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좀 탄다 싶은 분들이 강습할 때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이 어깨를 닫으라는 것입니다.

언제부턴가 어깨를 절때로 열면 안된다는 것이 상식이 되어버렸습니다.

심지어는 초칼카빙에 초깔끔 라이딩을 구사하는 사람을 보더라도 어깨가 열려있으면
라이딩은 좀 하지만 기본기가 부족한 사람 취급을 해버리더군요.ㅡㅡ

나름것 조사한 정보에 의하면 요즘 유행하는 고릴라 자세야 단순한 유행이라 할 수 있겠지만
어깨가 조금이라도 오픈되면 크게 잘못된 것이란 이론은 큰 결함 이란걸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의 자료는 김성배 프로님 사이트에서 퍼온 Q&A의 내용입니다.


[질문]

언제부터인가 라이딩스타일이 어깨를 닫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어깨를 찍어주고 팔을 고릴라 처럼 하고 타는 것이 대세가 되어버렸습니다.
시선 어깨 몸통 순으로 방향을 돌리는 동작이 완전 사라지고 어깨로 8자를 그리는 동작도 보이지 않습니다.
심지어는 턴시 어깨가 조금이라도 오픈이되면 옛날 스타일이라며 구식 취급을 합니다.
이것에 대해 정리 좀 부탁드립니다.


[김성배 프로님 답변]

라이딩도 각자의 개성이지요. 하지만 토우나 힐턴이 들어갈 때 같은 자세로 들어간다면 좋은 자세는 아니라고 봅니다. 이를 콘트롤하는 오른손이나 시선들도 변해야 합니다. 토우턴 시에는 토우엣지 앞부분에 손이 있어야고 힐 턴시에는 힐 엣지 뒷부분에 손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몸무게가 효율적으로 엣지에 전달이 되니까요.
또한 고개가 기울어 지지 않고 시선들을 옮길 수 있습니다.
힐 턴시에도 고릴라 자세를 잡는다면 뒤에서 오는 다른 사람들과도 충돌에 위험이 있구요.(보지를 못해서)
그리고 경사가 심한 곳이나 모글,트리라이딩에서는 문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정리를 해 드리면 시선은 반드시 보드가 향한 방향(노즈)을 봐야하며 손 동작은 토우턴에는 특히 앞손이 토우엣지 앞에, 힐 턴시에는 힐 엣지 뒤에 놓아야 합니다. 어께는 턴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크로스했다 오픈 했다 변하면서 타는 자세가 좋습니다.
참고로 인터넷에 떠 다니는 정보의 상당수는 틀린 정보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프리스타일 이라지만 보드는 과학입니다.
이론적으로 문제가 없다면야 상관이 없겠지만 이론적으로 결함이 있음에도 지금의 대세를 따라야 멋진 라이더 일까요??
엮인글 :

CalgaryBoi

2006.02.22 19:27:48
*.147.230.9

김성배 프로님의 답변이 아주 정확한듯 합니다. 저도 그렇게 배웠습니다...고릴라 자세? 처음 들어보는 말이긴 하지만,,동영상 자료실에서 몇번 본 듯합니다. 힐턴을 들어가도 팔은 배위에 위치하더군요..아주 위험하다고 생각했었고, 그런자세로 힐턴을 부드럽게 한다는게 좀 억지스럽다 느꼈습니다. 시선처리는 어깨의 움직임과 동시에 이루에 지는것인데 목만 살짝돌려 시선을 처리할려고 하니 억지스럽게 보이죠. 시선처리의 중요성은 윗글에 잘 나와 있구요,, 팔은 거들어주는 역할입니다. 스티어링이라고 하죠, 방향키의 역할을 해주는겁니다. 또한 발란스를 잡는데 도와주는 역할도 하죠(외줄타기할때 양팔을 벌리죠,,같은 원리입니다), 그러므로서 예측불허의 상황에서 조금더 빨리 안정된 자세로 대처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시선처리의 예를 들면...보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캐나다에서는 운전 면허를 취득하는 도로주행 시험에 shoulder check이라는것을 꼭 해야합니다. 보통 한국에서 차선 변경할때, 사이드 미러만 보시고 변경하시다가 사각지대에 있는 차를 못보고 깜짝 놀라신 분들있으실껍니다. 아니면 대부분의 운전자 분들이 볼록 거울 하나씩 장착하고 다니시죠. 비슷한 원리입니다. 운전중 어깨의 움직임이 없는 시선처리는 사각지대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 문제때문에 캐나다의 도로주행 시험에서 shoulder check을 하시않으면 100% 탈락입니다. shoulder check은 운전중, 1~2초의 시간을 이용해서 변경하고 싶은 차선을 어깨를 돌려서 확인하는겁니다. 보드를 타면서 어깨를 열고 진행 방향으로 시선처리 하는것과 동일한 원리이죠.
이런저런 이야기 하다 보니..글이 길어졌네요.. 결론을 말하자면,제 생각은 프리스타일이기때문에, 정해진 라이딩의 자세 또는 규칙은 없지만, 여러사람들이 격으면서 이곳 저곳 수정된 형태의 가장 안정적이고 보편적인 보딩 스타일은 있다는 겁니다. 타인과 자신을 위해서라도 안전보딩은 하셔야 겠죠.
허접하게나마 댓글 남겨봅니다. 제 친구가 한말이 생각나는군요,,Function before Fashion...

PRIDE-OF-100_NO

2006.02.22 19:37:50
*.74.21.211

어깨 닫고 보드에 완전일치해서 타는게 리프트에서 보기에는 가장 이뻐보이더군요.
그냥 초보의 생각입니다.

러브홀릭

2006.02.22 19:48:57
*.102.167.218

어깨를 닫고 타시는분들 모두를 말하시는건지 고릴라 자세로 타시는분들을 말하시는건지...?
갠적으로 전 상황마다 다릅니다...열다가 닫다가 시선도 동서남북... 이게 제일 안전한거 같아요..

CalgaryBoi

2006.02.22 20:01:19
*.147.230.9

힐턴을 들어갈때 어깨를 닫는건 이해가 되지 않는 겁니다. 토턴을 들어갈때는 토엣지 앞부분에 손이 있어야 하므로 저절로 어깨가 닫히겠죠. 그렇다고 굳이 두손을 모아서 배앞에 놓는 자세는 안하셔도 된다고 봅니다. 라이딩이 이뻐보일려고 하는거라면 존중해드려야 하겠죠.
문제는 그 자세를 힐턴에서도 반복 한다는 거겠죠..

쩡이리

2006.02.22 20:07:30
*.144.68.125

어깨를 열고 닫고가 문제가 아니라.. 어깨를 닫고 타느라 (고릴라 자세 또는 겸손자세) 상체 스티어링을 안해주는게 문제죠.
상체스티어링 없이는 빠른턴을 구사하기가 힘들죠.
카시 동영상의 상급라이딩을 하는 모습을 보시면 알겠지만 상체의 스티어링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실겁니다.
고릴라 자세는 모르겠지만 겸손자세에서는 절대 상체스티어링이 나올수 없는 자세죠..
토턴땐 닫히고 힐턴땐 열리고 폴라인과 직각일때 보드와 어깨와 시선이 평행이 되는것이 가장 정답이지 않을까 합니다.

bs540

2006.02.22 21:05:57
*.236.141.91

"어깨를 닫는다 = 상체스티어링이 없다" 이렇게 해석해도 될만큼 어깨를 닫는 것을 중시하는 라이더들은 상체스티어링을 하지 않으며 고수급에 속한 보더의 대부분도 절 때 상체가 오픈되면 안된다고 자신있게 말하더군요....
자신이 워낙에 고수라 상체로테이션 없이도 안전된 턴이 가능하다고 말한다면야 할말이 없지만 절 때 어깨는 오픈되서는 안된다는
말도 안되는 이론을 전수한다는건 정말 문제가 아니라 할수 없을듯합니다.OTL

전 시즌방에 한국 고수들은 절 때 거들떠도 안보는 쉘플라이 보드복에 그저그런 장비들을 사용하는 형님이 있었습니다.
상체 역시 스티어링을 이용하시며 한국 고수들 눈에는 안 차는 라이딩을 하셨죠. 근데 이형님 킥커에서 빽플립, 로데오 돌리시더군요....

Prince@

2006.02.22 21:31:01
*.126.189.201

저는 PRIDE-OF-100_NO 님과 반대로....
그렇게 타는 사람은 무슨 로보트 같아 보여서 역동감도 없고 별로던데...

동영상 게시판만 가봐도 알 수 있습니다.
자세 봐달라는 글엔 어김없이 튀어나오는 말...

"어깨가 열렸네요, 닫으세요"

일본의 모 강습동영상에서는 아예 기본 자세라고 가르치는게 어깨 열고 있더군요~
저도 어깨 여는걸 더 좋아하는데...그게 더 라이딩하기에도 편하구요~

홍서방

2006.02.22 22:53:50
*.77.66.65

음... 개인적으로는 ..
일정수준 이상의 라이더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취하는자세가 있습니다.
열고 닫고.. 그런 세밀한 문제들은 발전하는 과정의 하나 인것같습니다.
여느냐 닫느냐 ..는 어느 과정에 있느냐에따라서 달라지는것 같습니다.
어느게 옳다 그르다가 아닌것 같습니다.

으깽호박

2006.02.23 00:08:16
*.117.89.249

김성배프로님 말씀.. 제가 생각하는 그대로네요... 문답에 답해 드릴때도.. 거의 저런느낌으로 써드리는데...

론리보더 ~ ♪

2006.02.23 00:53:19
*.243.201.1

어차피 어깨닫고 타는건 초급슬롭에서나 통하는 거라는 어느 헝글분의 말씀이 기억나네요

조금더 급한 경사에 가면 자연히 어깨 열립니다.
타다 보면 여러가지 자세로 타게 되더군요. 눈 좋은 날은 어깨 닫고 멋내면서 타보기도하고
시야 안 좋고 모글 많은 날은 어깨 열고 팔벌리고 타구요~
그때 그때 맞춰서 타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쌔끈라이딩

2006.02.23 09:07:41
*.188.28.7

다들 어깨를 닫는다는 말을 오해하고 계시네요..
어깨를 닫는다는 말은 기본자세에서 상체가 보드와 평행하게 유지된다는 말이죠.
어깨를 연다는 말은 기본자세에서 상체가 보드보다 전면을 바라본다는 말이구요.

상체를 닫는다고 로테이션이 안일어난다고 말씀하시는건 틀린 얘기입니다.
상체를 열고 닫는것은 기본자세의 차이를 뜻함이지 로테이션의 유무가 절대 아닙니다.

상체가 열리면 안된다는 이유는 기본자세에서 허리가 돌아가있기 때문입니다.
상체를 닫을경우 허리가 힐이나 토 어느쪽으로도 돌아가있지 않죠.
그러나, 열리면 허리는 힐쪽으로 이미 돌아가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토턴할때는 로테이션이 원활하지만 힐턴에서는 로테이션이
아무래도 뻑뻑하지 않겠습니까???

또, 상체가 열리는게 편하다고 말씀하시면서 알파인을 말씀하시는데...
알파인의 자세를 다시한번 살펴보세요. 알파인은 세팅을 전향으로 해 줍니다.
즉, 알파인도 기본자세에서는 허리가 힐이나 토 어느쪽으로도 돌아가지 않습니다.
그래야 양방향 균일한 턴이 나오겠지요...

론리보더 ~ ♪

2006.02.23 09:42:40
*.127.218.162

덕도 상체 연 상태로 힐턴시 상체스티어링 가능합니다.(심한 덕만 아니라면요)
전 상식이 없을지 모르지만
쌔끈라이딩님은 유연성이 부족하신 듯합니다.
리플 몇자보고 다른 사람의 상식운운하는 건 좀 그렇네요.

CABCA

2006.02.23 10:44:30
*.92.196.17

스키 상체 로테이션을 어떻게 주는지요? 그거 확인 하시면 답 나올텐데..^^

Nikki

2006.02.23 11:01:15
*.85.53.20

제가 알기론 스키는 상체 로테이션 없이 피봇을 이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허리 아래의 움직임 연습을 많이 하더군요....보드같은 경우 개인적으론 상체가 항상 보드를 끌고 다니도록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bs540

2006.02.23 14:33:20
*.236.141.38

쌔끈라이딩 님 어깨를 닫는다고 상체 로테이션이 절 때 불가한건 아니지만 요줌 추세가 어깨를 닫는 것에 중점을둔 나머지 상체 로테이션을 아예 생략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며 심지어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절 때 오깨를 오픈하면 안된다(상체스트어링 포함)는 말도 안되는 상식을 전파하는 사람들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ㅡㅡ 동영상 게시판을 보셔도 아시겠지만 약간의 어깨스티어링 마져도 어깨가 열렸다고 지적을 합니다.

쌔끈라이딩

2006.02.23 16:02:56
*.188.28.7

bs540님...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어깨를 닫는것과 로테이션은 전혀 관계없는 이야기 입니다.
턴의 과정에도 어깨를 닫아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거야말로 뭘 모르는 얘기를 하는거죠.

턴은 상체의 로테이션을 통해서 이루어 내는 것인데(이건 스키나 보드 동일합니다),
어깨가 어떻게 한 방향만 보겠습니까??? 이건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맨 처음 보드배울때 양 팔을 보드의 노즈와 테일쪽으로 두라고 배웁니다.
이게바로 어깨를 닫는 자세입니다. 그런데 타다보면 겁이나니까 자신도 모르게 어깨가
열려서 상체가 전면을 향하게 되죠. 이걸 하지말라는게 어깨를 닫으라는겁니다.

또, 기본자세를 익히고 베이직턴을 배울때 다리는 가만놔두고 상체를 돌려서 턴을하라고 합니다.
이게바로 로테이션이죠. 나중에 중급자 이상이 되면 하체 스티어링도 연습합니다만,
그때도 상체와 함께 사용하지 하체 스티어링만 하는게 아닙니다.

보드를 배우고 2~3번째 배우는게 위의 두가지 입니다.
그걸 잘 이해하지 못하면 헷갈릴수도 있겠네요... 쩝~~~

bs540

2006.02.23 16:39:32
*.236.141.38

새끈라이딩님 죄송합니다.^^;; 라이딩님 글을 똑바라 읽지도 않고 답글을 달다보니 대화가 조금 엉켰습니다.^^ 암튼 제가 말하고픈건 힐사이드턴 진입시 발생하는 약간의 어깨 로테이션 조차도 어깨가 열렸다며 지적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많은 중고급자들이 이런 잘못된 이론을 널리 전파하고 있으니 정말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지요...

太風™

2006.02.23 17:09:08
*.221.17.191

좋은 토론주제 인것 같습니다....저 역시 동감하는 부분이 많네요...
스크랩을 해갔는데..,,당시 컴상태가 이상해서 이제야 댓글 남깁니다.......추천이요...~...^-^

하운드

2006.02.23 17:27:12
*.16.255.75

맞는말~ ^^ 어께를 닫는 라이딩 자세는 그냥 간지라고 생각합니다.
상급 슬롭에 올라가면 자연스에 열리는데 말이죠... ^^

동방성기

2006.02.23 22:32:42
*.189.250.119

제 경험은 이렇습니다......힐턴시....초급..중급...상급 코스이든......
어깨를 열지 안습니다....상체로테이션을 하지 않는다는 말이 되겟지여.....
그렇다고 고릴라나 겸손 자세는 아니구여....
하지만 급경사나 쇼턴시..빠른 무릎 스티어링으로 전환할때는 힐턴시 어깨를 여는 편입니다......

So be it!

2006.02.23 23:37:40
*.234.22.56

자기가 편한 라이딩 자세를(어느정도 타는분한테는)
사람 마다 좋아하는 라이딩 자세가 있는거 같아요.. 어깨를 닫고 어깨를 열고..

작년에는 어깨 닫고 타는걸 좋아했는데.. 요즘에는 어깨를 열고 타는게 더 좋아졌어요..

램프의지니

2006.02.24 08:02:56
*.149.161.58

소문이 지날수록커지는것처럼 이것도 그렇네요...
오해가 거듭되어서 이런 토론이 올라오네요...
흔히 초보분들이 처음에 턴을들어가면 자세가 대부분 오픈이 되어있어서
토우프레스를 제대로 들어가지않아 토우프레스를 제대로 주기위해 어깨를 닫고타라 이렇게말한것이
그분들이 그 다음세대분에게 가르칠때 그것이 정자세인줄알고 그렇게 가르치다보니 이렇게 된것같네요...
그리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것이 닫고타던 열고타던 보드는 끝없이 움직이는것이죠....
상체든 하체든 로테이션없이는 힘들죠....
처음 너비스턴할때 업다운을 오버하면서하지만 나중에 거의 눈에 보이지않듯이..
점점 몸에 익숙해지면서 동작은 작아지지만 프레스는 더 강해지듯이...
닫고 타든 열고타든 로테이션은 일어나는것이죠...
그리고 바인딩각에 따라 열고닫히고도 결정되요...
작은각이난 심한덕에 열고타면 무릎이나 발목쪽에 무리도 오고 프레스가 제대로 안들어가고...
큰각일때 닫고 타도 프레스가 제대로 안들어가죠....
짧은 지식으로 몇글자 적어봅니다....
맘이 약해서 악플은 달아주지않으셨으면 하네요..^^ㅋ

Lunatrix

2006.02.24 11:06:27
*.252.70.199

상급이나 모글만 타보면 바로 답 나오지 않나요 ^^;;;;
대부분 고릴라 자세가 카빙 턴이라기 보단 카빙 주행 수준이던데

둥둥둥

2006.02.24 14:04:45
*.248.234.15

참고로 인터넷에 떠 다니는 정보의 상당수는 틀린 정보들이 많습니다.

요말이 와 닿네요..

하우

2006.02.24 20:27:31
*.132.163.150

저도 동감 상급이나 모글에서 어깨만닫고(고정상태) 라이딩하면 바로 답나옵니다.
동영상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글구 일본라이더들은 제외입니다. 왜냐? 저도 그렇게 타본적이 없어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수 없어서여

당그니

2006.02.25 00:04:52
*.145.1.23

제가 요거땜시 욕먹고있죠......라이딩만추구하는스타일이라.....
라이딩시 어께가왔따가따.....팔도왔따가따....
시즌방 에있는 동생 형왜그렇케 타요....
그래서 잠시 고릴라자세도해봤습니다....
딱 용평그린에서만 턴이가능하더군여....
아이스(제가보기엔 그냥강설)에서 쫙쫙밀리고....
랜보2 자연모글들어가면 자세가 자동으로바뀌더군여.....
고릴라가세는 파크에서도 유용하더군요....
참고로 라이딩만 5년째입니다....

Travis™

2006.02.25 01:14:27
*.60.50.156

일본에선 어께 열고 탑니다. 전방주시..
자연설이나 경사 높은데서 타보면 그 이유를 알게 됩니다!!!!
어깨 닫으면 체중이동. 엣징할때 무진장 위험합니다.

게쉬타포

2006.02.25 02:26:54
*.102.198.193

주관적인 견해 입니다만 상급 중급 초급 또는 슬롭상태를 간과하고 어깨를 여느냐 마느냐를 따지기에는 일반적으로 무리가 따른다 봅니다

물론 바인딩 각도에따라 라이더의 스타일에따라 달라질수있는 부분도 무시할순 없겠지만 10에9 어께를 닫고 고릴라자세의 라이딩스타일은 평상시 중급코스까지 슬로프상태나 설질이 좋을시의 상급코스 까지라 보여집니다.
상급코스에서 아이스 깔리고 모글이 심하다면 어깨를 고정시킨 고릴라자세 좀무리라 보여지며 빠른 상하체로테이션에 무릅서스펜션이 더해져야 안정되게 내려올수 있습니다.

적절할지 모르지만 한예로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보드크로스를 보시면 이해가 빠르리라 여겨지는데 경기용 슬롭 특성상 어깨를 닫고만 탈수는 없는것처럼 간혹보여지는 초보스러운? 팔동작과 상황에따른 빠르고 정교한 상하로테이션 대처와 무릅 서스펜션은 아이스위에 살짝덮인 눈위의 불규칙한 코스를 빠르고 안정되게 라이딩 하기위해선 필수라 생각합니다.

킥커를 뛴다던가 파이프를 탄다면 조금 얘기가 틀려지겠지만 상급라이딩에 까지 적용하기에는 역시 어딘가 까칠하다 봅니다.

가끔 어깨를 열면 테일쪽이 토우방향으로 밀려나온다는분 계시는데 상하로테이션 발란스가 부족하기에 그런 현상이 나오는 거라보여지구요. 이에 반론을 제기하시는분 있을수 있습니다만 과연 어깨를굳게닫은 고릴라자세로 급경사의 파우더나 상급코스 아이스 혹은 모글깔린곳을 롱턴이아닌 밴딩턴이나 숏턴이 가능할까요.. ㅎㅎ 괴물같은분도 계시다면 엣지날 86~89정도 세운 마징가다리와 강철심장을 가지신분이 아닐까 살포시 인정합니다...-_-;;

보드도 과학적인면을 무시할수 없다 봅니다...^^
실력도 알수없는 키보드고수가 어설프게 아는척했다고 너무 구박하진 마세요~^^

seol

2006.02.25 18:18:01
*.106.232.53

우리나라 보더들은 라이딩만 추구하는사람들이 그렇게 많으면서 왜~! 라이딩시 유리한 바인딩각도 (예 : 앞뒷발 +30,+15) 와 그에따른 어깨열고 전방주시 자세(자세도 낮추고) 를 시도조차 안하는지!!! 아~~~ 답답할 따름입니다...... 물론 트릭등을 제외한 라이딩만을 추구한다면 말입니다.

스노라이더

2006.02.25 22:12:36
*.111.179.195

많이들 하시는 말씀처럼 기본 바인딩 각도를 놓고 본다면, 어깨를 여는것이나 닫는것이나 실질적인 각의 범위는 크게 봐도 대략 5도 내외라고 생각합니다. 5도를 각도기로 재어본다면 큰 차이가 없죠.
어깨를 열고 탄다면, 힐턴이나 토턴시 그만큼의 상체 로테이션을 해주면 그만이라고 생각합니다.
효율적이냐 비효율적이냐를 따지기 보단 개개인의 편차를 고려해 얼마나 부드럽게 타는가가 중요한게 아닐까요...

두수거늬

2006.02.26 10:41:42
*.101.153.35

자기만의 스타일이죠... ㅡㅡ;;

HUGO!

2006.02.27 01:12:08
*.28.4.49

전 주구장창 전경자세 온리 어깨 열고 탑니다

제가 가르쳐준 지인들 모두 어깨 활짝열고^^

개인소견으로 어깨 닫고 팔 축늘어트린 자세가 넘 보기싫어서요^^~

리프트에서 떨어진 놈

2006.02.27 11:19:19
*.144.184.92

가슴을 닫아라... 이 표현이 맘에 듭니다...

어깨는 힐에서 오픈 토에서 클로즈 되는게 당연하다 사료됩니다...ㅡㅡ;;

핑핑

2006.03.06 17:16:17
*.60.21.92

보더 각자에게 부여되는 자유일듯합니다
슬롭의 난이도와 상태, 턴의 종류와 데크의 특성, 그리고 보더의 신체특성등 여러가지 이유로 많은 변모가 있을듯 합니다.
자기가 타는 방법이 자신에게 가장 안전한것이라면 더할나위 없이 좋을듯 한걸요 ^^

bs540

2006.03.07 00:52:01
*.236.165.85

설사 이론을 무시한 자신만의 스타일로 탄다 치더라도 누가 뭐라할 수 있는건 아니겠죠.
하지만 그 잘못된 상식을 올바른 기술인것처럼 전한다는건 큰 오류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부활

2007.11.13 06:26:22
*.178.171.206

어깨를 여는것의 기준 ... ! 다들 같게 생각하시고 있는지 ...ㅠㅠ
레귤러의 기준으로 볼때 .. 토우에서 힐턴이 들어갈때 어깨가 먼저 선행(스키에서 말하는)을
해주어야겠죠 ~ 그러면서 상체하체가 스튜어링을 해주는데 ...
그럼 당연히 왼쪽어깨가 왼쪽발 뒷꿈치 보다 뒤쪽으로 틀어져있겟죠 ~
지금의 이 자세가 어깨가 열린거라 표현하신다면 ... 열려야 하는게 맞는거이라 생각하구여 ...
왼쪽 어깨가 왼쪽 발뒷꿈치랑 평행하다면 이걸 어깨를 닫은거라 표현하시는 거라면 ...
잘못된 자세라 생각되네요 ... 왜냐면 ... 어깨 선행이 있어야 보드가 나를 따라오려할테고 ..
그래야 더욱더 보드를 강하게 감을수 있기에 더 발전된 턴들을 할수가 있다생각합니다 !!

그리고 반대로 ..
힐턴을 하다가 토우턴을 들어갈때 ...
힐턴을하는 왼쪽 어깨가 왼쪽 발뒷꿈치보다 뒤로 간상태에서
토우턴을 들어갈때 .. 마찬가지로 선행이 되어져야 하므로 ...
턴이 들어갈때 어깨를 닫아주면서 스튜어링을 해주는것이고 ...
먼저 진행되어지고 있는 어깨 선행을 거의 동시간에 보드는 어깨를 따라 턴이진행된다고 생각됩니다 !
그러므로 ... 토우턴시에는 어깨를 닫으면서 턴 ! 힐턴시에는 어깨가 열리면서 턴 !

토우턴이든 힐턴이든 .. 어깨의 선행이 먼저여야한다는 것이죠 ^^
근데 대부분이 토우턴시에 어깨의 선행이 없으므로 힐턴보다 쳐지는 호를 그리는거라 생각합니다 !
왜냐면 토우턴을 할때는 어깨가 열려있으면 편하건등요 !
힐턴을 할땐 어깨를 열면서 스튜어링을 해주는것이기에 편한데 ..
토우턴을 할땐 어깨를 닫으면서 스튜어링을 해줘야하는데 ... 시선도 그렇고 불안하고 불편하기 때문에
버릇이 안들어져있기때문에 편하게 타기위해 자꾸 열리는 것이고 ..

그렇기 때문에 힐턴보다 덜한 스튜어링이 당연히 되는것이고 어깨의 선행도 없기때문에
토우턴을 힐턴과 같은 호를 그리기 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뒷말에 힘이 들어가
같은 호를 그리게 되는겁니다 ! 어깨의 선행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몸이 뒤틀려져 있기 때문이죠 !
아주 미세하게 말이죠 ^^ ~ 에구 .. 넘 많이 썼네요 ..

1년반이 지난 지금에야 이렇게 글을 보고 리플을 달게 됐네요 ㅠㅠ
지금에야 다들 잘 아시고 잘 타시리라 생각되네요 ..
괜히 글을 쓴거같네요 .. .헐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33
1022 헝글에서 글쓰기를 실명제로...... [21] seven 2003-10-18 50 2114
1021 해외오더.. 좋은건지..나쁜건지.. [10] [無酒世上] ... 2003-12-06 50 2191
1020 해묵은 논쟁이고 논쟁을 이미한것일수도 있는 무주리조트 레이더스상단 및 프리웨이 슬롭 보더개방에 관하여 [7] 서울특별시 2006-01-13 50 2253
1019 Factory Sale Manager의 답변은 누구나 칼럼에 있습니다 룡이 2003-11-06 49 2395
» 이론을 무시하면서까지 어깨를 꼭 닫고타야할까요? [36] bs540 2006-02-22 49 3828
1017 [re] 그냥 지나칠 수 만은 없는 문제. [9] 용쓰 2003-10-31 49 1933
1016 새로바뀐 장터계시판.. [14] so what 2006-01-19 49 2089
1015 샵-세일정보의 이벤트당첨과 경품 수령...... [10] 난다보더 2008-12-23 49 2987
1014 쓸데있는 글 & 쓸데없는 글 [26] ★레메 2003-10-29 49 2765
1013 용평파크 잘못만든거아닌가요.. [11] (분당보더)khs 2003-12-30 49 2587
1012 BOKH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7] 百日紅 2006-01-02 49 1726
1011 헝그리보더 사이트 이름으로의 캠페인에 대하여 [10] force 2003-12-22 49 2216
1010 어깨를 닫고 타는 것에 대한 나의 생각 [28] 닉네임™ 2006-03-22 49 3460
1009 장비 바꿔타기[이벤트] 어떨까요? [27] 무스 2003-09-29 48 2250
1008 사진첩에 사진올릴때는 이건 어떨까요? [14] 씰룩셀룩 2005-10-31 48 2016
1007 왁스 대신 파라핀? [12] 살모넬라 2006-01-14 48 2653
1006 토턴 어떻게 할까~~~ [80] 론리보더 ~ ♪ 2005-10-24 48 3880
1005 어느 단체에서 각종 스노우보드 대회를 주관해야 할까요? [8] 에지없는보드 2004-01-12 48 2421
1004 원숭이 폼? [13] 45情2396 2007-02-20 48 5295
1003 중고장터를 믿을수 있는길.,.. [13] see 2006-05-20 48 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