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지난주에 지산에서 초딩의 러쉬에 요격당했었습니다.

뉴오렌지 상단에서 뒤따르는 일행 찾으려고
속도 줄이고 뒤를 돌아보는 순간 초딩스키어가 저를 요격하고 있더군요.
아이는 눈이 마주쳤는데도 10미터 이상을 날아와 요격해 버리더군요.

저는 속도가 이미 다 죽은 상태라 피할 수도 없거니와
순간적으로 내가 몸을 구부려 어설프게 피하면 아이가 걸려서 날아가 크게 다치리라 판단이 되어 온몸으로 받아주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초딩이라해도 뉴오렌지 상단 경사에서의 직활강 속도에는 감당이 않되고 저도 날아가더군요.

몸을 추스려 일어나니 아이는 완전 분해(?)된 상태로 폴라인쪽으로 머리를 두고 누워있고
스키, 폴, 모자 등등은 사방으로 흩어져 있었습니다.

바인딩 한쪽을 풀고 아이에게 다가가 상태를 확인하려고 이것저것 묻고 있는데
아랫쪽에서 아이 아빠가 스키를 풀고 올라오시더군요.
아이 아빠가 리조트 전화번호를 114에 묻고 있을 때 패트롤이 도착했고
주변을 정리해서 아이를 의무실로 데려가고 저도 따라갔습니다.

아이는 여기저기가 아프다고 했습니다.
골반부위는 찰과상과 타박상이 있었고
넘어지면서 무릎에도 충격이 있었는지 아프다며 징징거렸습니다.


아무래도 아이 아빠는 상황을 모두 직감한 듯
아이의 상태만 확인하고 가족에게 연락하면서 제게는 아무런 말도 걸지 않았습니다.
연락처를 묻는 제게 대답을 회피했지만
의무실 기록을 위해 알려달라는 패트롤의 요청에는 어쩔 수 없이 알려주더군요.
결국 전화번호 교환하라는 패트롤의 종용으로 연락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결국 아이는 응급차에 실려 병원 응급실로 갔고
아이 아빠는 렌탈장비를 의무실에 맡긴채 사라졌습니다.
(아이 아빠는 부츠를 가져다 놓아야 하는데도 그냥 가버리더군요)

저는 사고로 인해 셔틀을 놓치고
종합안내실에서 알려준 번호로 전화해 택시를 타고 이천에서 안양까지 심야할증 물어가며 집으로 왔습니다.
택시 기다리는데 아이는 별탈 없다고 아이아빠에게 문자가 왔길래
아이가 놀랐을 테니 잘 달래주라는 답문자를 보내자
또다시 아이아빠로 부터 고맙다는 답문자가 왔습니다.


여기까지는 정황에 대한 설명이었구요, 진짜로 하고 싶은 얘기는
제가 두툼한 무릎보호대 않했으면 아이 골반은 깨졌을껍니다.
제 무릎보호대 덕에 아이의 골반은 찰과상과 타박상이었지 제가 맨무릎이었으면 누군가 뼈가 깨졌을겁니다.
어쨋거나 어린아이 뼈가 약한데다가 골반이 무릎보다야 잘 깨지겠죠.
그리고 제가 상체보호대를 않했으면 제 어깨는 심한 타박상으로 무지하게 많이 고생하고 있을겁니다.
아이에 머리는 어떠했을 지는 잘 모르겠구요, 아무튼 아직도 보호대 위로 아이 머리에 받힌 어깨가 뻐근합니다.



결론 : 내 보호대가 나 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보호하더라. 그러니 꼭 보호대 착용합시다......


PS : 데크 삐딱하게 들고 타는 초보보더님들하 제발 데크로 헬멧좀 그만 찍어주삼. 글구 찍어놓구 모른 척좀 그만 하삼 ㅠ_ㅠ
엮인글 :

2010.01.19 22:33:01
*.164.231.45

와 그래도 큰사고로 이어질뻔 했는데 그만하길 정말 다행입니다...

저도 보호대의 필요성을 느껴서 그런지 무릎, 엉덩이, 하이바 이렇게만 착용하고 라이딩합니다.

손목보호대같은경우는 초반에 어떻게 배웠는지 모르겠지만 넘어질때 손을 무조건 가슴으로 모읍니다.

손목보호대를 하게되면 손을짚을듯한 느낌에 착용안하고 타는데...생각좀 해봐야겠네요..

근대 상체보호대 착용감이나 얼마나 보호하는지 후기좀 부탁해도 될련지 하나 구입은 하고 싶지만..왠지

꺼려지게 됩니다..

2010.01.20 03:55:05
*.152.67.203

정말 다행입니다....

2010.01.20 10:05:14
*.181.247.3

ㄴㄴ (위에위에분리플에대한 리플이라는 뜻입니다..)

넘어질때 손을 가슴으로 모으시다 잘못하면 모은 손이 갈비뼈를 칠수도 있으니

한번 잘 생각해보시는것도 괜찮을거같네요..



ㅠ.ㅠ

2010.01.20 11:01:35
*.247.149.126

저는 다이네즈 바이크용 상체 보호대 사용했는데요.

처음 입을 때는 불편하고 둔한 거 같아서 이거 입고 보딩이 가능할까 의심했는데,

막상 입고 타 보니 불편함은 전혀 없더라구요.

크게 넘어져 떼굴떼굴 굴러도 충격은 거의 없이 놀이 기구 탄 느낌이구요 -_-;

등 위쪽(목덜미 조금 아래쪽)으로 크게 랜딩한 적도 있었는데 그 때도 충격이 거의 없었어요.

하지만 상체보호대도 손바닥을 땅에 짚었을 때 팔에 가해지는 충격은 전혀 흡수해주지 못합니다.

손바닥은 아예 땅에 짚지 않는 게 상책인 거 같아요.
.

2010.01.20 12:49:58
*.99.62.34

넘어질때.. 손을 가슴으로 모은다는데요..

그것은 사이드 슬립할때나 해당되는 이야기 구요..

고속에서는 손 짚어야 합니다..

아니면 당신의 머리나 어깨가 먼저 땅에 닫겠죠...

물론 엄청 빠른 속도에서는 손이 나가기도 전에 땅이 올라오죠..

그리고 뒤로 역엣지 먹으면.. 고속에서는 등 부터 닫습니다..

몸을 비틀어서 팔이나 손으로 충격분산 안하면.. 그냥 뇌진탕이지요..

2010.01.20 16:20:58
*.62.87.66

저역시 올시즌들어 상체 보호대 착용중인데 일단 심적인 부담감이 적어지더군요...

조금 더운건 어쩔수 없구요 ㅡㅡ;;;;

아직 사고난적은 없지만 만족감 200%

2010.01.20 20:59:08
*.112.230.145

넘어지실 때 손을 가슴으로 모으는 것은 위험합니다.
고속에서 엎어지는 경우 팔이 나가거나 갈비뼈가 나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제가 한번은 역엣지가 앞으로 걸려 팔을 깔고 엎어졌는데 겨드랑이 부터 팔꿈치까지 멍이 들더군요.
그때도 상체보호대 없었으면 갈비뼈가 나갔을텐데 도리어 아무렇지 않고 팔만 멍풀리는데 3개월 걸렸었습니다.

몸을 비틀어 팔이나 손으로 충격을 분산시키더라도 모으거나 깔리게 하지는 마세요.
그리고 대개 헬멧을 착용하면 어지간한 뇌진탕은 막을 수 있습니다만
그 경우 목근육이 엄청 놀랍니다. 그래서 요즘은 맆트 타면 목 스트레칭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교통사고 당했을 때 보다 더한 경우도 가끔 있는데 그 때 비니만 쓴 채로 뒤통수를 받아버렸다면 분명 응급실행이죠. ^^;;;

저는 데몬에서 나온 스노보드용 상체보호대를 사용합니다.
다이네스는 너무 비싸기도 하고 키커나 파크는 않가는 편이라 소프트한 소재 위주로 된 걸 사용하고 있는데
보드복 자체가 대체로 힙필이라 그다지 티나지 않습니다.

지난 시즌에는 알파인 보더한테 등짝을 맞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도 상체보호대 덕에 미약한 타박상으로 끝났었습니다.
당시 보호대 않한 종아리 쪽은 좀 오래 고생했지만요.

2010.01.21 01:51:50
*.139.190.213

흠.. 아찔하군요...
저는 MTB다운힐용을 사용중인데 그닥 불편한지는 모르겠구요(오래사용해서..)
저저번주에 머리통랜팅을 시도(?)한적이 있드랬죠... 그다음 어꺠 떨어지고..
목근육놀랜거 말곤 다른데는 괜찮더군요....

역시 보호대는 심적안정과 실제 사고시에 어느정도 보호를 해주기에 반드시 해야되는거라
믿어의심치 않습니다!! 여러분 헬멧과 모든 보호대는 반드시합시다!!

2010.01.24 08:23:48
*.117.32.50

다행입니다만,,,
서로 사고 처리는 어떻게 됐나요?

노마

2010.01.26 20:00:49
*.112.230.145

")님께서 사고 처리가 궁금하신 것 같아서 말씀드리자면
내용에도 분위기를 풍겼지만 워낙에 제가 일방적으로 당한거라
상대방에서 비용이 들었을텐데도 전혀 연락이 없네요.
의무실에 사고경위 및 연락처랑 남겼고 전화번호도 알려줘으며
제게 청구할 비용이 있으면 보험처리해줄테니 연락하라고 했습니다만 연락이 없네요.

저도 병원갈 정도는 아니고 약간의 근육통이 좀 있긴한데 병원을 않간 관계로 연락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어줍잖게 피했으면 그 아이가 불구가 되었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오부지게 운이 없었던거구요.
제가 잘못생각하고 있다고 판단되시는 분들은 리플달아주셔도 됩니다, 혹시 저만의 착각일 수도 있으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부상 보고서 공지 사항 - [42] 관리자 2011-10-31 4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