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리프트를 타고 내리기에 관해 해보겠습니다...
일단 리프트를 탈때 지켜야할 기본적인 매너부터...
남의 보드나 스키를 긁지 않도록 주의한다.
새치기를 삼가합시다.(제가 워낙 공중도덕맨이라서... ㅡ.ㅡa)
안전요원의 통제를 잘 따른다...
리프트타고 올라갈때 쓰레기를 암떼나 버리지 맙시다...
(ㅡ.ㅡ)y-~ 도 자제하시고...(전 이게 가장 안된답니다...)
등등~*

리프트를 탈때는 일단 전에 쓴글에 있는 슬라이딩으로 줄서는곳까지 갑니다.
그리구 차례를 기다리구요...
보통 한 4명씩 타는데 사람들이 있든 없든 알아서 자기 차례가 되면 타면됩니다...
리프트타는 입구를 지나 정지선까지 가서 기둘리면 리프트가 돌아옵니다..
그럼 리프트에 앉고, 남들도 다 앉은게 확인되면
안전바를 내려줍니다...
보드는 리프트아래에 있는 받침대에 놓구요...
앉는 자리에 따라 좀 틀리긴한데 일반적으로 레귤러라면
편하게 자신의 왼편에 있는 받침대에 보드를 놓고 올라가면 됩니다...
그리고 다 올라가게 되면 안전바를 올리라는 표지판이 나타납니다...
그럼 그때 안전바를 올리고 내릴 자세를 취합니다...
내리는 자세는 레귤러라면
몸을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돌려줍니다.
그러면 보드도 따라 오른쪽으로 돌게되는데
보드의 앞이 일자( ㅣ )가 될때까지 돌려주는겁니다.
왼손과 오른손은 리프트의 의자를 잡구요.

그리구 리프트가 내리는곳에 다다르게 되서 평평한 땅이 나오면
보드의 뒷부분이 먼저 땅에 닿게 하시고, 앞부분이 따라서 땅에 닿게 하십시오..
앞부분이 먼저 닿아서 땅에 박히거나 찍혀서 끌리는일이 벌어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드를 땅에 댔으면 다음엔 의자에 갖다댄 양손으로 가볍게 리프트를 밀어주며, 앞으로 나갑니다.
그러면서 이때 중요한건 나아가기전에
오른발은 슬라이딩때 배운것처럼
바인딩과 바인딩사이에 올려놓는겁니다..

일반적으로 바인딩과 바인딩 사이엔 고무등으로 만든 패드를 붙입니다.
이건 데크와 부츠사이에 마찰력을 주어서 데크위에 발을 올려놓아도 안미끄러지게 하는거죠...
그러니까 즉, 패드위에 오른발을 올려놓는다는 겁니다...
보드는 여전히 일자로 되어있구요...

그러니까 보드를 일자로 만들고, 보드뒤를 먼저 눈에 댄다음 앞도 따라서 대주고는 오른발은 패드에 올려놓으시고, 양손으로 가볍게 밀어서 앞으로 나아가면 되는겁니다...

일반적으로 초보자코스는 리프트 내리는데가 경사가 심하게 져있지가 않아 무난하게 다들 내려가시게 될겁니다...
그러나 경사가 좀 져있거나 내려가면서 옆으로 커브가 틀어져 있는경우엔 넘어지지 않게 조심하셔야 합니다...
일단 균형을 잘잡으시고, 패드위에 올려놓은 오른발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주의하시고요...
커브에선 꺽어야 할 방향으로 틀어주시고요...

그외에도 내리실때 주의하실건 너무 빨리 리프트에서 내려가시거나 너무 늦게 내리지 말라는것과, 자신이 넘어질것 같다고 옆사람을 붙잡지 말라는겁니다...
리프트내리는곳이 경사가 심한편이 아니라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데, 괜히 다른사람 붙잡고 같이 넘어지다 다치는 수도 있으니깐요~*

이제 리프트타는것도 했으니 다음편엔 슬로프서 내려가는걸 해보겠습니다...


(에피소드 1)
제가 보드를 첨 탔던 95년도 겨울에 있었던 일입니다...
당시엔 워낙 보더들이 적어서 슬로프서 보더를 보게되면 괜히 그 사람한테 가서 말도 걸고 그랬었죠...(나만 그랬나? ㅡ.ㅡ;)
그러다 나이가 환갑은 되신 할아버지보더를 만나게 됐습니다...
너무나 경이로웠던 느낌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분이랑 괜히 친한척하며 같이 리프트타고 위를 올라가는데
제게 그러더군요..
학생~* 멋진거 보여줄까???
그러더니 너무나도 순간적으로 안전바를 들어올리고는 확 뛰어내리더군요...
그리곤 가뿐히 착지...
그런다음 씨익 웃으며 내려갔답니다...
아직도 제 기억에 가장 멋있는 보더로(가장 댄져한 보더일수도...^^)
남아있는 그분을 다시 한번 만나보고 십답니다.
그후로는 저도 늘 리프트탈때마다 한번 뛰어내리고픈 충동을 느끼는데
넘 겁나서....
근데 뛰어내리면 당연히 안되는거겠죠???
아님 뛰어내리는것이 진정 멋진 보더인가????
..  

엮인글 :

하늘을 날다.

2008.10.08 09:17:30
*.125.167.6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3357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2) 보드를 ... [1] RiderCrew~* 2001-10-29 123 8309
»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9) 왕초보 ... [1] RiderCrew 2001-10-30 123 5432
3355 장비 튜닝 육보드 헬멧도색 클리닉 [54] 육보드 2006-06-02 123 10522
3354 일반 [v(o)z 홀맨] 연탄길 여덟번째 이야기.. [5] 김태경 2001-12-17 122 2388
3353 기술(테크닉) 배워나가는 것. [59] 프리스타일 2009-02-24 122 8351
3352 해외원정 [코미][위슬러 연재 #1] - 위슬러시즌 패스... [4] 김종원 2001-10-24 122 14215
3351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카빙하기? [43] 명품뒷발 2009-02-26 121 19040
3350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 닷 컴의 신빙성...그리고 자격증... [38] 헝그리 2009-07-06 118 11659
3349 초보를 위한 강좌 알파인 초급자를 위한 조언 - 두 번째. [14] 바카스™ 2009-02-27 118 5965
3348 장비 튜닝 흰색 데크용 스티커 작업 file [7] Fred 2009-04-10 117 9897
3347 기타 다른 헝글님이 벌써 올리긴 했는데.....혹시... [5] 안섭 2007-03-09 117 2849
3346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89
3345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사진첩에 사진을 여러장 잘~~~~ 올릴... [28] 오猫 한-* 2003-06-04 116 6695
3344 일반 [그누맨]최고가 뽑은 최고의 라이더 10명...... [3] 그누맨 2001-10-25 115 4871
3343 장비 관련 [알파인] 보드 구매가이드(번역글) [10] 신민용 2009-02-18 115 5846
3342 기술(테크닉) 보드의 사이드컷과 회전반경과의 상관관계는... [10] [...] 2009-03-04 115 7777
3341 일반 우수칼럼 지기 님께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sky 2001-11-18 114 2378
3340 기타 보더를 넘어 슬로프의 아티스트가 되는 그날... [60] JohnBird 2009-03-03 113 9060
3339 초보를 위한 강좌 중고장터 Gear ( 데크 + 바인딩 + 부츠 ) 구... [12] 어화둥둥 2009-02-16 113 8312
3338 초보를 위한 강좌 스키장에서 보더찍기 노하우^^ [10] 껀이 2009-02-26 113 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