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 보더 여러분 이제 시즌이 코앞에 다가 왔네요..게시판 글들을 읽으면 용평 아침기온이 얼마라느니 하는 글들을 보며 드디어 보드 탈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깨닫게 해주네요.

항상 헝그리보더닷컴에서 좋은 정보를 얻었지만 실제로 글을 올리는 것은 처음이네요.

저의 내용이 많은 선배 보더분들은 당연히 알고 있을 그런 내용이지만 보드를 첨 접하는 분에게는 유용하지 않을까 해서 큰마음 먹고 올려봅니다.

제가 쓸 내용은 장비 구입에 관련된 것입니다.
물론 다른 테마의 주제들도 있지만 실제로 가장 많이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은 이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 장비구입시 절약법

  장비구입시 절약법에 대해서 저의 경험을 토대로 적어보겠습니다. 보드 장비는 대부분이 고가이어서 장비를 마련해보신분들은  그 가격에 한번씩 놀라셨을꺼라 생각됩니다. 한두번 장비를 구입해보신 분들이라면야 원래 그르려니 하

고 생각하지만 첨 구입하시는분들은 판떼기, 끈,그리고 좀 겐찮게 보이는 장화가 무슨 몇십만원씩 하느냐하고 생각하시게 될껍니다. 보드매니아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마련해야할 장비!! 그럼 이놈을 어떻게 하면 가장 싸게 살수 있을까

요? 뭐 가장 쉽게 대중매체등에 나오는 광고보고 세트로 20-30만원짜리 사면 가장 싸죠. 하지만 우리 보더들은 뽀대, 자세를 생명으로 삼지 않습니까..아마 이걸루 사셨다면 한시즌도 가기전에 후회를 하게 될겁니다.그래서 나름대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해 보았습니다. 아마 모든분들이 아시는 내용일꺼라고 생각합니다.

  
  첫 번재 방법은 이월상품을 노리는 것입니다.
이월상품의 장점은 역시 새삥이라는거죠. 물론 시즌이 한철 지났지만 남의 손을 거치지 않은 새것을 나의 손에 넣을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격에 대

한 메리트입니다. 이월상품은 보통 시즌때 팔던 가격에 비해 50%이상씩 세일해서 파니까요. 하지만 원하는 제품의 사이즈라든지 디자인 색상들을 구하기 어려운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겠네요. 일정시간이 지나면 겐찮은 이월상품들은

시즌이 시작되기도 전에 거의 자취를 감추어 버리죠. 그래서 이런 이월상품으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둘려면 여름철부터 샵근방에서 들락날락 하면서 발품팔아야겠죠. 이월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가격대 성능비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지 않을까 합니다.



  두 번째 방법은 온라인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인터넷 보급률 1위의 나라입니다. 그에 기인하여 각종 보드 사이트들이 있죠. 여기에 보면 중고장터란 곳이 있는데 이곳에 들어가보면

없는 것이 없습니다. 자기가 꼭 사고 싶은 물건이 있으면 "[삽니다]버튼데크" 이렇게 올려놓을수도 있고, 파는 물건중에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으면 직접 전화를 걸어 이야기해서 구입을 할수도 있습니다. 가격도 중고이다보니 상당히

싼건 두말할 나위도 없구요. 요즘은 디지털 카메라가 많이 일반화되어 사진도 이메일로 요구하면 볼수도 있구요. 저도 며칠전에 스패셜 블랜드 쟈켓을 이런 방법으로 샀는데 상당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작년제품이고 남의 손을 한번 타

긴 했지만 거의 새제품과 마찬가지 쟈켓을 10만원 조금 넘는 가격으로 구입했으니깐요. 그리고 중고장터에 내 놓았지만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새제품들도 상당히 올라오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새삥이죠....*^^*)

하지만 온라인상의 거래의 문제점도 몇가지 있습니다.
먼저 중고라는거죠."나는 남이 쓰는 물건을 싫어!!. 비싸도 그냥 새거 살래..' 뭐 이런 분들은 이방법이 필요없겠죠. 두번째로 믿고 하는 거래이다보니 "사기

다" 이런 소리가 많이 들리게 됩니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온라인으로 의사타진 하고 직접만나서 하는 직거래가 가장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만 시간과 거리상의 문제로 부득이 온라인 택배등으로 거래를 해야할 경우에 위와 같은 경

우가 생기죠. 돈은 입금 시켰는데 물건을 안보내주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보드브랜드라고 해서 샀는데 이미테이션 제품이라든지 그리고 물건이 실제로 이야기한 것과 상당히 틀린 경우 등 다양한 유형의 어처구니 없는 경우를 당하게 됩니

다. 이런일을 미연에 방지하려면 첫 번째로 온라인 거래를 할때 절대로 먼저 돈을 입금하는 우를 범하지 않는 것입니다. 사람의 심리는 그런 것 같습니다. 돈을 떼먹기는 쉽습니다만, 물건을 떼먹기는 쉽지 않은것처럼 보이더군요. 간혹

중고장터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 돈을 입금 시켰는데 물건을 안보내주더라 이런식의 내용은 봤지만 물건을 보냈는데 돈을 입금시키지 않더라 이런 글을
잘 보지 못했내요. 따라서 이런식으로 물건 먼저 받아보고 돈 입금시킨다면 다

른문제는 모두 방지 한거라 보여집니다. 일단 물건을 봤아 보았는데 물건이 이야기한것과 매우 다를 경우 그냥 다시 택배로 보내면 되니깐요. 하지만 서로의 신뢰를 가지고 하는 거래인 만큼 이런일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 사진이라든지

구두로 그 물건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어 위와 같은 일을 방지해야겠습니다.
여하튼 온라인 중고장터를 이용하는 것은 나름대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위에 제시한 유의사항은 반드시 명심하셔야 겠네요.


  세 번째로 주위에 아는 사람들이 처분하는 장비를 구입하는겁니다.
물론 다양한 제품이 없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고 주위에 보드 타는 사람이 없으면 실현 불가능한 일이지만 비시즌중에 보드카페등에 가입하여 열심히 활동하

다 보면 이런 재수 좋은 경우도 생깁니다. "나이번에 장비 바꾸는데 혹시 이거 쓰실래요" 뭐 이런 제품들이죠. 이방법은 초보자에게 유용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처음 보드를 입문하시는 분들이 싼 풀셑 장비를 살려니 좀 찜찜하고 그렇

다고 좋은거 살려니 돈이...ㅠ.ㅠ.....뭐 물론 데크에 기스나고 부츠 좀 닳았을지 모르지만 차라리 허접한 풀셑 사는거 보단 제생각엔 더나을꺼라 생각이 듭니다.



   네 번째 방법은 공동구매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보드장비가 고가이다 보니 자기가 원하는 제품을 공동구매하는 곳을 찾기란 쉽지 않은 것처럼 보여집니다. 그래서 이 방법의 차선책으로 여러이 한꺼번에 장비를 구입하러 가

는것입니다. 혼자가서 따로따로 장비를 구입하는것보다 장비살사람 몇 명이 모여 한꺼번에 사면, 샵주인도 박리다매의 심정으로 조금싸게 해주지 않을까요.


  이상 위에 몇가지 방법을 제시했는데 제생각에 장비 구입할 때 1만원이라도 아낄려면 부지런히 샵돌아다니고 인터넷 중고장터 매일매일 체크하고, 동호회 등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정보얻고 이래야만 그것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단지 방안에 앉아서 얼마나 싸게 살수 있을까 이렇게 고민만 해서는 절대 싸게 장비 마련할 수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런 속담이 있죠. " 일찍 일어나는 새가 모이 먼저 먹는다." 보드를 저렴하게 구입할려면 이 속담을 명심하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상 허접보더 네버스탑

멜 : hukkcd4779@hanmail.net
펀 : 019-514-4779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85
217 기술(테크닉) 오랜만에 써보는 라이딩 기초이론~!! [29] 날아라가스~!! 2011-12-22 6 11594
216 기술(테크닉) 파이프 입문을 위한 하프파이프를 배우는 단... [29] volcomsnow 2008-02-08 151 11606
215 기타 간단한 스탠스 계산법 [27] 열혈보드신동 2005-11-08 30 11652
214 장비 관련 헝그리보더의 진수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 [63] 자게졸치사빤스 2008-06-28 93 11653
213 일반 오랫만에 바인딩 각도에 대한 고찰~ [22] 바람켄타 2011-12-22 1 11658
212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 닷 컴의 신빙성...그리고 자격증... [38] 헝그리 2009-07-06 118 11663
211 기술(테크닉) 라이딩에 고민중인 애매한 초중급 분들에게. [28] 제파 2010-11-09 1 11665
210 장비 관련 바인딩 전용드라이버를 알아보자 file [12] 빨간단무지 2014-12-09 8 11675
209 장비 튜닝 바지 밑단 안끌리게....(고무줄 반만 넣기) [29] CodeH 2009-02-03 60 11701
208 의학,부상,사고 헬멧 안쓰시는 분들 꼭 헬멧착용하시기 바랍... [45] 삽질중 2008-12-17 62 11717
207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캠버에 대한 이야기 file [5] a( ‘ ⌒ ' ... 2012-07-20   11749
206 기술(테크닉) 팔이 라이딩시 미치는 영향과 팔동작과 하체... file [25] 문박사 2010-01-14 37 11751
205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차기 보딩 왜? 무엇이 문제? [22] 이종국 2003-01-02 19 11824
204 기술(테크닉) 프리스타일 보드의 라이딩에서의 기본자세 [23] FX마진 2010-12-04   11838
203 기타 누구나 스티커 제작할수 있다! (스압주의) file [25] Retro아톰 2015-10-29 15 11843
202 기타 반다나 편하게 하는방법(여자 분들 경우에욤 file [26] 리얼제이 2010-01-21 32 11870
201 해외원정 유럽배낭여행 중 스노우보드 타기(스위스 인... [19] feel와? 2010-04-03 57 11887
200 기술(테크닉) 턴의 개념. [30] 날아라가스~!! 2009-03-11 108 11907
199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7
198 장비 관련 엣지 녹 제거 및 녹방지 [14] 아스카 2006-06-02 25 1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