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모방송에서 자동차 모의 사고를 봤는데

차량이 충돌시 뒷자석에 있는 물품들이 앞좌석쪽으로 튀어나오면서

앞좌석의 운전자와 보조석에 앉은 승객에게 더 위험한 상황이 되더군요

그래서 제생각은 뒷자석이나 폴딩이 되는 좌석에 데크를 놓으면 위험한 상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게다가 데크는 날도 날카롭고 무게도 상당하니까요...

최선의 방법은 데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인데 거의 본적이 없네요...

물론 사고는 일어나지 말아야 되는것이고

헝글여러분들이야 항상 안전운전 하시겠지만

스노우보드는 겨울에 타는 스포츠이고 겨울에는 눈이오기 마련이니

도로상태가 여름보다는 사고날 확율도 더 높지 않을까 하는생각입니다.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 알고싶습니다.




아참 뒷좌석에 승객이타지 않더라도 빈좌석에 항상 안전벨트 꼭 해놓세요...사고시 더 안전하다고 합니다.^^






엮인글 :

도수사

2009.02.27 18:36:38
*.137.175.189

한국차는 왜 뒷좌석 센터 벨트가 3점식으로 나오지 않는거죠?

빅 힛

2009.02.28 03:12:16
*.176.23.43

데크에도 안전벨트를 해야겠습니다.

집소

2009.03.03 10:26:16
*.94.41.89

데크를 앞좌석 뒤아래쪽에 각 각 끼워서 뒷자석에 하나씩 늬어두면 거의 움직이지 않던데요...
도대체 어떻게 데크를 두셨길래... 전 이해가 잘...--

데프

2009.03.06 04:07:04
*.128.219.78

차량 충돌시.. 뚫고 나오는;;

데프

2009.03.06 04:07:28
*.128.219.78

아니면 뚫고나오지는 않아도 데크가 주는 충격이 적지 않기때문에 위험하다고 하는게 아닐까요 ㅎㅎ;;

삐꾸마왕

2009.03.09 15:20:04
*.212.191.12

데크의 엣지는 생각보다 날카로워서 차를 찍어서 엉망을 만들더군요.
그래서 꼭 보드백에 넣어서 실고 다닙니다.

차 뒷유리쪽이나 뒷자석 쪽에 단단하고 무게나가는 작은 물건들은 놓지 마세요.
고속주행 시 급제동이나 추돌 시 시속 60Km 이상으로 날아와서
내 뒷통수를 갈길 지 모릅니다.
휴지통도 모서리로 맞아보세요, 얼마나 아픈지......

GS

2009.09.29 05:57:44
*.208.163.191

여포의 방천화극에 베이면...뎅강...떼구르르...-.-;;;;;;;;;;;;;;;
음...고정장치 연구중입니다.

백상어

2009.12.09 17:00:45
*.193.204.66

전 부츠, 옷, 바인딩은 트렁크에 싣고 데크는 백에 넣은뒤 뒷자리에 넣고 손잡이 부분에 안전벨트 두개 다 채워놓는데..
뭐 대파될 정도로 충격이 큰 사고라면 모르겠지만 어느정도는 커버 가능하다 생각하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다만 좀 귀찮은게 스키장 도착하면 바인딩 결합해야 한다는거..;;;

위화

2010.01.01 23:28:55
*.233.60.237

급정거 충돌 하여 노즈가 제 뒷통수로 온다면? ㅎㄷㄷ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4
242 헝글에서도 기문답 처럼 "기타 물품 판매장터" 게시판을 만들면? [16] 로빈 2007-02-22 54 3668
241 내년도 "겨울아 가지마"파티에 대해서 좋은 의견이 있으시다면? [3] 환타_ 2006-04-09 54 1728
240 헝그리보더의 미래 [22] 미연아빠 2007-05-09 54 4366
» 차량에 싣는 데크의 위험성에 대해서... [9] 6winwan 2009-02-27 54 6988
238 [re] 그냥 편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2] 노숙보더 2003-11-14 54 1982
237 04/05 시즌 여러분은 어떤 스키장을 선택할 것인가요? [77] 웃대만세 2004-03-01 54 4179
236 [떡진] 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스노보드웨어 브랜드는? [29] 정덕진 2005-12-15 54 4503
235 홍보를 위한 헝글 사진첩 이용에 대한 생각 [26] 루키로컬 2008-09-16 54 3541
234 수입의류와 보드장비 소비자가격의 현실화. [82] ken 2005-10-18 54 5265
233 [떡진] 새로운 설문 조사에 대해서.. [11] 정덕진 2006-04-18 54 1739
232 [re] 대명 야간을 이용할 시즌권자가 아닌 입장에서라면....? [5] DeadHippiE 2006-11-28 54 2157
231 속도.....두려움..... [17] curette 2005-12-06 54 3369
230 고글..뜨는 고글 지는 고글. [28] 니주가리씹빱빠 2006-01-24 54 4473
229 물물교환방 <== 요론건 어떨까요? [13] 레이아이 2006-04-19 54 2096
228 타이틀을 수정해서.... [5] 샌드 2006-02-16 54 1726
227 [re] 성우리조트는 왜 남녀 시즌권 가격을 달리받을까? [2] 분홍복면 2007-01-31 54 3153
226 올시즌 버스시즌권에 대한 버스회사의 횡포(?)에 대하여... [16] 공2 2006-10-30 54 2895
225 초보의 중상급자 코스에 대해... [10] 브란손 2007-01-31 55 3712
224 라이딩을 잘한다 카빙을 잘한다? 정의가 뭘까요? [6] 코뎅 2006-02-18 55 2526
223 AS 불가능한 정식 수입된 플럭스 바인딩 [13] babel4433 2008-10-20 55 6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