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즌 휘닉스 파크가 주말에 백야라는 이름으로 밤세워 슬로프를 열었었죠.

물론 전 슬로프는 아니고 일부였지만...

버스까지 공짜로 실어나르면서 많은 분들이 이용하셨습니다.

그 중에는 시즌권 이용자도 있었을 것이고 리프트권을 구매하신 분들도 있었겠지요.

하지만 백야 시간이 끝나갈 수록 사람들은 적어지고 괜히 혼자 돌아가는 리프트 시간도 많았습니다.

이번 시즌에는 여러 리조트에서 새벽 보딩을 시작하는데...

작년처럼 휘팍만 백야를 하면 다른 리조트 시즌권자라도 리프트권을 사서 탔지만

여러 리조트에서 한다면 그 리조트 시즌권자들이 많이 하고 리프트권을 사서 타는 유저는 적어지겠죠...

게다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지고 그렇게 되면 혼자 돌아가는 리프트도 많아지면 낭비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런 낭비는 리조트 측의 재정적 부담으로 전가되고 그 부담은 다음 시즌 보더들에게 아주 영향을 안 끼치지 않을 거 같은데...

고유가 시대에 밤새도록 스키장을 환하게 밝히고 빈 리프트를 돌려야 되는지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지만요...
엮인글 :

뽀좍【sic`ⓢ】

2005.10.14 23:49:15
*.133.187.232

제정적 부담이 악으로 남게 되고 그걸 회수하려 든다면 악이 순환 될거 같습니다.
결과적으론 악순환으로 인한 시즌권 가격 상승이 우려될거 같군요 ㅡㅡ;
제정적부담을 적절히 해소한다면 소비자 입장으론 한정된 보드장의 이용객의 수를 (시간이 늘어남에따라) 줄일수 있어서 좀더 좋은 환경에서 이용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가끔이런 비슷한 생각을 했는데....
가장 처음 해야할것은 법적으로 보드장의 이용객의 한정짖는 방법은 어떨까 합니다.
여기에서도 보드장의 제정적인 부담이 생기겠지요 이것은 차후 문제로 풀어 나가면 될듯하고..
일단 시설(보드장)에대한 안전한 이용객 제한을 두는것이 장기적으로 좋을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적이 있습니다.

민주주의를 다른 말로 절차주의라고도 한다지요 오래걸린다는 뜻으로 들리기도 합니다.
일단 큰걸 설정하고 소비자와 공급자가 악순환을 해소해 나간다면 몇번의 절차를 지나 좋은 관계가 있지안을까 생각합니다...

에구 길어 졌넹 ㅋㅋㅋ 저의 짧은 생각이엇습니다.

뽀좍【sic`ⓢ】

2005.10.14 23:56:52
*.133.187.232

저의 글 다시한번 읽어 봤는데 법적 이용객을 한정짖는걸 못박아두고 생각한다면 그다음 시즌권가격이 오를것이고 여기에 따른 보드장의 수익이 나올것이고 기타 보드장에서의 이용객(소비자)에대한 서비스금액도 나오고 음...
복잡해 진다 ㅡㅡ;

항상 마무리를 짖지못하는 저의 머리에 OTL 입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헝글님들....

씰룩셀룩

2005.10.15 01:26:10
*.212.117.196

우선 심야 스키를 할경우...

리조트 입장 : 전기값, 제설하는 비용, 인건비등이 상상외로 많다

소비자 입장 : 좋다... 하지만 심야스키한 슬로프는 다음날 돌덩이만 굴러다니고 있다(슬로프 완전 망가짐)

심야슬로프 ... 다 좋습니다.

하지만 다음날 심야슬롭 열었던 슬롭은 설질 꽝입니다.

무적엘지

2005.10.15 03:57:48
*.144.53.254

무주는 좀해줘야할듯한데요 돈을그리가져갔는데...;;

ⓚⓐⓩⓤ

2005.10.15 09:30:07
*.74.235.83

심야 다음날 슬롭설질....정말 정말 정말 싫어요..

freebird

2005.10.15 17:43:19
*.147.10.244

모든 보드장으로 확대운영했음하고 바라고있던 저의생각은 잘못된건가요..

KariN[준수]

2005.10.15 19:13:09
*.187.106.121

무주 쫌 해주라 ㅡ.ㅡ;

막시무수

2005.10.15 19:53:48
*.82.255.129

겨울3개월만 이용할수밖에 없는 환경이기때문에.
절박하죠 이용자나 리조트측에서나요..
올해 전 스키장이 한다고 하더라고
결국은 거의가 포기 하지 않을까요?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Prince@

2005.10.15 20:15:09
*.222.240.221

휘팍전에 대명에서 철야 시작했던거 같은데...아닌가요?
물론 그 때는 SKT이용자던가 무슨 제한이 있었던거 같은데...

하여튼 철야 보딩의 시대를 연게 휘팍인 것은 사실인데....
휘팍의 백야가 반응이 좋았고.....다른 보드장 시즌권자들까지 휘팍 백야타러 가는 사태가 생기고...
보드장마다 이용객을 빼앗길까 걱정하며 손해보더라도 너도나도 하는 듯...
이익이 되서 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backy

2005.10.15 21:23:11
*.218.82.38

심야후 설질 꽝인거는.. 끝난후 그루밍(기계작업) 안해 줘서 그런거 아닌가요?
거기다.. 휘팍 백야 경우는 시즌말에 했기때문에.. 더욱 그랬을듯..
심야후 개장후 만약 리조트측에서 손해를 봤다고해서.. 담시즌 무작정 소비자에게 전가 시키지는 않을듯 싶은데요.. 어째뜬 나중에 보면 알겠죠.... ^^

dokky

2005.10.15 23:31:51
*.187.231.227

평일두 주말두 시간이나지않아 전 항상 심야보딩을 즐깁니다
저와 비슷한처지의 보더들도 많을것같은데...
저의입장에서는 "땡큐"지요

쎄지~

2005.10.15 23:54:17
*.51.249.172

지산 설질은 믿습니다... 지산을 버릴 수 없는 이유는...
설질 관리를 잘한다는거죠....
눈이 안오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 최곱니다....
이번에도 새벽 설질은 좋을듯 싶은데요~~~
심야하니깐... 심야새벽을 타야겠네요..ㅋㅋㅋ

뽀따~!

2005.10.16 03:14:44
*.51.131.249

자신들이 약속을 했다면 단 한명의 고객이 슬롭에 있더라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시겠지만 리조트도 장사꾼들의 집합입니다..설마 손해를 보면서 매년 하려하진 않겠죠..^^

근디 심야는 정말 지치고 힘들어서 못 타겠던데여..-_-a

고무래(정민)

2005.10.16 14:06:30
*.244.221.3

시작은 미미하지만 끝은 창대하리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다른 보드장은 안하는데 휘팍은 한다! 휘팍은 손님을 대접해 준다!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한거 같습니다.
물론 눈에 보이는 비용은 손해겠지만..
그로인해 휘팍이 얻는 브랜드 밸류는 더 올라갈거라고 봅니다.
올해 백야는 더 붐비겠지요..어쩌면 시즌권 사려는 사람도 더 늘 수 있고..
당장 지산에서 12월부터 백야보딩 한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루미큐브

2005.10.16 20:05:30
*.38.38.224

제가 볼때 지산은 충분히 백야해도 사람 많이 몰릴것 같아요 -_-; 주간야간에 그렇게 많은걸 생각한다면
백야보딩해도 손해는 안볼듯.. -_-; 저도 지산으로 다니는데 주간야간 정말 사람 많아 05-06엔 양지로 갈까 생각했는데.... 백야 한다는 소리에 다시 지산으로 마음 굳혔습니다... 경기도 및 수도권 스키장은 06-07에 긴장해야 할 듯 싶은데요...--; 지산에서 올해 백야 대박낸다면요... 아마 그래서 지산이 전일 백야보딩을 추진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Crossroad.Life

2005.10.17 15:54:45
*.151.144.7

이익을 보는 사람이 있으면 손해를 보는 사람도 있었죠. 모든 일에는 일장 일단이 있습니다만 이라는 말처럼.
솔직히 개인적으로 백야는 반대 하는 입장입니다. 슬로프든 뭐든 쉬는 시간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최고의 컨디션으로
손님을 맞이할 수 있는거죠. 하지만 말이죠 그렇게 밤새 개장해 놓으면 슬로프가 쉴 시간이 없다는 거죠.
그럼 어설프게 정돈된 상태로 다음 손님을 받을 수밖에 없고 그건 서비스 질의 저하인것과 다름 없죠.
백야를 즐기신 분에게는 이익이 되는 케이스였으나 반대로 주간 이용자 에게는 손해가 난 케이스죠.
달갑진 안습니다. 잘때는 자고 탈때는 탑시다. 남들 잘떄 보드 타지 말고 남들 탈때 술먹고 잘 생각 말구요 -_-;
쿨럭. 물론 생활의 여건이 안되어 불가피 하게 밤에 타셔야 하는 분들에 대해서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ㅡㅡㅋ

Prince@

2005.10.17 18:03:57
*.99.177.157

그러고보니 저도 어차피 새벽은 커녕 심야에도 안타는 사람이라.....
낮에만 타는 제 입장에서는 철야보딩 안하는게 아침 슬로프 컨디션에 더 좋겠군요 -_-;
왜 밤엔 타지도 않는 제가 철야한다고 좋아했는지..ㅎㅎ

ShowTime

2005.10.17 18:36:31
*.249.108.169

안전문제가 가장 클 듯 합니다.
아마도 제 생각입니다만 백야를 하게 된다면 잠도 안자고 종일 타는 분도 계실듯..
수면부족으로 인한 판단력저하로 자칫 대형사고로 인해 자기자신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도 있을 듯 하네요..
만고 제 생각입니다. ^^;;

freebird

2005.10.18 01:03:17
*.238.182.134

주간에타고싶어도탈수없는 직딩보더들에겐 corea 님의 심심한위로의말은 그저 심심할뿐입니다.
저야 그나마 다행이도 오전보딩을 조금은즐길수있는여건의 회사에다니지만 야근과 철야가 비일비재한회사에다니면 새벽보딩은 그야말로 모든피로와스트레스를한방에 날려줄수있는 비타민과도같은 존재지요..
주간에 남들탈때 일하고, 야간에 남들탈때도 또 일하면 잠잘시간쪼개서 심야라도 가야죠..

Palmer Rider

2005.10.18 12:56:34
*.134.126.1

백야를 안한다해도 현재 상황으로서는 어느정도 스키장측에 손해져
(기상상황, 경제상황 등등)
일본처럼 보드장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서로 출혈경쟁을 하는거 마찬가지라 봅니다.
현재로서는 아무리 보더들이 이야기 해봤자...바위에 계란치기 격이라 할까여
단체로 장기간 보이콧 하지않는이상 보드장 업주의 횡포는 계속갈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7
302 보드장(스키장)의 매너정립. [18] 굶고타자 2005-10-31 24 2393
301 사진첩에 사진올릴때는 이건 어떨까요? [14] 씰룩셀룩 2005-10-31 48 2016
300 샵 세일정보 리플 이벤트 [8] 닐닐2 2005-10-30 41 2031
299 병행수입에 대해서.... [14] 오퍼상 2005-10-30 51 2584
298 휘닉스, 용평 좋다는 글은 봤어도 무주좋다는 글은 본적이 없다.. 그런데... [21] Tardis 2005-10-29 52 3567
297 무주 미쳤죠? [19] 락구 2005-10-29 37 3558
296 폭리라고 말할수 있는건.. [12] Endless 2005-10-29 35 2065
295 처음타는 혹은초보자에게는 소프트한데크?하드한데크? [44] 트生하死 2005-10-26 47 3834
294 보드 문화의 컨셉을 어떻게 잡으십니까??? [21] 쏠로보더~* 2005-10-24 43 2076
293 토턴 어떻게 할까~~~ [80] 론리보더 ~ ♪ 2005-10-24 48 3880
292 수입의류와 보드장비 소비자가격의 현실화. [82] ken 2005-10-18 54 5265
291 오랫만에 꺼내볼까요? 카풀~ [28] 쿨보더키미 2005-10-17 37 3554
290 사기꾼 전화번호 및 수법공개 [3] ShowTime 2005-10-17 37 2318
» 각 리조트들의 새벽 보딩 시간의 확대에 대해서... [20] 쎈세이 2005-10-14 47 3306
288 안전거래에 관해 진행상황 2 [10] laup 2005-10-12 35 1724
287 05/06 보드장에서의 금연 [38] Palmer Rider 2005-10-12 48 2723
286 안전거래의 맹점에 걸린 상항 [18] laup 2005-10-12 43 2105
285 시즌도 다가오는데...보드를 도난(분실)방지 방법은 없을까여? [17] 돈끄러모아 2005-10-08 42 2947
284 중고 시세표에 대해서~ [21] 엄파워 2005-10-07 34 2775
283 사기꾼 막는방법에 대한 한가지 사견... [5] Kick 2005-10-07 46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