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입니다. 캡공법이 먼지 샌드위치.. 등등 보드의 공법에 대해서 말이 많져 사진까지 첨부해서 올리고 싶은데.. 일단 그냥 올립니다. 조만간에 사진작업해서 다시 올리져.. 부족하나마.. 잘못된거 있으면 멜 주세여..


캠버(CAMBER)

스노보드를 평평한 바닥위에 놓았을 때 보드의 노즈와 테일을 제외하고 중심부분이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캠버라고 하며 이 구부러진 모양은 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돕닌다. 캠버는 보드를 바닥에 놓았을때 보드의 중심부분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보고 측정한다.



캡공법(CAP CONSTRUCTION)

스노보드의 제작법중 하나로 탑시트로 보드의 에지까지 덮어놓은 것을 말한다. 이 공법은 토션의 강성을 증가시켜주고 사이드월이 없으므로 심플하고 깨끗한 외관을 가지게 된다.



댐퍼닝(DAMPENING)

고속에서 발생하기 쉬운 진동을 줄여주는 기술로 몇몇 스노보드 브랜드들은 댐퍼닝 재질을 고무로된 띠를 보드안에 삽입하기도 하는데 경에 따라서는 다양한 재질의 것들을 탑시트 위에 붙이기도 한다.



이펙트에지(EFFECTIVE EDGE)

눈에 직접 닿는 금속에지의 길이를 말한다.(턴을 할때 실제로 영향을 주는 부분)그러므로 팁과 테일의 에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익스투루드 베이스(EXTRUD BASE)

피택스로 된 베이스 재질중의 하나로 익스트루드라는 재질로 되어있다. 질이 많이 떨어지는 재질로 왁스의 흡수력이 좋지 않으며 내구성이 좋지않다.



인서트(INSERT)

스노보드에 바인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드에 넣어 고정시킨 나사의 구멍



폴리우레탄 인젝션 공법(PIC - POLYURETHANE INJECTION CONSTRUCTION)

저가의 스노보드 제작에 쓰이는 매우 일반적인 공법으로 탑시트와 베이스 내부에 폴리우레탄 폼을 쏘아서 만드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나무를 사용하는 보드보다 가볍지만 내구성이 나쁘며 한동안 무리한 라이딩을 하고나면 플렉스와 캠버가 쉽게 없어져 버린다.



리엑션 인젝션 몰딩(RIM  - REACTION INJECTION MOLDING)

스노보드제작법중 하나로 몰드 안에 우드코어를 넣은 다음 코어주변에 합성수지를 쏘아서 만드는 방법으로 내구성이 좋고 만들기가 쉽지만 좀 무거운 경향이 있다.



러닝랭스(RUNNING LENGTH)

눈에 직접 닿은 베이스의 길이



샌드위치 공법(SANDWICH CONSTRUCTION)

스노보드 제작방법중의 하나로 가장 만들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드는 제작법으로 폼과 나무 어떤것도 코어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벼운 무게와 생동감있는 플렉스 특성을 제공한다.

신터드 베이스(SINTERED BASE)

피택스 가루를 열과압력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베이스 재질로 높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 익스트루드 베이스보다 왁스의 흡수력이 훨씬 좋으며 내구성도 뛰어나다 다른 재질의 베이스보다 잘 미끄러 진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28
20 일반 전문용어 다 빼고 라이딩 스킬업이 목적이신... [5] 어드반. 2021-11-02 3 2200
19 기술(테크닉) [이론강습] 엣징과 중심축 1편. 이론이 중요... [1] 독학보더(원뽕) 2020-09-07 3 839
18 초보를 위한 강좌 용어 (전경/후경 ...) [11] 134340 2019-02-13 10 2885
1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에 사용되는 기본용어 정리 [11] 신상만타 2015-11-25 26 17432
1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3
15 일반 스노우보드 트릭 용어 [버터/버터링, 롤링]... [9] DreamSaver 2012-09-19   9049
14 기술(테크닉) 지빙 (프론트 , 백 , 보드 슬라이드 , 립 슬... [21] 레메 2009-06-11 101 11335
13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89
1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모음집(용어, 스케이팅) [16] NITRO 2008-03-21 83 7890
11 기술(테크닉) 보드용어정리 [18] 달팽 2007-01-29 67 7286
1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용어 설명 (2) [5] CHAOS™ 2006-12-04 24 6961
9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기본적인 용어설명 [12] whiteboarder 2006-12-01 30 8436
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 용어 사전(퍼옴) [9] 장미빛인생 2006-09-02 14 4598
7 초보를 위한 강좌 에어 기술(aerial)과 그랩(grab), 물구나무... [13] 다큰아이 2006-02-07 12 4397
6 일반 초보보더들이 당황해 하는 보딩 용어(초보만... [6] 럴러리 2004-02-19 13 4017
5 초보를 위한 강좌 #3.처음 갈때 준비? 비용? + 용어설명 [11] 룡이 2003-12-04 18 4672
4 일반 잘못쓰고 있는 당구 용어 바로잡기.. [19] qlrdbslt 2003-04-22 16 9288
3 일반 일본인과의 작업용어 몇가지.. [26] 아이스반 2003-03-31 12 17348
2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초보 의길 (기본용어와,낙엽-베... [14] ★초보보더★ 2003-02-12 35 5197
» 일반 [장팀장] 보드구조와 관련된 몇가지 용어 snowstyle 2001-11-16 124 4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