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이 곧 시작됩니다.

동영상에 많은 라이딩 동영상이 올라오는데..문득 궁금한 점이 있더군요..

카빙...말많은 카빙턴...

카빙턴은 어떤 난이도를 갖는 슬로프에서 해야 할까요?

카빙턴의 한계 슬로프는 어디까지일까요?

초급 슬로프에서? 중급슬로프에서? 아님 상급슬로프에서도?

또 진정한 카빙턴은 슬로프에 어떤 형태로 남아져야 할까요?

칼날같은 턴 흔적은 열린턴에서만 존재할까요?

아님..완벽한 S 자형태의 카빙턴은 불가능할까요?

궁금하기도 하고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어서 몇자 적어봅니다.

엮인글 :

MrBean

2005.11.01 12:24:34
*.142.254.225

우선 제 경험으로는 초급슬로프에서 카빙턴을 충분히 연습하시고요
자신감이 생기시면 증급>상급 순서대로 오르세요. 그리고 경사도와
스피드에 익숙해지시면 초급, 상급, 중급 그렇게 큰 상관 없읅 것 같은데요

그러다가 웬지 맘에 안든다 할때 초급에서 한번 다시 점검 하시고요.

무엇보다고 즐기세요. ㅎㅎㅎ 초급에서 칼카빙으로 딴사람의 부러운 시선도
느껴보시고요. 그러다가 점점 잘타고 싶은 욕망이 생기면 거기에 맞게 또
노력하시면 될 것 같네요.

음 그러는 너는 모냐라고 하시면 정설만 잘 되어 있는 상급에서도 그리 어렵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정도고 모글 많이 생기면 불안 불안한 정도 실력입니다.

참고로 휘팍 D.G에서 가장 경사 가파른 구간을 보시면 내려와 보신분들
아시겠지만 볼록 튀어나온 곳 기점으로 가파른 구간 약 20미터 정도 되나요?
토, 힐 한번정도 턴할 수 있습니다. 그 밑으로는 완만하구요

열심히 하는 자는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즐기는 사람은 미친사람을 이길
수 없당..

미치자면 선수로 나서야 하니 .. 우리 걍 즐기자고요

싼타쟁이 -ㅁ-

2005.11.01 14:35:16
*.74.26.17

주제랑 빗나가는지모르겠지만...............

시즌초..전슬로프 오픈전..중급슬로프에서 카빙박으면서 좀 스피드좀 냈더니..패트롤분이 그러시더군요..
"왜 여기서 타세요?" <==어디서 타라는말인지...좀 난감했었습니다..
음..안전때문에 하신말씀이었겠지만..정말 어디서 타라는건지 -_-;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않는범위내에서 어느슬로프던지 상관없지않나 싶네요..물론 안전두 필수!

epro(2%)

2005.11.02 01:13:40
*.209.80.15

저는 카빙이란 어느정도 수준의 속도와 각도가 있을때 하는 턴이라 생각하는데요..^^;;
초급자 코스, 완만한 코스에서 카빙턴이 정확하게 될 까요?..그리고 할 필요가 있을까요?.^^;;
어느 정도 속도가 있어야만, 날이 세워 질수 있는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제 주관적인 생각입니다~...아~!..참고로..카빙턴..제대로..못합니다..ㅡ.ㅡ;;;;....

멍이™

2005.11.02 03:03:07
*.73.152.20

제 갠 적인 생각으론 카빙턴을 연습하시려면 웬만한 경사는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일 빠르고 쉽게 연습할 수 있는게 J 턴 같습니다..

스뎅밥그릇

2005.11.02 08:18:29
*.13.10.147

아무데나....

리얼카빙

2005.11.02 08:21:57
*.230.43.153

우리나라 현실상 제이 턴은 정말 힘들고 위험합니다.
그렇다고 최 상급코스가서 카빙연습은 더더욱 힘듭니다.
카빙은 자기가 충분히 갈수 있는 슬롭위에서 트랙을 한번 이미지로 그려보시고, 양 옆 앞 뒤 4방을 계속 확인 귀로 들으시고 카빙하셔야 할듯 싶습니다.
스피드와 경사가 있어야 카빙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일부 매너없는 보더, 스키어처럼 초보자 코스에 카빙하고 댕기면서 초보자 한테 위협하는 일은 삼가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귀의 역할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스키장 음악 소리로 시끄러워서 사방에서 오는 사람의 소리의 집중력을 흐리게 만듭니다.
그런 상황에 간지로 음악이 좋다는 이유로 어른 손바닥 만한 헤드폰 끼고 음악 크게 틀고 다니고, 디밀면 정말 아찔한 합니다.
지킬건 지킵시다. 특히 안전에 관련된 것은 더더욱
매너편에 써야 글을 여기다 쓰다니 삼천포로 빠졌네요...

샤이니썬

2005.11.02 09:02:33
*.228.193.22

제이턴... 성우 브라보에서 첨보는 광경 목격.. 산을 타고 올라가시는분(제이턴) 과 내려오시는분의 정면 충돌... 두분에게는 죄송하지만 넘 웃었네요.. 첨 보는 일이였어서.ㅋ 제이턴 하시는분이 넘 크게 넘 빠른 속도로 도시더군요. 주변을 확인하고 하셔아 하는데..

force

2005.11.02 10:12:24
*.63.128.78

아무데나 한표~ 초급자에서 카빙도 필요하다 봅니다 데크 각도 세우는 거에 도움이 되죠~ 카빙은 상황에 따른 각의 조절이라 봅니다.

0카빙턴0

2005.11.02 19:42:13
*.118.46.205

자기가 감당할수 있는 속도에서 하세요..
100%정답이란 없는게 스포츠 아닐까요?

kimbaley

2005.11.02 21:46:48
*.107.185.100

용평 골드계곡에서...상단부 급경사를 내려온 뒤부터 슬로프 폭이 좁아지기까지의 구간...
성우 브라보에서...상단부부터 중하단부까지의 구간...
양지 블루2에서...상단부분만 빼고 전구간..., 오렌지에서 전구간..(솔직히 오렌지 경사도가 젤 맘에 들어요)
이정도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구간이랍니다~~

노숙보더

2005.11.02 22:32:46
*.119.30.104

정설만 잘되어있다면 어디든 상관없이 달려가야죠~ㅋㅋ

피클질 제대로 된 최상급이 난도질 된 중급보다 카빙하기 훨씬 쉬우니까요..^^;

뽀좍【sic`ⓢ】

2005.11.02 22:35:44
*.133.185.26

어디든 눈이버텨주고 약간의각이 있다면 가능하다던데요 ^^

천상보더[진건]

2005.11.05 13:50:03
*.145.230.116

한 중급정도에서 잘되더군요
상급은 빡세서-_-;;;

Natural

2005.11.06 01:47:15
*.120.78.189

성우.브라보 중하단.휘팍스패로우 딱좋음..ㅋ

JIN

2005.11.11 22:15:48
*.146.166.83

그냥..딱 좋은 슬롭은 잘 모르겠는데...어쨋든 라이딩하기 좋은 슬롭은 완만하다가..중간부분은 중상급정도로 경사가 쫌 있다가 다시 완만해지는 코스가 딱 좋은거 같던데요..완만하게 출발했다가 속도좀 붙으면 탄력받아서 밑에까지 쭈욱~~~

-윤짱-

2005.11.12 17:08:15
*.155.196.211

정설 잘 됐다고 가정시
휘팍 챔피언 시작부터 이글 리프트까지 카빙 가능합니다.
디지도 급경사 끝나고 가능 호크1도 가능
용평도 레드 시작해서 조금지나 뉴레드 까지 가능하고
실버도 중반부터 가능 하죠

결론은 중간경사가 가장 하기 편하더군요...

알파인유니션

2005.11.28 23:50:02
*.212.20.161

슬로프 경사에 따라서...카빙은 다 가능하겠지만..어떻게 방식으로 엣지 전환을 하느냐가 틀리겠죠..크로스 오버냐..언더냐..스루냐..

너무 한가지 스타일에만 매달리지 마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4
322 보드&스키 귀족 스포츠이다? [62] 은땡투카 2005-11-27 43 4689
321 헝글의 힘?????????????? [11] 레몬오백개 2005-11-27 51 2187
320 설문 조사 같은 게시판을 하나 신설하면 어떨까요? [6] 라이딩만 2005-11-27 44 1846
319 [re] 05/06 보드장에서의 금연 [1] 불타는고구마 2005-11-25 38 1736
318 개념없는 초보가 상급슬로프??? 멀 이해해야 하는가? UN님 보시길. [41] 최홍만 2005-11-25 36 4916
317 노블 270과 360? 450out과 540? [14] One_Ball_Jay 2005-11-25 50 2068
316 보드장에서의 위험한 포인트에 대해서.. [27] hustler 2005-11-23 37 2826
315 헝글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4] 론리보더 ~ ♪ 2005-11-22 46 1964
314 상급장비라고 무조건 성능이 월등한것인가! [33] 세계정복 2005-11-20 32 3769
313 사진첩,자료실을 세분화 하는건 어떨까요? [5] 굶고타자 2005-11-15 46 1756
312 보드장에서의 흡연... 어케 생각하십니까? [43] 바다올빼미 2005-11-15 29 2756
311 중독자와 매니아의 차이 [18] 커누들 2005-11-15 42 2744
310 막데크가 뭔가요? [22] 우리성우 2005-11-14 47 3620
309 리플 과연 본문에 관한 리플인가? 리플에 대한 리플인가? [6] 2005-11-12 45 1748
308 용평 유저와 휘팍 유저의 차이? [15] 화랑담배 2005-11-10 43 4560
307 묻고 답하기 게시판 기능 개선에 대해 [15] Big∧┣ㄹ┃=3=3=3 2005-11-08 51 1747
306 실력에도 맞지않는 비싼 장비들...에 대한 저의 생각... [42] 레이619 2005-11-08 59 3666
305 보딩장 패션!~!~! 시즌초에 예쁘게 입는것에 대한 토론~ [16] 권순석 2005-11-07 29 3741
304 헝글후드티에 대한 고찰... [30] 와니~♡ 2005-11-03 44 3534
» 카빙은 언제 어떤 슬로프에서 해야할까요? [17] 둥둥둥 2005-11-01 38 4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