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회사람들 하고 만나서....

애기잘하다가 4차때... 이애기로 좀 흥분해서 여기다 글올립니다.

처음타는 사람 혹은 초보자(2-3일정도 타본사람)에게 소프트한데크와 하드한데크중

어떤걸 추천해줘야 한다는 말로 약간의 싸움아닌 말싸움이 있었죠..

제가 생각하기에는 초보들은 우선 라이딩을 거의 목적으로 턴을 주로 연습하잖아요...

초보분이 프레스나 이런건 줄일없고 그래서 전 하드한데크를 추천해주려고 했는데..

어떤 형은 초보가 하드한 데크를 다루기 힘들어 몸이데크에 따라다닌다고...그러면서

초보는 역시 소프트한데크를 사용해야지 편하고 턴도 쉽다며 그러는거에요?

근데 제 생각에는 초보는 프레스나 트릭연습할것도 아니고 거의라이딩위주인데 턴할때

하드한데크가 다루기 힘들다는건 좀 억지 아닌가요? 오히려 하드한데크가 소프트한데크보다

고속라이딩시 안떨리고 그립력도 좋잖아요^^(보통 남자같은경우 2-3일타면 중급이상에서 내려올수 있으니...)

초보가 탈경우 하드한데크가 좋은지 소프트한데크가 좋은지 횐님들 생각듣고 싶습니다.
엮인글 :

씰룩셀룩

2005.10.26 02:03:39
*.212.117.199

글쎄요... 아무래도 처음 타시는분... 아무리 남자라도 2-3일만에 그렇게 프레스 팍팍 눌러줄때

눌러주고 감아줄때 감아주고 그러시는분이 몇분이나 계실까요...

저라면 그냥 아무거나 타라(싼거로 타라 라는 식이지만)

소프트한걸 타보고 하드한걸 타봐야 뭐가 좋은지 알수 있을듯...

그리고... 소프트한거 타다가 하드한거 타면 정말 몸이 데크 따라다니는건 맞는 말씀인듯...

Frappuccino

2005.10.26 02:22:18
*.38.9.225

초보한테 너무 쏘프트한거 타게해도.....힘전달이 제대로 잘 안되서 배우기 힘들어요.......

적당한 어느정도의 플렉스--->소프트한뎈--->하드한뎈....이런 흐름이면 괜찮을듯한데요.

러브홀릭

2005.10.26 08:07:45
*.102.135.249

소프트 한거 타야되는거 아닌가요...? 하드한거 넘 민감하자나요..
소프트한게 중심잡을때도 시간적 여유가 더있구...
하드한거 주면 서있기도 힘들어 하던데요... 어차피 데크란게 사이드컷이 있구
완만한 경사라도 서있을라면 노즈랑 테일부터 눈에 박힐텐데 하드하면 그만큼 중심잡기 힘들구..등등

epro(2%)

2005.10.26 08:37:22
*.244.221.3

소프트 한게 오히려 힘이 더 들던데요..훔~....적당한 플렉스를 위주로~..근데~!..중요한 것은
저는 초보자 분들 데크 선택할때 제일 중요한 것은 그런게 아니라~
무게라고 생각되던데요~..^^ 특히 여자분들은 데크 들고다니다가 걍~ 포기하시는 분들 여럿 봐서~..^^
가볍고, 왠만한 플렉스~ 좋은~ 상표의 중급 정도의 모델을 권하죠~..^^

어디 보니깐 HEAD 꺼 나왔던데~..제가 HEAD 꺼 첨에 배울때 타봤는데요.
정말~ 하드합니다..ㅡ.ㅡ....하드한것이아니라 판떼기죠~...
그리고 무쟈게~ 무겁습니다~......그거 탈때는 정말 OTL 이였으니깐요~.....
내가 이렇게 몸치 였나~ 하는 생각이 났었으니깐요~..^^
정말~ 무거운것은 비추~!..
그리고~ 소프트 한것도 너무 떨리기때문에, 초보자 로써는 불안 할 수 있습니다~

왠만한 플렉스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예를 들면 싼타크루즈 중급 모델 정도.

少年

2005.10.26 08:51:52
*.242.27.111

정말 초보의 경우 하드하냐 소프트하냐 차이도 잘 못느끼는거 같던데요.
저도 아무거나 타라에 한표던집니다~

크레바스

2005.10.26 09:37:06
*.76.210.69

초보에게 있어 하드함이란 데크 세로의 플렉스보다는 토션이 턴의 시작을 어렵게 합니다.
토션이 크면 클수록 즉 하드할수록 턴을 하기 위해서 더 큰 힘이 들어가구요.
아무리 보드를 처음 접하더라도 소프트한 데크가 턴을 하기에는 쉽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소프트한 데크로 턴의 감각을 익히고 그후 스타일에 맞게 데크를 바꾸는것이 좋을듯 하네요.

론리보더 ~ ♪

2005.10.26 09:37:07
*.127.218.162

굳이 둘중 고르라면 당연히 소프트한겁니다.

하지만 아무거나 타게해도 역엣지먹긴 마찬가지지요.

epro(2%)

2005.10.26 09:46:34
*.244.221.3

베이직 턴에서도 소프트 한 덱이 유리할까요?.......
제가 보았을때에는 소프트 한 덱 별로 유리 하지 못할 것 같은데요.
진짜 소프트 한 덱을 안타보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상급 모델의 소프트 한 데크야, 초보들에게 편할지 모르나,
진짜 허접하면서 소프트 한 데크는 오히려 위험 할수도 있습니다.
하드한 데크도 안되지만, 소프트한 데크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
그러나~ 전부~ 타보지 않은 이상은, 장비 추천해 주기가 참 난감한 것이죠.
그리고 처음에 베이직 턴할때 절때 프레스 그렇게 많이 주거나 할 필요는 없죠. 시선과 상체만 돌리는 법만
잘 이해 시키고 익숙하게 된다면요~!..

하아품

2005.10.26 09:57:18
*.41.120.18

걍 적당한거 타라고하세요 -_-

Nikki

2005.10.26 10:07:02
*.74.169.123

프레스의 강약을 느끼기엔 소프트한 데크가 더 유리할거라 생각되네요 ^^

epro(2%)

2005.10.26 10:29:18
*.244.221.3

아~ 그리고 추가로~...처음 초보분들은 롱턴을 많이 해야 하는데,
소프트한 덱 보다는 약간 하드한 것이 안정감 이 있을 것같은데요..^^

론리보더 ~ ♪

2005.10.26 10:44:11
*.127.218.162

어디까지를 초보로 보느냐가 물론 중요합니다.
초중급에서 턴 안되는 사람을 초보로 본다면
초보의 롱턴은 속도가 안 나나서 소프트하나 하드하나 별 차이 없다고 봅니다.

수많은 외국의 보드관련 사이트에선 초보에겐 소프트한 데크를 추천합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소프트한 데크는 엉터리데크가 아닌
제대로 된 브랜드의 소프트한 플렉스의 데크겠죠..(비싸면서 소프트한 데크도 많으니깐요;)

offspring

2005.10.26 10:45:32
*.111.244.24

일단 암 데크나 붙잡구 기본기에 충실하라에 한표...

처음(혹은 2~3번째) 타는 분에게는 데크의 소프트함과 하드함과는 상관없이 어렵기는 마찬가지 아닐까요?
일단 중심부터 잡아야하고, 낙엽두 익숙해져야하고, 기본적인 방향전환부터 연습해야 하고...
첨에 기본기 익히다 보면 몸이 장비에 익숙해지지 않을까요?

하드한 것 보다는 소프트한것(말랑말랑한 데크를 말하는게 하니라)이 다리에 무리가 좀 덜 가고,
쉽게 배울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만....

2005.10.26 11:09:35
*.74.234.173

카빙을 배우긴 힘들어도 턴을 배우기엔 소프트한 데크가 좋을꺼 같습니다.
그리고 초보들에게 하드한 데크는 다리에 무리를 많이 주기 때문에 보드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도 있습니다.

CROOVE

2005.10.26 11:15:30
*.230.104.109

초보에겐 소프트가 맞는거 같습니다.
제가 보드를 가르쳐준 대부분의 초보보더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바로 "쉽게 피로해 진다"입니다.
반나절만 일반 대여보드로 타기만 해도 힘들어서 죽을려고 하죠 대부분의 초보보더들은요
물론 초보들이 하드한 데크로 돌리고 감고 그런일은 없겠습니다만
아무래도 하드보단 소프트가 피로감이 적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MrBean

2005.10.26 11:17:07
*.142.254.225

걍 암거나 타는 것이 제일.
우선 흥미를 느끼는 것이 최고죠.

소프트가 하드고 나발이고 간에 재미만 느끼면 다음엔 자기가 다 알아서 찾아보고 골라보고 하니
기우인듯.

사람마다 다 다른데 어떻게 정할 수가 있죠?

CLAP

2005.10.26 11:56:04
*.255.190.41

저 같으면 소프트한 덱을 권하겠습니다.
턴은 원심력과 체중으로 사이드컷을 이용하여 데크가 원을 그리도록 하는것이니..
초보자가 그에 맞는 힘과 타이밍을 적용하기가 어려울듯 하네요.
그래서 좀더 쉽도록 소프트한 데크를 권하겠습니다.
이건 제 생각입니다.

backy

2005.10.26 12:03:28
*.217.178.29

저두 소프트.. 소프트한 데크가 다루기 편한건 엄연한 사실이구요..

당연 초보들이 턴하기 편하죠..... 역에지의 공포두 줄구요.

데크의 플렉스나 토션을 궂이 구분하자면.. 토션이 소프트한게 좋켔죠.

(근데.. 특별히 토션만 소프트한 데크는 없는듯.. 토션이 좀 더 하드한 데크는 있어도.)

푸른날개(외인부대)

2005.10.26 12:13:44
*.155.199.251

제 기준으로는 소프트한 데크(블랙홀 이름모를데크..노즈/테일 드는데 전현 힘이 안듬..)를 타다가 하드한 데크(밸런스99-00년식)로 바꾼 케이스인데 일단 초보때 소프트한 넘을 탄것이 많이 도움 됬었답니다.

일단 데크를 프레스 주어 사이드컷의 각도를 느끼기에도(저속에서...) 쉽고 기본적으로 데트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지요.

하지만 문제는 제 실력이 미비해서리 고속(?) 라이딩시 데크의 진동이나 프레스를 잘못주어 나타났던 데크의 휘어짐(?) 현상땜시 역엣쥐도 많이 걸려 봤고 라이딩시 항상 불안감이 따라 다녔답니다.

하지만 밸런스(99-00)를 중고로 구입하게 되고 이넘을 길들여 가다보니 가장 좋은점은 불안한 프레스에서도 어느정도는 데크가 잡아 준단는 느낌 입니다. 전같은 '아이쿠 역엣쥐다' 하는 느낌이 들때 ㄷ시 원상으로 복구해주는 그런 느낌을 받곤 했지요.

전 초보자는 우선 싼 소프트한 데크로 일단 그 느낌을 충분히 익힌뒤 좀 하드한 넘으로 옮겨오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

머리긁적

2005.10.26 12:25:10
*.94.41.89

본문과 상관없지만..
푸른날개님 글 읽다가..
"'아이쿠 역엣쥐다' 하는 느낌이 들때 ㄷ시 원상으로 복구해주는 그런 느낌을 받곤 했지요"
저두 발란스타는데 그런느낌 느낀적 몇번 있어요 (-_-)a..

소프트한 데크.. 하드한 데크..
저는 너무 소프트는 아닌 제대로된 브랜드의 약간 소프트한 데크를 권하고싶네요...

그리고 초보가 어떻게 타느냐가 중요하겠죠..
시즌방도 끊고 상주하며 열씸히 탄다면.. 너무 하드하지는 않지만 적당이 하드한걸 추천하고싶네요 ^^

Lunatrix

2005.10.26 12:45:10
*.252.69.96

중급자에겐 소프트한 데크도 초보자에겐 하드할수있죠. 중급자에게 하드한 데크는 초보자한텐 진짜루 -,- 빡시게 하드할겁니다.
암튼 초보자에겐 보통 소프트하다~ 라고 하는 데크가 좋은거 같습니다. '소프트한게 좋다. 하드한게 나쁘다' 이게 아니구 초보자들에겐 소프트한 데크도 충분히 하드하다~ 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 너무 소프트해서 출렁출렁거리는 일은 중급자나 느낄수 있으니깐요 ^^
그리고 소프트한 데크가 역시 다루기 쉽고, 잘안넘어지고 그러더군요. 무지 하드하고 무거운걸로 시작해서 2시즌 타다가, 야들야들하고 가벼운 데크 타보니깐, 라이딩이 잘되고 안되고를 떠나서...잘안넘어지더군요;;;
예전 같으면 100%넘어지는 상황도 안넘어지고 중심회복이 가능해지는걸 느꼈습니다.

물론 소프트=트릭용 하드=라이딩용 이런게 좀 딜레마이긴 하죠. 트릭용이라 하면 대게 트윈이거나 셋백이 짧으니깐요. 물론 차이는 저도 못느끼지만...괜히 기분상 그렇죠. 초보자에게 트릭위주 데크를 권해줘도 되나~~ 머 이런거? -ㅅ- ==3==3=3=3
되도록이면 중복투자 안하고 좋은 테크를 권해주고 싶은 마음에 이런 토론이 생기는거 같습니다 ^^;;;

수령이

2005.10.26 13:20:18
*.223.114.90

전 초보자들이 보드 어떻게 고르냐고 물으면 걍 feel 꼬치면 사라고 권합니다.
어짜피 데크의 장단점을 느끼는거 불가능하기 때문에 맘에 드는거 사라고 합니다. 타다가 좀 어렵고 힘들더라도 본인의 의지로 골라서 불만이 없더라구요. 괜시리 생각해준다고 이거사라 저거사라 하면 신경써주고 맘에 안들면 욕먹어요.. 대신 맘에 드는 데크가 몇장 되면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해주는 정도 센스~~

론리보더 ~ ♪

2005.10.26 13:24:49
*.127.218.162

지금 생각해보니 턴안되시고 낙엽 연습하실 초보분이시면
렌탈데크도 괜찮을 듯합니다.(토론주제완 좀 벗어나지만..)
부담없고 소프트한 렌탈 데크로 시작하시고
감좀 잡으시면 좀더 하드한(중간정도 플렉스) 데크로 가시는 것도 좋을 듯 하군요....

`석이.

2005.10.26 13:59:50
*.149.31.247

시작할땐 무조건 렌탈데크로...
너무 소프트한건 좀 문제가 있을듯.. 적당한 플렉스를 가진걸로...

정어리

2005.10.26 14:06:36
*.110.228.2

대부분의 결론은 적당한거네요
심하게 하드한 다니엘 프랑크나 심하게 소프트한 막데크 아니라면
상관 없을 듯 합니다.

망고^^

2005.10.26 14:33:40
*.238.159.135

헉 난 다니엘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소프트한거 타면 더 컨트롤이 안돼는거 같다는...
휘청거리는 느낌,,

대니보더

2005.10.26 14:39:31
*.20.55.81

초보에게있어 젤 중요한 부분은 역시 흥미더라구요..
여러초보 가르쳐봤지만(저도 잘타는건 아닙니다만.. ^^;), 데크가 하드하면 많이 힘들어하고..
보드란게 힘들기만 한거구나.. 이렇게 생각하더군요.. -.-;
소프트한걸로 바꿔서 가르쳤을때 느끼는 흥미는 몇배이상이더군여..
그이후론 저보다 더 열성적으로 보드장을 다니더라는.. -.-;

트生하死

2005.10.26 17:02:41
*.51.77.132

아하... 결론이 난것 같군요^^ 저도 말한건 소프트한데크(싼막데크가 아닌 중급이상의 데크)

하드한데크(무식하게 무거운데크가 아닌 커스텀정도의 하드함)을 말한것이었습니다..

대충 결론은 소프트한모델중 중급이상을 처음에 태우고 나중에 하드함으로 넘겨야 할거 갔네요^^

윗분들 감사~~~

아리잠

2005.10.26 17:37:14
*.76.197.137

제 경험상으론 처음에 너무 소프트한것은 별로....약간 소프트나 중간정도가 좋은거 같아요~

뽀더Kwak

2005.10.26 20:16:01
*.132.132.30

저는 처음 시작을 하드한 데크로 했습니다...물론 지난시즌이 처음이구요...
그러다 렌탈을 했는데...너무 소프트 하더라구요...왠지 불안하고...떨리고...
저는 고수님들의 대화를 잘 모르겠으나...
전 하드한 데크가 라이딩에는 더 좋더라구요....

Frappuccino

2005.10.27 00:09:36
*.38.9.225

그쵸 제가 봐도 적어도 커스텀 이상은 하드해야(커스텀 소프트한걸로 유명하나 나름대로 버튼내에서는 중간 이상 -_-;) 엣지가 걸리고 말고는 할 거 같습니다.

그보다 소프트하면 고수들도 라이딩하기 짜증날텐데요^^ 참고로 저는 고수는 아니지만 소프트한 덱을 타본적이 없기에 잘 모르겠다는;;

돈끄러모아

2005.10.27 01:32:41
*.140.245.236

첨탈땐 렌탈이 최곱니다~

탐색(?)기

2005.10.27 10:49:46
*.124.191.253

뒷발차기 방지 목적으로 전 하드한 데크 추천합니다.

[92]

2005.10.27 11:45:01
*.173.138.92

전... 이쁜데크 추천...

초보자땐 이도저도아닌 맘에 쏙드는 그래픽을 탑재한. 데크...

고무신껌[춘천]

2005.10.27 12:31:48
*.113.135.151

전 당연히 소프트한데크 태워야 되는걸로 알고있었는데요.

보드사 홈페이지에 있는 데크별 설명에 봐도 소프트한데크는 언제나 초보자용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십수명 강습해본 경험에 의하면 그게 맞는 설명입니다. 턴까지 강습시킬때는 짧고 소프트한걸로 가리키는게 배우는 사람이나 가르치는 사람이나 덜 고통스러웠습니다. 그게 왜그런가 하면,

중급 이상정도 되면 프레스 강도, 엣지 체인징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보드를 다룸에 있어 높은 효율성으로 인해 힘 손실율이 적습니다. 언제 힘을주거나 주지 않으며 중심이동은 언제 해야 하는지 등을 알기 때문이죠.

하지만 초보들은 그들이 지나간 자리를 보면 알수 있듯이 턴을할때 면으로 합니다. 프레스, 엣지체인징 이딴거 없습니다. 시선이동으로 겨우 턴을 할 뿐이며 보드를 다룸에 있어 힘 손실이 굉장히 큽니다. 배우는 첫날 대부분이 허벅지에 알배기는걸 보면 얼마나 힘들게 보드를 컨트롤 하는지 알 수 있죠

당연히 하드한 데크가 라이딩에는 더 좋습니다.하지만 그거야 우리같은 중급보더들에게나 해당되는거고 하드한 데크는 초보들이 타면 그야말로 끌려다닙니다.

우리들도 가을에 하체단련 하지 않으면 시즌초에 타기 싫을정도로 힘든데 초보들은 말할것도 없죠.

턴의 원리를 이해하는거나 보드에 흥미를 잃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소프트한 데크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굶고타자

2005.10.28 20:55:12
*.35.159.28

너무 하드하면. 초보들 흥미 잃습니다.
너므너므 턴이 안되서..
그리고 가르치는 입장에서도
하드한거 태우면 진도안나가서 짜증납니다 ㅠㅠ

paragon

2005.10.28 23:40:36
*.47.241.173

전 첨에 지인꺼 빌려 타보았는데..렌탈도 해봐지만...지인께 엄청 하드해서 무지하게 힘들었던 기억이...프레스 감이 좀들었다 하면 바로 역엣지...뭐 사람마다 다르지만..지금 제가 사용하는 데크가 엄청 소프트 한거라 그런지..아주 편하게 타고 있습니다...
ㅋㅋ..시즌 시작되면 또 역 엣지의 추억이...

DONGUN[동군]

2005.10.29 04:25:53
*.244.197.15

대충옆에 있는 데크중에 내싸이즈보다 살짝 작은 데크는 어떨까여...
소프트하고 하드하고를 떠나서 턴에대한 감을 빨리 익히는게 우선 아닌가여?;;
잘모르겠네여;;

외로운병아리

2005.10.29 11:45:05
*.147.239.20

근데 한국 렌탈샵에는;;; 대략 소프트한 막데크라는게 문제;;

CalgaryBoi

2005.10.29 13:03:40
*.147.249.37

초보자용의 데크들을 볼때는 주로 보드의 torsional flex를 봐야하는게 정석입니다. 많은 분들이, 소프트한 데크 하시는데...그것이 Torsional flex로 부드러운지, Longitudinal flex가 부드러운지를 먼저 말해야 하는게 정석이겠죠. 일반적으로 스노보드에서 턴을 좌우하는 요소는 토셔널 플렉스와, 사이트 컷입니다. torsional flex는 보드가 얼마나 엣지를 잘 조절할 수 있는 있는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torional flex가 엄청나게 강하다면, 데크를 좌우로 휘어서 엣지를 눈속으로 감아넣기가 힘들어집니다. 데크 가운데 부분을 ( 이런 모양으로 휘어야 되는데 torsional flex가 강해질 수록 힘들어지는건 당연하죠. 그만큼 초보자들이 다루기에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흔히들 말하시는, 부드러운 데크다하면, 보드 끝을 잡고, 가운데를 꾹꾹 눌르시는걸로 결정하십니다. 그런데, 그건 Longitudial flex를 대충으로나마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이고, torsional flex는 전혀 알 길이 없죠. 일반적으로 알려진바에 의하면, longitudial flex는 엣지 체인지의 타이밍을 조절 합니다(그외에 여러가지 요소가 있지만, 가장 큰 부분입니다.) 데크에서 노즈와, 테일의 longitudial flex가 일정하다면, 그 보드는 side cut radius를 따라 자연스러운 턴을 하는게 정석입니다. 그렇지 않고, 한쪽만 소프트 한 경우(노즈가 부드럽고, 테일이 딱딱한 경우)에는 턴을 하게 되면, 조금더 가속력이 붙으면서, 턴을 빠져나오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 결과 엣지 체인징의 타이밍이 빨라지게 되죠. 일반정으로 말하는 라이딩에서 엣지체인징 타이밍에서 통통 튀는 느낌이 난다는것이죠. 여러가지 쓴다고 글이 길어졌는데요, 제가 말하고 싶은건, 보드가 소프트하다, 하드하다라고 함에 있어서 적어도 torsional flex, longitudial flex의 구분정도는 하셔야 겠다는 생각이구요, 초보자에게 유리한 데크는 Torsional flex가 소프트한 데크라고 말하고 싶네요. Longitudial flex의 차이는 라이딩의 특성에 약간 영향을 미칠뿐, 보드가 타기 쉽냐, 어렵냐에는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미합니다.

Darimee

2005.10.30 17:04:44
*.151.186.247

브랜드에서 beginner로 구분되는 보드가 바로 초보자용으로 타기 쉽게 세팅된 보드입니다.

batman

2005.10.31 00:29:27
*.239.226.253

제 경우 초보시절 - 뭐가뭔지모르고 보드하나삼(알고보니 매우 소프트한 팩토리)- 어느정도 실력이 붙자 고속라이딩시 떨림 - 하드한걸로 교체(나이트로 세이버)-트릭을 하고싶음, 세이버로는 불가능 180도 힘듬-조금 유연한 데크로 교체(지안시맨)-너무 재미있슴(그러나 키커시 세이버가 나음)- 이제 하프를 하고싶음 - 세이버로 했다가 보틈에서 구르기만 함, 머리 많이 박음, 역앳지, 지안시맨으로 해봄, 콘트론 잘됨, 허나 뭔가 허전 ...이상입니다....^^

epro(2%)

2005.11.02 01:10:11
*.209.80.15

예전에 장문의 글 썼다가 DB 날아가서 OTL 됐지만,
참고로 줄여서 말하자면,
초보용? 이라고 불리우는 데크가 정말 대충대충 만들어서 나오기 때문에 권장을 안합니다.

그리고, 정말 제대로 가르쳐 보십시요,
초보 딱지 금방~ 뗄수 있습니다.
대충대충~ 한시즌 내내~ 초보보딩을 시키려면, 소프트 한 덱으로 권하세요,
정말 성의를 다해서 가르칠 자신이 있다면, 절대 초보용 데크를 권하면 안되는 것입니다.
다~ 자신이 귀찮으니깐,
소프트 한 데크를 권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세요.

카빙지존

2005.11.03 21:07:25
*.146.136.248

모르는 초보자에게 소프트한걸 권하나 하드한걸 권하나 어려운건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인간의 몸은 반응에 따른 적응성이 있기에 첨엔 하드한걸 타다 보면 그에맞는 적응력이 생깁니다..
그다음에 소프트한거 던져주면 쉽게쉽게 타죠..그래서 전 하드한걸 추천해주고 싶습니다..
제후배 시퀀스로 보드탔습니다..생초보..시즌끝나갈때 세븐으로 이것저것 다 돌리더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5
302 보드장(스키장)의 매너정립. [18] 굶고타자 2005-10-31 24 2393
301 사진첩에 사진올릴때는 이건 어떨까요? [14] 씰룩셀룩 2005-10-31 48 2016
300 샵 세일정보 리플 이벤트 [8] 닐닐2 2005-10-30 41 2031
299 병행수입에 대해서.... [14] 오퍼상 2005-10-30 51 2584
298 휘닉스, 용평 좋다는 글은 봤어도 무주좋다는 글은 본적이 없다.. 그런데... [21] Tardis 2005-10-29 52 3567
297 무주 미쳤죠? [19] 락구 2005-10-29 37 3558
296 폭리라고 말할수 있는건.. [12] Endless 2005-10-29 35 2065
» 처음타는 혹은초보자에게는 소프트한데크?하드한데크? [44] 트生하死 2005-10-26 47 3834
294 보드 문화의 컨셉을 어떻게 잡으십니까??? [21] 쏠로보더~* 2005-10-24 43 2076
293 토턴 어떻게 할까~~~ [80] 론리보더 ~ ♪ 2005-10-24 48 3880
292 수입의류와 보드장비 소비자가격의 현실화. [82] ken 2005-10-18 54 5265
291 오랫만에 꺼내볼까요? 카풀~ [28] 쿨보더키미 2005-10-17 37 3554
290 사기꾼 전화번호 및 수법공개 [3] ShowTime 2005-10-17 37 2318
289 각 리조트들의 새벽 보딩 시간의 확대에 대해서... [20] 쎈세이 2005-10-14 47 3306
288 안전거래에 관해 진행상황 2 [10] laup 2005-10-12 35 1724
287 05/06 보드장에서의 금연 [38] Palmer Rider 2005-10-12 48 2723
286 안전거래의 맹점에 걸린 상항 [18] laup 2005-10-12 43 2105
285 시즌도 다가오는데...보드를 도난(분실)방지 방법은 없을까여? [17] 돈끄러모아 2005-10-08 42 2947
284 중고 시세표에 대해서~ [21] 엄파워 2005-10-07 34 2775
283 사기꾼 막는방법에 대한 한가지 사견... [5] Kick 2005-10-07 46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