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여기 글들을 읽어보니.. 참 좋으신 말들과.. 다년간의 노하우에 의해..
쓰여진 경험담들이 대부분이라서.. 저 또한 중복되는 글은 안 쓰겠습니다..

먼저 보드장에서의 음식값은 정말 비싸도 너무 비싸죠~?  
진짜 맛있기라도 하면..
그래서.. 집에서 보드장으로 떠날때.. 배낭을 하나 준비해 갑니다..
보드장근처에 있는  마을에서는 무엇이든 구할수가 있습니다..
그곳은 민간인들이 사는 동네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구하실수 있습니다..
취향에 맞는, 좋아하는 음식들을 삽니다.. (단 휴대하기 좋은 놈으루 다가..)
준비해간 배낭에다 때려 넣습니다..

그리고 보드장에 가서, 라커에 보관하거나..
보관에 주의가 필요한 음식물이 있다면.. 카페테리아 주변에 핫도그나,
츄러스같은 것들을 파는 작은 부스가 보입니다.. 그곳 언니들한테 잠시 맞겨 둡니다..
그곳 언니들은 대부분 지역 주민들이 많은데.. 대부분 친절들 합니다..  
그래서 흔쾌히 승낙을 해줍니다..
그리고 보드 신나게 타고 배고프면 내려와서 배낭을 찾아, 맛있는 식사를 하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두번째 리프트권..

시즌권을 구입하면 좋긴 하지만.. 그것 조차 어려운 우리 헝그리 보더들은 다른 방법을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져~? ^^)

앞서 올려주신 글에 제가 생각하고 있던 아주 좋은 방법들 많이 있는데요..
또 한가지의 방법은..
첫째.. 보드장 개장날과 마지막 날은 리프트권 검사를 제대로 안한답니다..
실제로 그냥 타라고 하더군여.. ^^

두번째.. 요즘은 보드장에서 이벤트(스노보드 대회)를 상당히 많이 한답니다..
행사 일정을 사전에 미리 파악하셔서(보드장에서 약 1~2주전에 미리 노출을 시킵니다..) 행사가 있는 보드장으로 원정을 갑니다..
그리고 실력이 되던 안되던 대회 참가 신청을 하고.. 여기서 주의 해야할 점은 참가비가 있다는 겁니다..
대부분 1만원 정도 하는데.. 완주를 하던 못하던.. 입상을 하던 못하던..
모든 참가자들 한테는 참가기념 상품이 돌아갑니다..
대부분 공통적으로.. 전일권은 기본이고.. 대회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 상품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혹시 실력이 뛰어나신 분들은 입상 해서 상금 받아 가실수도 있을지도 모릅니다.. 개인적으루 추천해드리고 싶은 방법입니다..
객관적인 자신의 실력을 테스트할수 있는 기회일수도 있고.. 재미도 있고..
만원내고 전일권 받고.. ㅋㅋ
이상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조금이라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빨리 보드 타구 싶습니다..
행복하세여..

jun1332@hanmail.net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397 장비 튜닝 (데크튜닝 1/2) 나만의 데크를 만들어 보쟈!!! file [18] GUARDNUS 2006-11-07 -147 7508
3396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고도칸보더 2007-08-07 -120 7009
3395 헝그리 캠페인 보드 교습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에티켓도 ... [13] 우야여요 2006-12-13 -68 3600
3394 기술(테크닉) 엉덩이를 넣는 자세가 옳은가요??? [96] 쌔끈라이딩 2008-01-24 -65 11417
3393 기술(테크닉) 킥커진입시 바른 진입과 잘못된 진입 [30] volcomsnow 2007-06-26 -59 7843
3392 장비 튜닝 간단 캐픽스 튜닝 [14] 볼터치 2007-11-08 -31 7702
3391 기타 초급 파크 유저분들께 당부 말씀 (타이거 파... [92] 키커초보 2007-08-10 -26 9456
339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을 위한 작은 팁 하나(바인딩 채우... [29] ^..^ 2006-01-19 -22 8326
3389 장비 관련 영국에서 실시하는 K2 리콜 서비스 [8] leeho730 2008-05-04 -16 5339
3388 장비 관련 엔데버의 씁슬한 원가 절감정책 [28] S로마 2007-09-05 -5 6558
3387 기술(테크닉) 캡(cab)과 하프캡(half cab) [43] 카발레로 2007-02-06 -5 5906
3386 장비 튜닝 스노우 스커트 만들어봤어용^^ file [5] noriter 2011-11-14   5902
3385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3
3384 장비 관련 에폭시 도전기. file [9] Snowdorp81 2012-12-05   3510
3383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19/20 간단 인터뷰 file 잉여9 2019-01-06   1478
3382 장비 튜닝 누런색으로 변해버린 캐픽스... file [9] sky runner 2011-11-12   5404
3381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키네틱 #2 문박사 2020-05-30   349
3380 기술(테크닉) 토사이드 프레스 주는 법 file [2] 레몽레인 2018-04-03   5185
3379 의학,부상,사고 밑에 보험료 [18] 十全大補湯 2012-09-28   3393
3378 헝그리 캠페인 손재주없는 사람의 데님보드복 제작기~ file [10] ZENNIA 2011-02-14   9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