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묻답상주병력 Zety 입니다.

 

첨부파일의 용량 압박으로 따로 올리네요. 죄송;;;

하이백 기울이기와 돌리기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시면 되겠네요.

전 둘 다 안 쓰지만요 ^^;

 

다 쓰고 눌렀는데 조절법 1만 남아서 다시 적어요 ㅜ.ㅡ;

 

4. High back lean forward (하이백 기울이기)

이거만큼 쉬운게 없죠. 위로 올리면 앞으로 기울여진 상태(lean forward)이고, 내리면 노멀한 상태입니다.

나사를 돌려서 느슨하게 하신뒤 조절후 다시 조으시면 됩니다.

hb_normal.jpg

노멀한 상태입니다.

hb_lean_forward.jpg

앞으로 기울인 상태(lean forward) 입니다.

 

5. High back rotation (하이백 돌리기)

아래 사진들과 같이 하이백을 돌려주시면 됩니다.

hb_rotation_1center1.jpg

돌리기 전의 상태입니다. 나사 아래 indicator가 중앙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hb_rotation_2center2.jpg

돌리기전 데크와 결합되는 일반적인 상태입니다.

hb_rotation_3control.jpg

3. 양쪽의 나사를 풀고 힐컵이나 힐루프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대각선을 만듭니다.

indicator로도 아실수 있고 구멍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구멍이 3개 있어요.

hb_rotation_4complete.jpg

4. 나사를 조으고 위에서 본 상태입니다. 삐딱하죠? ^^

hb_rotation_5top_view.jpg

5. 데크와 결합한 상태입니다.

좌측은 돌려서 데크와 평행한 상태이고 우측은 돌리지 않아 데크와 삐딱한 일반적인 상태입니다.


알리스타☆

2010.11.12 11:46:39
*.208.106.123

하이백을 데크와 평행하게 맞추는게

올바른 셋팅법인가요???

 

 

Zety

2010.11.12 11:50:56
*.165.73.254

올바른 셋팅법 까지는 아니고요

힘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보통의 경우 데크에 바인딩을 장착해서 각도를 틀어버리면

그 각도만큼 하이백도 돌아가게 되서

하이백이 평행일땐 100의 힘이 그대로 다 들어간다면

돌아간 상태에선 각도가 틀어진만큼 힘 전달에 손실이 있다고 하시더군요.

전 그 정도까진 느끼진 못해서 그냥 원래 상태로 했습니다.

천년동안

2010.11.12 19:27:43
*.196.28.101

하이백의 수직방향으로 힘이 전달이 되는데 바인딩을 결합할때 15,-10 이런식으로 15도 기울이게 되면 힘받는 축 또한

 

15도 기울어 지게되죠 그런데 카빙시 무게중심 이동에 의해 엣지의 수직방면 으로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하이백 조정을 통해 힘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것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잘 모르고 또는 귀찮다고 그냥쓰는데 그러면 괜히 비싼 바인딩을 살 이유가 없는거죠

 

비싼 바인딩일수록 이러한 부분들을 더 미세하게 조정할수 있게 되어있는데 써먹어야 그 값을 하는거죠

Zety

2010.11.13 00:37:58
*.146.197.103

기존 토론방에서도 몇 번 나왔던 내용인 걸로 검색되는데

사용자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20-40도 이상 넘어가지 않으면 별로 필요없다는 의견이 많으시네요.

그런 기능이 있기에 사용하면 좋을수도 있겠지만 크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바인딩이 제 값을 못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비싼 바인딩이 단순히 그런 기능 한두가지 더 포함되서 비싼건 아니지 않을까요?

제품의 내구성이나 충격흡수용 셋팅, 사용자의 편의성등 여러가지 측면이 강조되서 그만한 가격이 나오는거라 생각하는데요...

구글링으로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토론이 있었네요.

http://forums.vwvortex.com/showthread.php?3644838

그리고 토론방에서도 몇번 나왔던 내용이군요.

http://www.hungryboarder.com/?_filter=search&mid=Debate&search_keyword=%ED%95%98%EC%9D%B4%EB%B0%B1&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295455

 

http://www.hungryboarder.com/?_filter=search&mid=Debate&search_keyword=%ED%95%98%EC%9D%B4%EB%B0%B1&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288690

 

http://www.hungryboarder.com/?_filter=search&mid=Debate&search_keyword=%ED%95%98%EC%9D%B4%EB%B0%B1&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286227

보드타는닭

2010.11.17 13:26:09
*.223.22.112

댓글 달려고 로그인 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ECEPTICON

2010.11.19 23:51:30
*.121.180.187

의견이 여러가지라서.. 저는 순정상태도 아니고  완전 수평으로 로테이션도 아닌 중간으로

조정 했습니다

더치베어

2012.01.22 17:58:57
*.252.121.141

와우 감사합니다. 좋은정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93
» 장비 튜닝 바인딩 조절법 2 (살로몬 릴레이 프로 셀렉트) file [7] Zety 2010-11-12   8789
60 장비 튜닝 바인딩 조절법 1 (살로몬 릴레이 프로 셀렉트) file [3] Zety 2010-11-12   10175
59 기술(테크닉) 업다운 자세와 앵귤레이션의 정확한 이해 [29] 식물인간~┿_┿ 2010-11-08 4 13823
58 장비 튜닝 버튼 EST 바인딩 셋업 방법의 모든것!! by ... file [17] 보드타는 스님 2010-11-06 2 13268
57 라이딩과 근육통의 관계. [10] 주영이 2010-11-01   6656
56 장비 관련 트릭에 좋은 장비? [20] 2010-09-30 13 6105
55 초보를 위한 강좌 지빙 50/50 누구나 할 수 있어요! [11] SBdaero 2010-09-17 25 5505
54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 잘못된 습관(버릇)을 고치는 방법 [51] 겐세이짱 2010-02-25 56 23284
53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실... file [39] Lunatrix 2010-02-10 63 15406
52 장비 관련 바인딩 토캡방식 쓰시는데 자주 풀린다면... [14] 프리스퇄 2010-01-28 51 8453
51 의학,부상,사고 [의학논문] 하이백에 의한 여성 음문(성기) ... [22] poorie™♨ 2010-01-19 33 15133
50 장비 관련 플로우바인딩 세팅하기 [28] 따랑해 2009-12-02 65 18031
49 장비 구입 바인딩을 질러보자~! [56] 2009-09-09 80 11369
48 장비 튜닝 소프트부츠 라이딩(카빙)을 위한 바인딩 튜... [25] leeho730 2009-02-11 96 10532
4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지상훈련) [37] 김은석 2009-01-22 66 9199
46 기술(테크닉) 스피드 카빙과 G-포스 카빙의 차이점을 간략... [24] leeho730 2008-12-15 73 11962
45 기술(테크닉) 2% 부족한 카빙어(?)에게 보내는 제언 [31] A.J.Kuhn 2008-12-09 51 9453
44 장비 관련 플로우 바인딩도 하이백 조절이 가능하단걸 ... [6] 어따똥싸 2008-11-24 68 6336
43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셋팅 [22] BigZ 2008-02-14 105 14102
42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을 배우는 순서 [43] 으악 2008-02-07 58 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