드리면서 복통, 위경련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고혈압치료제

고혈압치료제는 처방약 성분에 따라 주의할 음식이 다르답니다.

심장 박동수와
심장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는 베타차단제는 소, 돼지, 닭고기와 상극이랍니다.

이 약을 고기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과다해져 어지럼증이나 저혈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공복시 복용하는 것이 좋다는군요.

>

*이뇨제

체액의 양을 줄여 혈압을 낮추는 이뇨제는 음식조절이 특히 중요하답니다.
성분중 치아지드, 고리 이뇨제는 알로에와 같이 복용하면 체내 칼륨양이
지나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피해야 된답니다.

치아지드계 이뇨제는 화학조미료 성분인 MSG의 작용을 증가시켜 두통,
어지럼증, 입주위마름, 가슴 배의 통증 등을 유발하므로 조리시
화학조미료 사용을 줄이랍니다.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조절하는 "ACE저해제", "칼륨보충 이뇨제" 등은
신장에서 칼륨배설되는 것을 억제해 체내 칼륨이 증가하는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나나, 오렌지, 푸른잎 채소 등 칼륨이 풍부한
음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그밖에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칼슘채널차단제는 자몽쥬스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지나치게
증가해 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피하도록 권합니다.

*고지혈증 치료제

중성 지방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고지혈증 치료제는 자몽쥬스, 술과
상극이랍니다. 자몽쥬스와 이 약을 함께 복용하면 혈중 농도가 증가하므로
중성지방 조절에 장애를 가져 온답니다.

고지혈증 약은 간손상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과도한 음주도 피하도록 권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정청> 자료 중에서

엮인글 :

더치베어

2013.12.05 08:21:55
*.111.214.44

참고해야겠네요^^

이하트

2013.12.05 09:43:49
*.241.16.11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붕어발통

2013.12.05 10:40:17
*.172.166.239

헉... 쇄골수술후 항생제랑 진통제 먹을때 우유먹었는데... ㅜ.ㅜ

으하암졸려

2013.12.05 10:59:09
*.228.93.224

소화잘안된느데 참고할께용~ㅎㅎ

올시즌카빙정벅

2013.12.05 11:47:11
*.214.166.183

기본적으로 우유랑 약은 같이 먹는게 아니래요

softplus

2013.12.05 22:05:01
*.181.105.15

변비약과 우유...ㅡ.,ㅡ;;;

베짱이`ㅡ`*

2013.12.09 08:00:15
*.187.173.22

약은 물과함께~

헬미♥

2013.12.31 15:30:05
*.55.115.17

감사합니다~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펀글게시판 이용안내] [13] RukA 2017-08-17 65553 9
14961 나라마다 같은듯 다른 도로표지판 file [9] 시게노고로 2013-12-06 399  
14960 아빠 미소 유발 [14] 펀글지기 2013-12-06 390  
14959 (19) 상남자의 카톡 [14] 펀글지기 2013-12-06 1411  
14958 화생방 [8] 펀글지기 2013-12-06 378  
14957 이럴땐 좀 멍해진다............... file [23] TheGazettE 2013-12-06 405  
14956 2013.12.06 오늘의 운세 (주5일이예요...ㅋ) file [9] sunny.J☆ 2013-12-06 368  
14955 어케이겨요? ㅋ [15] 메잇카 2013-12-06 378  
14954 외국녀가 보는 한국남자 file [28] 정여립 2013-12-05 906  
14953 러시아 돌아이 [17] 펀글지기 2013-12-05 383  
14952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12] 펀글지기 2013-12-05 548  
14951 열도의 베스트셀러 [16] 펀글지기 2013-12-05 412  
14950 치악산에서 생긴일 - 3 [1] 펀글지기 2013-12-05 409  
14949 수퍼히어로는 우리 주변에... [9] clous 2013-12-05 370  
14948 재미로 함 풀어보세요~ [12] 헬리코박터 2013-12-05 390 1
14947 친구와 연인이 같이 물에 빠졌을 때.. file [19] sunny.J☆ 2013-12-05 376  
14946 한글의 위대함 file [23] o(º㉦º)o 2013-12-05 1664  
14945 어깨 차징~ [20] clous 2013-12-05 443  
14944 2013.12.05 오늘의 운세 (닭님 가출하셨음 ㅠ_ㅠ;;) file [11] sunny.J☆ 2013-12-05 398  
» 음식과 약의 궁합 [8] 베토밴 2013-12-05 547  
14942 힘들고 어려 울 때 [9] 베토밴 2013-12-05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