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immyKOO 입니다.

 

아직 3년차 밖에 안된 걸음마 보더지만... 머리로 이리저리 원리를 생각 해보는 것이 또 하나의 취미인지라.. 나름의 연구 결과를 공유 하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지난번의 비기너 턴에 관한 글에서 다루었던 상체 로테이션에서 조금 더 나아가, , 하체를 포함한 모든 로테이션이 데크에 회전을 만드는 원리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15 0도 세팅으로 BBP 자세를 취하게 되면, 양발을 통해 데크로 다음과 같은 무게 배분이 이루어 집니다.

 

image 1.jpg

 

여기에서 상체 로테이션을 적용 시키면, 발의 위치에 비하여 상체가 뒤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앞발과 뒷발의 압력 포인트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데크에는 뒤틀리는 힘, 즉 토션이 생기게 되죠.

 

image 2.jpg 

 

슬로프를 직활강 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보면, 낙차 에너지가 노즈에서 테일쪽으로 계속 공급 됩니다.

이 에너지는 데크가 설면에 맞닿은 정도에 비례하여 데크에 힘으로 작용하는데, 지금의 경우에는 앞발의 힐 쪽과, 뒷발의 토쪽에 더 많은 힘을 전달합니다.

 

하지만, 아직 데크의 회전이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양쪽의 힘의 균형이 맞기 때문이죠.

 

image 3.jpg

 

현재까지 상체는 돌아갔지만, 여전히 데크는 직활강 중입니다. 초보들에게 상체 로테이션을 가르치다 보면, 상체만 꺾인 채로 직활강해버리는 상태가 종종 일어나는데, 바로 이런 경우라고 할 수 있죠.

 

, 이제 시선을 힐 쪽으로 넘겨 보겠습니다.

시선을 넘긴다는 의미는 머리 자체가 돌아간다는 의미며, 이에 따라 몸무게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머리가 자연스럽게 한쪽으로 치우치게 됩니다.

 

따라서 무게 중심이 힐 쪽으로 이동하고, 양 발의 무게 배분도 힐 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죠.

 

image 4.jpg

이제 데크의 좌/우측에 받는 힘의 균형이 깨어졌습니다. 상대적으로 많은 무게가 실린 힐 쪽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합니다.

 

이제서야 데크는 회전을 시작합니다.

 

image 5.jpg

 

위에서는 상체 로테이션만을 예로 들었습니다만, 사실 상, 하체를 불문하고 모든 로테이션이라는 '행위'는 위와 같은 결과를 만든다 생각합니다.

 

또한, 데크의 회전, 즉 슬라이딩을 일으키는 원리가 데크에 가해지는 뒤틀림이므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위와 같은 형태의 뒤틀림만 줄 수 있다면, 데크는 슬라이딩 턴의 형태로 움직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실 부끄럽지만.. 저도 바로 전의 칼럼을 쓸 때 까지만 해도, 많은 분들이 착각하고 계신 것처럼, 단순히 상체의 꼬임이 데크로 전달이 된다고 생각 하였습니다.

 

그래서 앞선 글에서는 로테이션만을 이용한 이상적인 비기너 턴은 왼쪽의 모습과 같이 될 것이다 라고 서술했었구요..

 

 

image 6.jpg

 

그러나 이번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면, 오른쪽의 모습이 더 실제에 가까운 모습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혼란을 빚은 점 너그러이 이해 부탁 드리며, 혹시나 제가 또 실수를 한 부분이 있다면, 주저 말고 리플로 언급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쓰

2014.03.21 00:17:04
*.70.53.182

무플이네요...;;; 연구하시면서 타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단순 상체 로테이션과 작용되는 토션만으로 본다면 이론상 좌측의 그림이 맞겠지만 가장 크게 다른것은 데크의 사이드컷 라디안이겠지요. 글쓴분의 의견이 틀리다는게 아니라 보충을 하자면 사이드컷 때문에 토션이 작용하면서 가압되는 부분은 그 호에 맞게끈 돌아가집니다. 결국은 오른쪽 그림 처럼 되겠지요. 걍 쉽게 생각하면 되요. 상체가 돌아가면 하체도 따라 돌게되고 그러면서 무게중심이 어느한쪽방향에 집중되면 (엣지) 그부분을 타고 활강하게 되는 거죠. 그러니 곡선일수 밖에 없는겁니다.

JimmyKOO

2014.03.23 22:35:32
*.169.9.172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guycool

2014.04.01 11:42:15
*.169.198.202

일러스트레션도 압권이시네요..

 The illustrated book of snowboarding이라는 명저가 연상 됩니다!

JimmyKOO

2014.04.02 18:57:20
*.169.9.172

아아! 그러한 책이 있군요! +_+ 잠시 검색해보니, 제가 너무나 목말라 하던, 엄청난 내용들이 담겨져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 글들을 써내려 가기전에 구입해서 꼭 한번 읽어 봐야겠습니다.

어쩌면 제가 괜한 수고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ㅎㅎㅎ


좋은 정보와 칭찬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42
61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에게는 초보자용 데크가 필요한 이유 [10] JimmyKOO 2014-02-11 7 5142
616 초보를 위한 강좌 상황에 맞는 BBP(basic/balanced body posit... [34] 문박사 2014-02-13 11 5331
61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에게 개인장비가 꼭 필요한 이유 file [12] JimmyKOO 2014-02-16 8 6261
614 초보를 위한 강좌 [그림추가] 상체를 굽힌자세와 세운자세의 ... file [5] 드래곤라이더1 2014-02-17 2 7329
613 초보를 위한 강좌 비기너 턴은 비기너만 하는 턴이다? file [18] JimmyKOO 2014-02-18 4 5635
612 CASI 부족함을 보완하여 재도전한 CASI Lv.2 - 코... [13] 해일로 2014-02-22 6 2949
611 CASI 부족함을 보완하여 재도전한 CASI Lv.2 - 개... [17] 해일로 2014-02-24 6 2746
610 CASI 부족함을 보완하여 재도전한 CASI Lv.2 - 티... [3] 해일로 2014-02-27 3 2599
609 장비 튜닝 보아 다이얼 임시 수리기 - 임기응변 입니당... file [2] Lach 2014-02-28 1 5287
608 기타 요즘 헝그리에 나오는 이슈에 대해 file [22] leeho730 2014-02-28 18 4838
607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숏턴에서 눈발이 날리는 이유 [7] 알리알리짱 2014-02-28 5 6622
606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축이 후경일까요?? file [39] 카빙하는올라프 2014-03-01 17 10519
605 CASI 부족함을 보완하여 재도전한 CASI Lv.2 - 외... [5] 해일로 2014-03-01 5 3147
604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프레스)의 변화에 따른 카빙턴의 크... file [26] 드래곤라이더1 2014-03-05 6 10290
603 기술(테크닉) 다운은 가압인가...앵귤레이션인가... [10] JhonDoe 2014-03-07 4 4795
» 초보를 위한 강좌 로테이션이 데크를 회전 시키는 원리 file [4] JimmyKOO 2014-03-13 5 5816
601 CASI the critical link!! [8] 파랭™ 2014-03-14 8 2577
600 장비 관련 네버써머 VARIO GRIP / 캐피타 Death Grip /... file [7] Reborn14 2014-03-25 1 2920
599 기술(테크닉) 계급장 띤? 스놉 턴의 분석 ( basic analysi... [2] guycool 2014-05-15 3 2735
598 장비 관련 장비선택에 대해 고민하는 보더들을 위한 팁... [1] NADAE 2014-05-23 8 5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