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우보드 데크에 동엣지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제가 알기론 작년에 처음봤습니다만...

뉴스쿨이나 스키에도 동엣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나요?

동엣지의 장단점에는 무엇이있을런지 궁금하네요.

일반 데크엣지보다 무르다는말이 있던데.. 다른데크들에 비해서 엣지가 금방 죽을까요..?

우선 저는 08-09 알보 드레프트 150 이라는 모델을 타고있습니다.

아버의 대표적인 파크용데크였었는데 08-09 시즌에는 완전 지빙용데크로 체인지업되면서 동엣지를 사용했다고 하더군요.

작년겨울 아는형이 스폰받아서 타던 샘플 데크를 받아서 겨울에 시즌말 몇번 타보고..

그리고는 7월초에 뉴질랜드원정을와서 지금까지 쭈욱~~ 타고있습니다.

저는 파크를 즐기며 슬롭스타일을 선호하는 라이더입니다.

오늘 우연히 알게된사실이지만 엣지가 끈어진부분이 한군데도 없네요.

다른 사람들에 데크는 모두 최소 한두군데 이상.. 많게는 4~5군데 이상씩 엣지가 곳곳에 끈어진 흔적들이 보입니다.

그런 다른사람들보다 저는 박스와 레일을 더 많이 타는편인데 어째서 엣지가끈어진부분이 하나도 없을까..

동엣지라는 이유만으로?? 얼라이언과 롬에도 동엣지를 사용한데크가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혹시 자신에 데크가 동엣지이신분들? 어떠신지?

동엣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어보고싶습니다.

엮인글 :

Gatsby

2008.09.04 23:51:33
*.15.179.46

국내 최대 비철유통회사에서 종사중인 개츠비 입니다.

동엣지를 처음 쓴 데크 06-07 롬 Artifact 로 알고 있습니다. 원래 동이 철보다 용점이 낮아 가공하기 쉽고, 무르지요. 엣지로 쓴다면, 수명이 얼마 안할테지만,

엣지에 쓰이는 동은 특수강화 합동입니다. 철보다 강하지는 않지만, 일반 황동 보다는 엣지 튜닝하는데 더 쉽고 레일이나 박스 등으로 인해 엣지가 무디어 졌을

때 수리가 더 용이 하답니다. 그리고 동은 철보다 열 전도율이 높아서 카빙할때 일반 철엣지보다 속도력에서 월등합니다. 대한민국 숏트랙 선수들의

스케이트 날도 강화합동 황동으로 제작하고 있지요.

Gatsby

2008.09.04 23:53:17
*.15.179.46

어차피 스노보드 데크를 3시즌 이상 타지 않을거 생각한다면, 앞으로 강화합동을 엣지로 제작해도 무리가 없을 듯 합니다. 다만 동이 쇠보단 상당히

비싸서 단가는 살짝 올라갈듯 싶네요.

스톰Ψ

2008.09.06 23:57:44
*.13.95.245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작년에 엣지 5군데 이상 끊어지고 나서 동엣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는데 개츠비님덕에 좀 해소되는군요..

갑자기 동엣지로 바꾸고 싶어지네요....ㅎ

갯츠비님 덕에 좋은 정보 얻었네요.

떵근ⓔ

2008.09.18 19:53:52
*.211.75.102

저두 작년에 여친꺼 롬데크하나 사줬는데 금색이라 살짝 놀랬다는..

긍데 아직 희안하게 녹이 안슬었죠 -ㅅ-;

빠틀

2008.09.21 10:53:53
*.234.179.182

그럼 다른 금속으로된 엣지도 있겠네요..???
어떤것들이 있죠??

Gatsby

2008.09.23 09:14:20
*.45.1.73

일반 철로 된 엣지와 스텡으로 된 엣지도 있구요, 십년전인가 조이라이드 라는 회사는 엣지를 상당히 무른 금속으로 생산했었죠.

메이드인 USA의 엣지는 Rockwell48 이란 광에서 생산하는 철로 만들어 아주 평이 좋답니다.

쎄븐

2008.11.26 11:44:25
*.5.54.43

07/08 플로우 퀀텀 친구놈이 쓰는대 이것도 엣지가 황동이내요.. 금색(똥색)엣지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52
1342 카빙을 잘하면 스노보드 잘탄다? [47] 하윤아빠^^ 2006-05-15 -124 8415
1341 스탠스 조절과 트릭과의 관계~ [10] 쵸빠른넘 2009-12-23   6761
1340 카빙시 프레스를 어떻게 주나요?(앵글레이션, 아님 다운) [17] 장땡_1018957 2011-03-09   8058
1339 레귤러나 구피냐에 대한 또다는 생각? [18] 레봉최고 2013-01-21   2845
1338 내가 스노우보드를 잘타는or못타는 이유????? [70] X-ray 2012-10-22   5649
1337 1일 1식 다이어트!! [28] 용평유부보더 2016-04-03   9797
1336 슬롭프의 급에 따른 바인딩 채우고 탑승하기 규제? [46] 분노의쓰리 2011-01-10   5197
1335 라이딩의 궁극의 목적. [25] 주영이 2010-03-02   7343
1334 빅에어, 킥커에서 가장 듬직한 데크는...? [6] 우리에게필... 2012-08-31   2591
1333 4륜 구동 과연 설원의 '갑'인가? [31] guycool 2016-08-27   5974
1332 휘닉스파크 익스트림파크 문제점 [11] 파크레인져 2012-02-20   5498
1331 스키장별 시즌권 가성비 [44] 슴톰 2015-04-28   21248
1330 리버스캠버의라이딩...과연진실은 [43] 날으는고여사 2010-10-14   8913
1329 단체받는 스키장이 욕을 먹어야 하나요? [27] 훵구리보더 2011-12-08   3812
1328 전향각 vs 덕스텐스...... [37] 할배보더 2011-01-09   18393
1327 상급 슬롭에서 다운 언웨이티드 턴 [10] 노세™ 2012-02-15   5418
1326 고글의 투과율 선택 [7] 뒤돌면배고픔 2024-01-07   1159
1325 라이딩의 턴. [24] 위화 2010-01-01   6795
1324 오늘의 주제는 토욜에 무주가는데 스노우체인이 필요하나 안하나 를가지고 토론을 해보겠습니다. [42] 보드망탱이 2013-11-28   3437
1323 턴에 대한 물리적 고찰 [48] 나도잘타고싶다 2011-01-27   5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