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월 전라북도 모 리조트 주차장에서 발생한 본인의 차량 파손에 대하여 당 리조트에 손해배상 질의 결과 기존 판례상 리조트에서는
손해 배상을 할 필요가 없다는 답변이 접수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영업장소의 주차장에 고객이 차량을 주차했을 때 임의 파손이 되었다면 영업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모 네티즌의 의견에 반향되는 내용이며 또한 앞으로 고객들은 일부 영업장소에 주차할 시에는
무조건 차량이 파손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여야 할 것입니다.

- 법원 판결문 -
2006. 11. 16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문 2006가소xxxxx 를 봤을 때,
고객차량파손 사고가 발생한 주차장들을 포함하여 xx리조트 내의 24개 주차장은 모두 주차요금을 받지 않는 무료 주차장이고,
xx리조트는 개별 주차장의 출입차량을 통제할 만한 감시시러이나 인원을 따로 두고 있지 않으며, 주차차량의 열쇠도 맡아 보관하지 않고
있고, 주차차량의 파손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는 다는 내용 안내판을 게시하여 두고 있다면, xx리조트는 시설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주차장소를 제공한 것에 불과하고, 주차장 이용객과 사이에 주차차량에 대한 보관 또는 감시의무를 명시적으로 약정하였거나 또는 묵시적
으로라도 그와 같은 보관 또는 감시의무를 인수하였다고 할 수 없으며, xx리조트가 직원 2명으로 하여금 (3교대 근무조)가족호텔 지역을
야간에 순찰하게 하면서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게 하였고, 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xx리조트로 하여금 단지 내의
차량의 원활한 소통과 동선 확보등을 목적으로 한 주차차량 진출입의 유도, 통제를 하게 하였다고 하더라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사건 주차장은 주차장법에 의한 부설주차장이기는 하나 요금을 받지 않는 무료 주차자이므로, 주차요금을 받는 유료 부설 주차장의
관리자에 한하여 주차차량에 대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부과하는 주차장법 제19조의 3 제2항의 적용대상도 아니다. (노상 및
노외 주차장의 관리자에 대하여 선령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부과하는 주차장법 역시 이 사건에는 적용이 없다.)

그렇다면 주차장법에 의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부담하지 않으며, 주차차량에 대한 보관 또는 감시의무를 명시적으로 약정하였거나
또는 묵시적으로 그와 같은 보관 또는 감시의무를 인수하였다고 할 수 없는 소외 회사로서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주차차량이 입은
훼손에 대하여 아무런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을 진다고 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이 사건 사고가 위 보험계약 소정의 보험사고에 해당한다고
할 수도 없다. 따라서 원고의 보험금 지급은 보험사고가 발생하지 아니하였음에도 이루어진 것으로 적법하지 아니하므로, xx리조트의
피고에 대한 손해배상채권을 대위하여 행사한다는 원고의 주장은 이유없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기각한다. - 끝 -

만약 이러하다면 앞으로 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은 차량의 관리할 수 있는 유료주차장에 주차하지 않는 이상 차량이 소손이 되어도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이야기이며, 더 쉽게 말해서 가해자를 잡지 못하면 내차가 다 부서져도 할 말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하물며, 블랙박스등을 달았다손 치더라도, 이 역시 가해자를 직접 잡지 못하면 보상 받을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앞으로는 리프트 탈 때 차량을 들고 다녀야겠네요. 한심한 처지입니다. 자차보험으로 처리할까요?
전국에 자가용을 끌고 리조트처럼 넓은 공간에 주차하신뒤에 내 차 박살날까봐 고민하셔야 하는 여러분들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엮인글 :

권기만

2010.01.19 20:16:48
*.34.248.40

응?? 영업배상책임보험 안먹힌다는건가요???
리조트 이용요금에 주차장도 당연 포함되는걸텐데.... 주차장은 써비스였단소린가-_-..

뷰티헤어

2010.01.19 20:23:01
*.253.80.126

헐.. 이거 진짜 웃기네요.. 뭐 이런 개떡같은..

노가리

2010.01.20 18:17:52
*.180.75.46

어느정도 납득이 가는 이야기 입니다..

판결문에서 나왔다시피 리조트의 주차장은 유료로 운영되는 주차장이 아니고 리조트에서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주차장이기때문에 리조트측의 보상의무는 없다고 보여지죠.

주차장에서 입은 차량파손에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경우는
전에 다른 판결문에서 읽었는데
일단은 주차장이 유료이어야 하고 차키를 맡겨놓는 주차장이어야 합니다.
유료이더라도 차키를 차주가 가져가는 경우는 주차장은 장소만 유료로 제공을 한것이지 차량의 관리의무는 차주에게
있다고 보여지며
주차장 사용료를 지불하고 차키를 맡겨두는 경우에만 주차장측의 차량관리 의무 불이행을 물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리조트에서 관리 해줘야 할거 같지만,,
리조트 입장에서 보면 주차비 따로 받는것도 아닌데 억울하기도 하겠죠;;

박지민

2010.01.29 17:38:55
*.70.105.52

당연한 소리인것을 ;;;

LEGEND

2010.01.31 21:26:12
*.136.167.72

그렇군요 ㅎㅎㅎ

맛잇어요

2010.02.12 17:50:34
*.178.21.31

선의무과실... 무료로 제공시에는 주인이 감당해야하는 범위가

자신의 물건과 동일시 취급됩니다..

한마디로 내꺼니까 망가져도 그만 아니어도 그만.. 하지만 돈을 지불한상태에서 보관을 한다면

반드시 지켜야 겟지만..

억울하시면 법을 바꿔야데여.....................

꾸욱

2010.02.22 19:39:18
*.239.139.58

뭐 법이 그렇다니까 어쩔 수 는 없는 노릇입니다만...
주차장 없는 리조트가 있다면 누가 거길 이용하겠습니까?
차없는 사람들은 상관없겠지만요 대부분 차 끌고 가자나요?
즉 리조트를 선택하고 비용을 결제할때 주차장이란 부분도 선택의 품목안에 들어가는 것이므로
주차장이 무료라고는 할 수 없다 생각됩니다.
리조트 입장에서도 주차장을 만드는 것이 회사의 이익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짓는것이지 괜히 짓나요?

박달나무

2010.08.07 21:31:49
*.237.126.55

주차료 제가 보기엔 리프트표 가격에 다 포함 시킨듯 ㅋㅋㅋ
저도 스키장 주차장에서 어떤놈이 장비로 제 차 휀다를 엣지로 찍어났더군요 -_-;;

아마 옆 차인듯..... 보통 부츠 벗으면서 차에 장비들 많이 세워 놓죠 그거 의외로 위험하더군요

한번은 부츠 벗을려고 몸을 숙이고 있었는데 차에 걸쳐 놓고 세워 놓은 장비가 쓸어지면서 제 목을 강타 -0-
다행이 헬멧에 한번 맞고 목을 쳤으니 망정이지 -0-

가끔 옆 차에 장비 세우시는분들도 계시더군요 꼭 보면 에지에 쓸려서 잔기스 남더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8
1142 부츠 275 사이즈에서 바인딩 사이즈에 대한 고찰 [8] 장어구이 2014-01-21   3515
1141 디렉트윈과, 트윈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6] 잇뽀 2011-12-25   3452
1140 Lunatrix님 칼럼에 관한 이해... [12] 안단테 2010-02-12   3013
1139 중고 헬멧 과연 뽑기인가?? [22] 리나인바스 2013-09-23   2680
1138 강사로 잘먹고 잘 살 수 있을까요? [27] 빵쿠 2014-11-16   8423
1137 통합 리프트권에 대한 초보 보더의 짧은 생각~~^^ [19] 혼이담긴보더 2011-03-14   6139
1136 보드와스키의 충돌사고후 보상이 막막하여 분통터집니다.제발 읽어주세요.ㅠ file [33] 초코무비 2016-01-15   10947
1135 빅에어...... [5] DJ.sw 2010-01-15   3654
1134 정말로 황당한 보더네요~ 보더들도 기본 예의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12] georgee 2011-03-09   7394
1133 리프트에서의 담배..ㅡ.ㅡ;; [49] 내비둬라 2011-01-31   6935
1132 박순백 칼럼에 올라온 보더에 관한 문제입니다. [65] 쿨러닝! 2012-01-10   7450
1131 카페, 동호회 정기캠프시 초보자 강습과 관련하여... [9] 아르미스 2010-06-16   3258
» 리조트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고객차량파손은 고객의 몫이다. [8] 한준희 2010-01-18   3541
1129 초보에게 오히려 역캠이 좋다?? [12] H2]히로 2012-02-08   5985
1128 시즌방 게스트 비용... [12] 정~ 2011-11-28   4161
1127 다들 좋은 장비 있으신가요?? [47] 피브리조 2018-12-11   6921
1126 슬림핏 보호대 진짜 보호가 잘 되는 건가요? [34] 꽃(등심)보더 2010-11-01   5617
1125 닉네임 겨울감기 [9] 작은당 2010-12-30   3116
1124 트릭의 시작은 언제? [53] 라이딩의끝... 2010-11-05   5955
1123 자신의 시즌 년차 계산은 어떻게 하시나요?? [34] 보노보더 2011-01-13   4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