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리바운딩 관련된 글도 많이 보고


설명도 주구장창 들어서 이론상으로는 이미 뇌리에 박혀있는데 ..


좀더 구체적이거나 동영상이나 다르게 설명해주실분 안계신가요? 


프레스를 줬다가 놓아주어라 는데..턴의 마지막까지 주던 프레스가 턴이 끝날때쯤 활강시엔 자동적으로 프레스가 없어지는데


자동적으로 리바운딩이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런게 아니라면 업을 제대로 못해줘서 그런걸까요?


숏턴을 할땐 리바운딩까진 아니고 스키의 숏턴처럼 살짝꿍 뜀박질하며 잘 되거든요..


하지만 리바운딩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탄성이 잇는건 아니구요..


어쩌면 다운언웨이티브처럼 그냥 하체만 오므렸다가 폈다가 하고 잇는건지도..


하지만 숏턴으로 S자 빠르게 꺽고 내려오면 초중급 슬롭에서도 숏턴으로 원심력을 느낄정도로 하거든요..


제가 말하는 숏턴은 1초? 마다 엣지를 바꾸며 S자로 내려오는거요..정확히는 오이 곡선이라고 하는...그런 S자를..


좀더 정확히 굴곡있게 그리기도 하는데 


여튼 리바인딩이 참 안느껴지네요..


----------------------------------------------------------------------------------------

(아랫글은 이전질문 내용)

프레스를 주면 느낀다는데..


턴들어갈때 업하고 다운하고  


프레스가 일부러 다운할때 좀더 힘껏 다리를 밀어주듯이 하는건가요?


자세만 낮추는게 프레스가 아니구요?



턴을 들어가서 폴라인 수직방향으로 가로로 꺽으면 꺽을수록 자연스럽게 하중이 엄청 쏠리잔아요..


그게 프레스가 아닌가요?


가로로 90도 꺽을수록 하중이 커지고  45도로 비스듬하게 나아가면 하중이 덜해서 프레스가 덜하고 


그런거 아닌가요?


업하고 나서 다운할때 그 순간만 프레스가 좀더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이후로 나아갈땐 다운상태로 나아가니


하중에 변화도 없고 그대로잔아요? 보드 각도에 따라서 엣지와 노면에 마찰로 브레이크가 더 걸리냐 마냐 차이인거같은데..


폴라인 수직으로 그러니깐 가로로 가면 그때 엄청난 하중이 보드에 가해져서 


테일쪽이 슬립이 좀 나고 그게 턴이 터진다고 표현하는거죠? 하지만 그때가 가장 프레스가 강할때 아닌가요?


하지만 그 이후로 업을 해줘도 리바운딩은 없고 속도만 많이 줄여버리던데...

---------------------------------------------------------------------------------------------------------------------------------------------------------------------



엮인글 :

뿜삘

2015.01.19 23:34:18
*.130.11.175

아참 데크는 파나틱 팝트윈 155  이구요 몸무게는 73임다..

오매틱 꺼 익스트리모 149 도 있구요..

clous

2015.01.19 23:47:30
*.102.19.212

확실한건 턴의 마지막까지 누르면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안된다GO

2015.01.19 23:50:42
*.106.202.80

다운 -> 데크가 휘어진다 -> 업 -> 휘어진 데크가 원상태로 돌아간다

업에서 리바운드가 일어납니다(다운언웨이트는 반대).

다운해서 데크가 휘어지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이 생기는데, 이것이 리바운드입니다.

 

복잡하고 장황한 설명은 오히려 혼란만 가져옵니다.
몸을 움직이기 위한 이론은 최대한 이해하기쉽고 간결하게 정리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뮤직맨 스팅레이

2015.01.20 11:00:37
*.100.165.116

다운 -> 데크가 휘어진다 -> 업 -> 휘어진 데크가 원상태로 돌아간다

업에서 리바운드가 일어납니다(다운언웨이트는 반대).

다운해서 데크가 휘어지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이 생기는데, 이것이 리바운드입니다. --------> 명답...쉬운 설명이네요~~~

 

안된다GO

2015.01.21 05:10:11
*.106.202.80

너무 많이 알려고 하지마세요.

게시판 특성상 여러 사람들이 조언을 해주는 곳이라 자신의 주관으로 옭고 그름을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자신의 것이 없으면 혼란만 옵니다(차라리 주변에 잘타는 분 있으면 한분에게 물어보세요).

 

그리고 제 생각엔 리바운드에 신경쓰기 보다는 프레스에 신경써서 타시다보면 저절로 느끼게 되실겁니다.

예컨데, 시선이 낮아서 허리를 굽히고 타는 사람에게 허리에 신경쓰기보다 시선을 교정해주면 허리까지 펴지는 것처럼, 리바운드(예시한 허리처럼)보다는 그냥 단순하게  데크 위에 똑바로 서고 똑바로 눌러주는것만 신경써서 타시는게 훨씬 더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ㅇㅇ

2015.01.20 00:03:41
*.33.153.80

순식간에지나가죠 업타이밍이 짧은 이유기도합니다

Akapoet

2015.01.20 01:14:07
*.202.93.157

숏턴 대신 롱턴으로 해보세요.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질꺼고 리바운드도 커서 느끼기 쉬우실꺼예요.

늘품님

2015.01.20 01:36:05
*.32.185.242

저도 리바운딩을 잘못느끼지만...업타이밍을 지금보다 빠르게 가져 가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토우턴할때 턴 시작해서 토우우우우턴 하고 업하면 그때는 이미 업타이밍이 늦은겁니닫 즉 휘어져 있던 데크가 다 펴진상태죠...그래서 토우우턴 할때 즉 원심력이 느껴질때 업해야 리바운딩이 자연 스럽게 일어날거에요...아마도..저도 글로 보드를 배워서..여기까지 입니다.

Lunatrix

2015.01.20 02:12:05
*.237.143.233

단순히 프레스가 작을 뿐입니다..

물론 알리도 타이밍이 딱 맞는 순간에는 더 높이 뛰듯이, 리바운드 역시 업을 절묘하게 하면 적은 프레스로도 생기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프레스의 크기가 커야 리바운드가 생깁니다.

턴을 더 작고 빠르고 세게 하면 리바운드는 싫어도 생기게 되니 리바운드보단 턴을 잘 하는데 집중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눈이 안좋거나 데크 엣징 상태가 불량하면 죽어도 리바운드 안생깁니다.

사람 몸을 날려줄정도의 힘을 설면이 버텨줘야 하는데 눈 나쁜날은 데크가 그렇게 휘어주질 않습니다.

반면에 설질 좋은 날은 가볍게 베이직카빙만 해도 리바운드는 쉽게 생기지요.

민서파파

2015.01.20 02:37:54
*.209.42.24

일단은 프레스를 아셔야할것 같습니다..

 

예를 들자면 목욕탕 체중계 위에 서서 갑자기 무릎을 확 구부리면서 앉는 자세를 취했을때 짧은 순간이지만 체중이 확 늘어납니다. 프레스(하중)가 가해진거죠. 반대로 앉아있는 자세에서 확 일어서게 되면 일어서는 도중에는 체중계의 숫자가 올라가지만 일어서는 동작이 끝난후(다리가 완전히 펴진후) 잠깐동안은 내 체중보다 낮은 체중이 기록됩니다.(압력의 해제)

 

라이딩중에는 다운을 주면서 좀더 길게 프레스 타이밍을 가져갈 수 있고(원심력때문), 엣지 체인지시 이러한 프레스를 순간적으로 해제해주면(다운→업) 눌려있던 데크가 펴지면서 리바운딩이 생기게 됩니다..

숏턴시에는 돌핀턴의 형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 롱턴시에는 펌핑처럼 데크 전체가 확 띄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쓰

2015.01.20 02:39:39
*.223.15.85

글쓰신 내용으로 보아 아직 베이직카빙 단계이시거나 턴 반경을 반원을 못 그리시는 단계로 보입니다.
리바운딩이라는건 캠버가 휘면서 순간적으로 프레스를 풀었을때 데크가 복원되려는 힘으로 올라오는겁니다. 그냥 슬롭에서 잘타신다 생각 되시는 분께 원포 부탁 드려보세요

TriPleX

2015.01.20 06:33:55
*.154.52.94

리바운딩을 모르시겟다면..

숏턴도 리바운딩을 이용한 빠른엣지 체인징 인데..

숏턴의 개념에 좀더 다운을 주시고 미들이나 롱턴 후 업 하시면 데크가 좀티겨줄텐데요..

리바운딩을 모르시는데 숏턴을 하신다니..의하하네여..^^

guycool

2015.01.20 10:53:01
*.72.22.99

리바운딩 느끼려면 일단 리바운딩 할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하죠.

강하게 다이나믹 프레스를 보드에 주어서  디캠버 시킬 수 있어야하고

리바운드를 흡수 할수도 있어야 튕겨나가지 않습니다.

캠버가 없는 보드는 매우 불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51
119451 데크스티커 사이트?! [3] 냠얌냠 2015-01-20 887
119450 바인딩 드라이버 편한건 없을까요? [9] 보더동동 2015-01-20 1340
119449 이월신품 넥스테이지 153 vs 중고 스무스150..선택은?ㅎ [13] 꼬마늑대 2015-01-20 1139
119448 지겹겠지만 데크 사이즈 질문즘요 ㅠ [4] 양념테이프 2015-01-20 689
119447 새상품 길들이기?? 왁싱용 왁스는 어떤게 있나요??? [14] 보더달마 2015-01-20 1599
119446 카빙 토턴시 질문.. [3] 히스토리 2015-01-20 1129
119445 너비스턴 연습중 질문입니다. file [2] 터프윈 2015-01-20 1247
119444 헐 ㅋㅋㅋ 바인딩도 트릭용이 따로 있었군요!!! 질문이요!! [6] 덤탱이 2015-01-20 1060
119443 요넥스 카본+검메탈 판때기는 우드가 안들어가나요? file [6] 유령™ 2015-01-20 1338
119442 보호장비 문의 드립니다. [6] 저승의바람 2015-01-20 780
119441 무주 괜찮은 렌탈샾좀 추천해주세요 카빙한번도... 2015-01-20 556
119440 카빙턴 시작시 로테이션 [7] 낙엽하러가자 2015-01-20 1519
119439 파커 장비 관련 질문 입니다. [1] DKU-최 2015-01-20 592
119438 영혼의 스티커! file DynaLizzy 2015-01-20 923
119437 살로몬 데크 풀 셋 수리 해보신분..? [5] ( ``0 쳐묵... 2015-01-20 940
119436 셀프엣징툴 문의!? [10] 곤지암솔로잉 2015-01-20 1945
119435 키커 베이직 질문 드립니다.. [5] 누워서트릭 2015-01-20 806
119434 비발디 원정가기로 했는데... [14] 금마차 2015-01-20 932
119433 지빙???? [10] DynaLizzy 2015-01-20 879
119432 리바운딩 좋은 프리덱 어떤게 있나요?? [33] poptu 2015-01-20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