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게에 어떤 글보고 갑자기 다른분들 의견을 듣고 싶은데요..


보드를 처음 타러 간 초보가..
그 당일날 중상급자 코스를 가도 좋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전 좀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
아무리 적응이 빠르고 운동신경이 좋다해도 그 당일날은 무리가 있다고 보거등요..


근데 그런 분들이 의외로 많은거 같으셔서...
(오전에 초보슬롭에서 쫌 배우고, 오후쯤에 중상급 코스 올라가기..)


다른분들은 어케 생각하시는지...
엮인글 :

개작두

2007.01.31 10:23:02
*.14.11.68

밎는 말입니다..전 친구가 첨갈때 상급자 코스 대꾸가서 일단한번

내려오면 댄ㄷㅐ서 멋모르고 올라갓다가 한 50번 굴럿다는..ㅡ.ㅡ;;

알려주지도 않고 걍 내려오기만 하면 감잡는대서..내려가서 조낸 때렷다는;;

암튼 기본기좀 갈쳐주고 타게 하는 센쓰 ㅡ,ㅡ;필요합니다..

엉뚱 한소리만 했네 ㅋㅋ

용평마니아

2007.01.31 11:50:46
*.211.230.157

초보자를 중상급자 데리고 올라가는 이유중하나가 완사 초급에선 중심잡고 서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중상급중 그나마 사람작은곳을 골라서 데리고 올라가 낙엽을 시키더군요.. 싸그리 다 죽여버리고
싶더이다.. 초보들 낙엽도 어디로틸지 모르는 낙엽인데.. 그것도 강사가 버젓이 데리고와서 강습하더군요

그럼 같이타는 스키어분에게 한마디하죠 뽈대2개만 빌려달라고.. 내가 다 처리한다고 ;;;

..

2007.01.31 12:10:54
*.149.96.143

가장 짜증날때가 상급자에서 반딩묶고있는데 떼거지로 낄낄거리며 와서..

아우 ㅅㅂ.. 이게 사람타라는데야? 절벽이자너 이걸 어떻게 내려가...

라고 외치고 낙엽도 안되서 온몸으로 비비적대며 내려가는 부류들...

햄톨이

2007.01.31 12:19:27
*.61.207.28

우선 데크 내려놓기, 각부분 설명, 기본자쉐, 구피 레귤러 정해주기, 준비운동, 리쉬코드착용방법, 스케이팅방법등.
가장 기본기는 평지에서 강습으로 가르치고...
일딴 초보립트 옐로우 정도... 들어갑니다 요기서 립트 톡크좀 하면서 옆에 타는분들 구경시켜줌.
정상에 올라가..
간단하게 엣지 주는 방법을 가르치죠...
그러나 많은 분들이 수없이 엎어지죠...
슬롭 각도가 거의 없어서 엣지를 주면 엎어지게 되있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중급자 코스로 손잡고 올라가는 거죠...
요기는 각도가 쫌 있으니 엣지주는 연습하기에는 최적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 속도가 붙을수 있으니 위험하고요...
앞에서 잡아주는걸 추천합니다.
어느정도 엣지 감각을 느껴봤으면 다시 초급으로 내려와서 손을 잡아주면서 턴을 연습합니다.
이럴때 한발만 반딩에 착용한 상태로 가르치는게 편하더군요...
데크를 들고 슬롭을 걸어 다니면 페트롤이 와서 삑삑 거려요... ^ㅡ^;;
이정도는 핑크가 적당한듯...
그후에는 메가그린으로 이동해서 천천휘 턴하는것을 도와주면 갠찬은거 같아요...

주저리 떠들어 보았는대요...
일딴 보드는 스키보다는 제어가 좀더 안전하게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대요...
왜냐... 발 앞꿈치 혹은 뒤꿈치만 살짝 들어주면 보드가 쉽게 정지를 하지요...
일딴 이런 감각을 느끼기 위해서는 초급 슬롭 보다는 중급정도의 슬롭에서 엣지 감각을 느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저도 이런 방법으로 터득했구요...
가장큰 단점은 항상 발목에 힘이 들어가서 금방 방전이 된다는...ㅡㅡ;;;
엣지 감각을 느끼기 위해서는 중급자 슬롭을 잠깐 이용 하는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관광프로™

2007.01.31 14:26:39
*.108.71.74

아는 여자분은 보드 3년차에 실력은 너비스턴을 안정적으로 구사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사실 너비스턴이라는게 초급기술이죠.
액면만 놓고 보면 중급이나 상급슬롭에 올라가면 안될 것 같지만 이 친구는 용평 레인보우
최상급 슬롭도 참 안정적으로 컨트롤 잘 해가면서 내려오는 보더입니다. 너비스의 여왕~ ㅋㅋㅋ

허나 글쓴이의 말씀처럼 보드 처음타는 사람이 당일에 비기너턴도 안되면서 중급이상의 슬롭을
올라가는 것은 본인은 물론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한마디로 개념없는 짓이죠.

저는 처음 보드 타는 사람을 가르치게 되면 스키장에 가는 동안에 안전, 매너교육을
철저히 시킵니다. 의외로 모가 잘못하는 행동인지에 대해 개념없는 사람 많습니다.

가르치는 분에 부탁을 드리자면 누구를 가르치러 가신 날은 하루를 포기하는 심정으로 가세요.
자기가 재미없다고 내버려두고 다른 슬롭에서 논다던가 중상급 슬롭을 끌고가서는 안되요~

당그니

2007.02.01 11:48:40
*.47.176.193

너비스트만 완벽하면 랜보 1,2,3,4문제없습니다......

action

2007.02.01 12:34:37
*.74.142.121

제가 아는사람은 개작두님과 같은 상황인데 스키장 처음 간날 지산 불루 올라가서 굴러서 갈비뼈 두개에다 쇠골 뿌러졌다고 하더군요...
아무튼 문제예요...... 낙엽도 안되는데.. 중상급자코스 올라가는것은 초보 보다는 초보를 대리고 가는 그사람이 문제입니다... 아주~~~~~ 나쁜 행동입니다...

땡큐베리본즈

2007.02.02 13:35:12
*.32.151.194

올라가서 타는것까지는 머라하지 않겠는뎅....
제발 초보님들 데크가지고 장난좀 안쳤으면 합니다.. 유령데크 너무 무서버~~~

불꽃퍼플남진

2007.02.02 20:17:23
*.105.192.23

저도이제 막 S턴 시작했는데. 초급하서 타야하나 중급에서 타야하나. 대략 고민되요.
초급에서 타자니. 너무 많이 앉아 있어서. 불편하고.
중급에서 타자니. 좀 무섭고.

까먼보더

2007.02.04 15:05:41
*.111.55.227

저두 처음 배울떄 ... 강사 님? 이 무조건 중급자 로 대리고 올라가서.. 꽤 굴럿다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31
1142 BOKH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35] 百日紅 2006-08-18 57 2246
1141 J턴의 위험성에 대한 헝글님들의 의견은? [27] ★검은혜성★ 2007-01-27 57 5416
1140 아이들을 위한 보드 교육 순서에 대해 [5] youngpc 2008-12-27 57 3110
1139 스노보드 생초보 강습비 정하기를 토론해 봅시다. file [79] GATSBY 2015-01-05 57 13489
1138 "상향 평준화된 보드장비, 더싸게 살 여지는 없는가?" [83] 엉뎅방아보드 2007-02-16 57 5232
1137 강원랜드 스키&보드관련해서 고견을 얻고자 합니다. [17] 레몬레일 2006-11-25 57 3422
1136 데크-블라인드 테스트로 구별할 사람 몇이나 되나? [12] David 2003-09-22 57 3582
1135 헝글에서의 한글. [19] 몽실냥★ 2006-07-13 57 2781
1134 비로거 댓글 방지 어떨까요?? [23] **션** 2006-04-30 56 2545
1133 이게 제일 좋다!!! 이것이 제일싫다!! [53] 스뎅밥그릇 2004-03-23 56 3260
1132 홀로 질주하는 데크를 방지할 방법은? [18] Derek 2004-01-04 56 2422
1131 장비사용기의 규제 [8] 찜꽁빵꽁 2008-09-04 56 2920
1130 헝글의 장비리뷰와 자료실 운영 관련. [14] 깐찍보더 2008-09-19 56 2354
1129 여자분과 사고가 나면 무조건 남자 책임인가? [37] Pride_oF 2007-01-17 56 4276
» 초보의 중상급자 코스에 대해... [10] 브란손 2007-01-31 55 3712
1127 라이딩을 잘한다 카빙을 잘한다? 정의가 뭘까요? [6] 코뎅 2006-02-18 55 2526
1126 AS 불가능한 정식 수입된 플럭스 바인딩 [13] babel4433 2008-10-20 55 6596
1125 보드대회 참가 자격에 대해 말입니다.... [11] 열혈보더! 2006-02-05 55 1933
1124 렌탈보드는 원래 허술하다??? [14] Nin Ja™ 2006-02-19 55 3577
1123 스노우보더 랭킹제도를 도입하면 좋을듯?????? [12] 신내린 보더 2007-02-12 55 3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