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에 대한 개념과 거기에 따른 카빙의 결과에 대한 칼럼을 정독해서 읽어 보았습니다.

그 논리 관점으로 닥라 17번, 19번 라이더에 대한 아쉬운 점과 득표수에 대한 의문점을 이야기 하셨는데요..

더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서 논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아쉽더라구요

그래서 짧은 지식이지만 제가 아는 선상에서 이야기 해 보려 합니다.

 

1. 카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카빙은 본인이 낼수 있는 극한의 속도로 내려 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속도까지 컨트롤(가속, 감속) 가능한 주법입니다.

비로거님께서 이야기 하시는 카빙으로 장악력이 그 부분인데요 ... 보드에 몸이 실려서 속도가 나는게 아닌

라이더가 프레스와 기울기로 속도를 조절하는 주법이라는거지요

( 기울기가 생기면 카빙에서는 속도가 나고 프레스가 생기면 속도는 줄어드는 성향이 간단 요약이라고 보면 됩니다 )

데크 슬립이 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속도가 나지 않는다라는 부분은 라이더가 속도를 조절했다라는 의미구요.

이 부분에서 17번 라이더의 디지 하단 라이딩은 가속 된 속도를 제어해서 내려왔다라는 점에서 전 더 높은 점수를 주겠습니다.

오히려 토에서 한번 자세가 무너지고 그 부분이 가속으로 연결 되었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결론 : 가속에 대한 채점 기준이 아쉽습니다.

 

2. 크로스 오버 , 크로스 언더 , 크로스 쓰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발끝, 머리끝 , 몸의 중심(코어부분 또는 복부)으로 밸런스의 중심점을 이동하는 부분에 대해서 언급을 하지 않으셨는데요

17번 , 19번 모두 사면의 경사도와 설질의 상태를 고려해서 크로스쓰루로 라이딩을 전개 했습니다.

이 부분이 낮은 자세의 이유라고 보여지구요 . 결국 같은 상급 카빙을 전개한 것으로 보입니다.

17번의 경우 숏턴 전개 이전에 몇번 기울기가 들어간 상태에서 턴이 전개 된 부분은 리커버리 동작이므로

감정 요인이기 보다는 턴 크로스오버의 리커버리 동작으로 보여집니다.  그 결과물이 다음턴의 전개가

무리 없이 진해 되었다는 부분인걸로 보이구요 

결론 : 레이싱 대회에서도 선수의 리커버리 동작에 관객들이 열광합니다. 이유는 실패 될 상황을 헤쳐나갔기 때문이죠

자세가 항상 깔끔하면 좋겠으나 리커버리 역시 라이더 역량 중 중요한 하나로 보입니다.

 

3. 근력 프레스의 운용 부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관성 프레스 -> 근력 프레스까지 3가지 프레스를 중첩으로 쓰는 것에 대한 부분은 맞는 이야기지만 근력 프레스의 운용 부위는

허벅지 뿐만이 아닙니다. 크로스 오버 또는 크로스 언더 계열이면 맞는 말이겠지만 ,

크로스 쓰루 계열에서는 복부의 근력으로 프레스를 가압 , 감압 조절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이야기인데요 . 복부의 근력 프레스를 운용 하고 체축 밸런스가 확보 될 경우 양팔은 자유로와 집니다.

( 줄타기 묘기를 하는 사람들이 첨에는 팔을 휘적거리며 밸런스를 잡지만 , 밸런스가 확보 되면 손을 내려도 문제가 없죠 ,, 그리고 밸런싱이 완벽해 지면 오히려 위험해보이는 듯한 동작까지도 가능해지는거랑 같은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

그 관점에서 보면 17번의 팔동작은 의미없이 카빙을 방해하는 동작이 아닌 밸런싱이 확보 된 상태에서 리듬의 확보(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지휘봉) 또는 외력의 증가(계속 데크에 프레스를 주어서 설면에서의 Out of Control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동작으로 보입니다.

결론 : 팔동작과 카빙의 급수에 연관 관계는 크로스 쓰루 자세에서는 그닥 의미 없는걸로 보입니다. 차라리 어깨선이 더 중요한 체크 포인트가 아닐까요?  팔동작에 대한 언급은 어떤 기술 선수권 대회에서도 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데크와 턴 라인만 보는것만으로도 바쁠거 같습니다 ^ ^

 

맺음말

저 역시도 과도한 팔동작 , 로테이션 싫어하고 프레스 위주로 카빙을 운영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도한 기울기 자체도 빼버릴려고 노력 중이구요

비로거님 .....라이더의 라이딩을 바라볼때 단점만 본다면 그 사람의 장점을 취할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결과물에는 이유가 있는 것이고 그 이유에 대해서 편협하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직시라고 생각합니다.

직시를 할 수 있을때 올바른 발전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비로거님의 이론이 모두 틀린건 아니지만 결국 완벽한 이론에 도달하지는 못한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 사실 저도 완벽한 이론은 없습니다 ㅋㅋ )

엮인글 :

leeho730

2014.01.14 14:49:28
*.180.45.119

죄송하지만...


크로스 스루는 없었습니다...


크로스 스루 시에는 엣지 체인지 때에 무릎이 팍팍 구부려지는, 이른바 최대한 다운 상태가 됩니다...


이유는... 높은 경사의 강설에서 살아남을려구요... ㅠ.ㅜ


엣지 체인지 끝나자마자 엣징 최대한 빨리 그리고 높게 팍팍 주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엣지 체인지 때에 최대한 다운이 되는 것이지요... 업할 시간 없습니다...


왜 엣징을 최대한 빨리 그리고 높게 주려냐 하면요...


그 방법이 카빙시 감속이 가장 잘되거든요...


crossthrough.jpg 

crossthrough2_500.jpg 


<param name="movie" value="//www.youtube.com/v/WcnIUTp1zbE?hl=en_GB&amp;version=3"/>



저도 팔동작은 개인적으로 자제하는 편입니다만 (제 턴은 양반턴...),


그렇다고 다른 사람의 팔동작을 가지고 "이건 아님" 하진 않죠...


어디까지나 개인취향이니까요...

첨부

leeho730

2014.01.14 14:58:43
*.180.45.119

그리고 크로스 스루는 무릎이라는....

leeho730

2014.01.14 15:08:06
*.62.204.77

그리고 실수로 비추 눌러버렸습니다.

죄송... ㅠ.ㅜ

temptation

2014.01.14 15:29:27
*.91.137.79

네에 ...... 크로스 쓰루가 없었군요 ^ ^

 

그럼 급사에서 17번 , 19번 라이더분들이 타신 라이딩 주법이 설명이 잘 안 됩니다 ㅠㅠ

 

설명 좀 부탁 드려도 될까요?

 

아울러 .. 크로스 쓰루가 무릎으로 한다고 하신다면 높은 중력(G)을 무릎(허벅지 포함)으로만 받아 낼수 있는건지도 문의 드립니다 ^ ^

leeho730

2014.01.14 15:47:27
*.62.204.77

1. 두분 다 언더에용... 잘 보시면 엣지 체인지시에 무릎이 펴져요...

2. 음... 이건 아직 생각해 본 적 없네요...!
잘 모르겠어요...

야수파

2014.01.14 16:00:16
*.20.65.192

하수인제가보기에 급사에서한 1 2런에서는 17님은 기본적으로 여러가지 슬라이딩턴(업언웨이티드턴 돌핀또는 점프턴 다운언웨이티드턴)을 하셨고(마지막부분에 카빙으로넘어갈려하신것같구요.) 19님은 첫번째크로스오버성 롱카빙턴 두번째 크로스쓰루나 언더성숏카빙을 하실려고한것처럼보입니다..

leeho730

2014.01.14 17:04:32
*.180.45.119

제 소견으로는...


17번님 - 1,3번 카빙 2번 슬라이딩 (혹은 슬라빙) + 카빙

19번님 - 1번 언더 2번 3번 언더 + 스루 섞이심...

temptation

2014.01.14 17:04:13
*.91.137.75

넵 ~~ 확인 감사합니다 ^ ^

leeho730

2014.01.14 20:20:06
*.180.45.119

제 실수가 있어요...


19번님은 2번째 3번째 스루 하십니다.


죄송... ㅠ.ㅜ

temptation

2014.01.14 20:41:00
*.91.137.52

네엡 ~~~ 저의 이야기는 처음부터 모두 크로스쓰루를 써서 라이딩 한 부분이 아니구요

 

17번 , 19번 모두 크로스 쓰루 영역이 존재 하였다는 부분을 이야기 드렸던 부분입니다.

 

17번 역시 크로스 쓰루 계열이 아니면 볼수 없는 빠른 턴 전환이 보여서요  ^^

leeho730

2014.01.14 21:35:06
*.62.204.77

17번님도 2번째 일부에서 선보이시는 것 같네요...
예를 들면 닥라 영상 26:21

... 생각해 보니 전 엣지체인지시 무릎을 팍 구부리면 크로스 스루라고 하는 듯 하네요... 무릎팍 턴?

temptation

2014.01.14 23:04:30
*.91.137.52

음 .. 작년에 알파인에 입문 했었는데요

그때 가르쳐 주셨던 선생님이 다리를 접지 않은 상태에서 크로스 쓰루로 타는 방법을 알려 주셨습니다.

4번 배우고 불새마루 듀크에 상단에서 카빙이 되더라구염 ....

 

알파인을 포기 한 이유는 다 좋은데 ... 여자 보더와 접촉할 기회가 너무 없어서...였습니다 ㅠㅠ

leeho730

2014.01.14 23:40:02
*.62.204.77

엣지 체인지시 무릎을 구부리지 않는다면 스루가 아닙니다...

문박사

2014.01.15 10:09:00
*.223.48.89

생각의 여지가 있는 글 같은데요!! 쓰루의 고견을 쪽지로 좀 들을 수 있을까요

leeho730

2014.01.15 16:45:38
*.180.45.119

아래 글에 설명이 잘 되어 있네요...


음... 솔직히... 귀찮아서 엣지 체인지시 무릎 구부러지면 스루라고 했지만...


무릎을 구부려도 크로스 언더 할 수 있지요...


17번님 2번째 라이딩 26:11 언더예요...

temptation

2014.01.15 10:11:28
*.91.137.52

저두요 ~ 알고 싶어요 +_+

FirstSnow

2014.01.15 10:36:49
*.62.188.54

문박사님 temptation님 두분 다 바쁘시네요 ㅎㅎㅎ


크로스 쓰루라 ㅋ~ 

뱅뱅™

2014.01.14 22:40:38
*.7.44.52

글쓰신 부분은 완벽한 이론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기엔 사견이 많아 설득력이 부족한 내용인것 같습니다.

temptation

2014.01.14 22:56:01
*.91.137.52

말씀 하시는 사견이 혹시 "친밀감"과 관련 된 내용이라시면 전혀 신경 안 쓰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전 ...17번, 19번 분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그 분들이 속해 있는 그 어떤 커뮤니티와도 관계를 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그냥 기저귀 차고 설사와 싸우면서 라이딩하는 직딩 보더일 뿐입니다. ^ ^

 

그냥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적인 범위 내에서 비로거님이 놓치신 부분이 있어서 아쉽다고 이야기 드린겁니다.

 

닥라배틀 전혀 관심 없다가 ... 비로거 님 땜에 한 10번쯤 본거같아요 ( 약 300분 = 6시간 ) ㅋㅋ

 

보다보니 그 분 말이 틀린 부분이 있어서 첨언 한거니 이 부분은 개인적인 이해 관계를 떠나서

 

보더로써 아닌 부분에 대한 공유로 봐주셨으면 하네요 ... 글의 내용에 문제가 있다면 저도 수긍 하겠습니다 ^ ^

 

 

뱅뱅™

2014.01.14 23:09:50
*.205.178.93

글의 내용에 딴지를 걸 생각은 없구요. 친밀감을 사견이라 표현한건 아닙니다. 그냥 카빙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이나 팔동작의 활용법에 대한 이해, 엣지체인징 기법에 대한 분석, 이런거 모두가 사견이라는 이야기죠. 비로거님도 사견을 말하신 것이니 똑같은 입장이긴 하지만 이 글도 정답이 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않나 싶어요

temptation

2014.01.15 10:29:30
*.91.137.52

네엡 ~ 말씀 감사합니다 ^ ^

 

음... 이 글 지울까요? ^ ^

강해지자

2014.01.15 20:54:59
*.136.222.102

추천
6
비추천
0

초보의 어슬플 의견으로는 답은 가까운데 있습니다.
요즘 대세인 신택호님 영상을 한번보시죠!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mid=Movie_data&page=7&document_srl=25562251
---------------------------------------------------------------------------------------
저는 이영상 보고 바로 맨붕 이었습니다!!
약간 카시 스타일의 어깨닫는 라이딩을 쭉 해왔던지라.
급사에서 데크 넘길려면 여간 힘든게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신택호 님은 평지에서 숏턴 치듯이 쉽게 넘기고 있습니다.
레인보우 급사 할것없이 아주 편안하게 타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왜 그럴까요?
정답은 바로 크로스스루에 있습니다.

힐턴을 예로 들어 봅시다.
크로스언더와 오버를 따로따로 보면
크로스언더(밴딩)로 넘기려면 데크를 당겼다 다리를 앞으로 뻣어야 겠죠!
크로스오버(스트레치)로 넘기려면 뒤쪽으로 인클을 준후 다운 자세룰 취해야 겠죠!

턴을 하고자 할때 배꼽부분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자신이 데크를 넘기려는 시점을 잘 이용하면
가속도에 의해 보드는 진행하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기 때문에 이때 살짝 다운 자세를 취하면
데크는 이미 배꼽 부분을 지나 다리를 뻗은 상태이므로 크로스 언더를 취한 상태이고
상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운자세 또한 취하고 있는중이므로 커로스오브를 취하고 있는 중이죠
이렇게 동시에 코로스 언더, 오버가 진행 되는 것 입니다.!!
이영상을 보고 느낀점은 크로스스루는 절대 인위적으로 해서는 안된다 입니다.

미천한 제 눈으로는 리키 님의 상단에서의 턴은
크로스스루로 가고자 의도 하였으나
위에 언급한 내용대로 부드럽게 되지 않는 것입니다.

써니고고

2014.01.16 03:47:50
*.35.242.101

쪽바리 라이딩 고마해라 데크 그만큼 팔았으면됐잔아

더 팔아야되는거야?

 

2014.01.16 15:33:26
*.75.253.252

이새끼 어떻게 안되나요?

써니고고

2014.01.16 18:21:13
*.35.242.101

추천
0
비추천
-2

어린 새 끼가 어른한데 새 끼가뭐냐?

너 엄마 아빠한테 새끼라고 하냐?

고추도작은새끼가 어디서 새끼야?

 

27년째낙엽중

2014.02.06 09:35:05
*.5.188.172

ㅉㅉ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02
3396 기술(테크닉) 에지전환 & 힐턴에 대한 소고 [36] KOON™ 2005-12-21 217 15318
3395 기술(테크닉) 전향각으로 카빙하기.. [55] 유로카빙 2006-12-22 184 29972
3394 기술(테크닉) 푸쉬풀턴의 이해를 위한 역학적 접근 [27] Swiss보다 2007-01-17 182 5980
3393 기타 UCC 사이트 동영상 링크 방법 / 동영상자료... [6] ∪² 2008-02-21 174 9459
3392 해외원정 [코미][위슬러연재#2] - 잠자리와 먹거리 문제 [2] 김종원 2001-10-24 169 5950
3391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비로거. 2014-01-10 162 12631
3390 일반 이제는 더 이상 샵에 속고 살지 않아야겠습... [140] 유유자적 2008-10-12 160 18676
3389 장비 튜닝 바지...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32] 나불나불㉿ 2009-09-24 158 17232
3388 기술(테크닉) 파이프 입문을 위한 하프파이프를 배우는 단... [29] volcomsnow 2008-02-08 151 11606
3387 기술(테크닉) 지빙에 대한 고찰~~~ 지빙시 몸의 중심(보드... [27] volcomsnow 2007-07-10 149 7482
3386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66
338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3) 왕초보... RiderCrew~* 2001-10-29 141 8144
3384 절약법 아직도 비싼 홀덴 구입이 고민이세요? 그럼 ... [32] 결눈이쁜보더 2008-03-01 139 13227
3383 해외원정 [헝그리의 뉴질랜드 원정기] - 첫번째이야기 [7] 김규만 2001-10-29 137 5633
3382 장비 관련 데크사이즈(길이) 선택 및 한계중량에 관하여 [10] Great One 2009-04-07 137 8893
3381 일반 [re] 힘내세요 sky 2001-11-19 135 3484
3380 장비 관련 버튼 "스피드 존 부츠" 끈 바꾸는 방법! [8] 결눈이쁜보더 2008-02-21 135 8733
3379 기타 약간 편하게 스티커 파기위한 도구?;; 입니다; [10] 떵근ⓔ 2008-03-17 134 7508
3378 장비 관련 보드장비 처음 구매에 관해서 - 선택 [13] 곰팅이 2009-04-09 132 6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