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올해 처음 보딩을 시작한 초보이지만  스키장에 가서 보면 느끼는

안타까운점이 있어 이렇게 몇자 적어볼려합니다

여러분은 보딩시 뭘쓰고 보딩을 즐기 시나요..?

고글...아님 멋들어진 썬그라스..?

의상과 더불어 보드패션아이콘의 정점이라할수있는 고글과 썬그라스

정말 개성넘치는 디자인과 저마다의 패션감각을 엿볼수 있는

좋은 아이템입니다

하지만 여러분 한번쯤 생각해보고 착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고글은 일단 접어두고 (대부분 스키나 보딩전용으로 나와서 기본적인 요건은

갖추었다고 보아집니다)

썬그라스 얘기좀 할까합니다

전두 갠적으로 고글은좀 답답해보여 오클리의 스포츠 썬글라스를 착용합니다

엑스메탈 에메랄드지요

근데 일반썬그라스를 쓰고 타시느분들 많이볼수있습니다

일단 스키장은 설면에 반사된 자외선,그냥 설면위로 폭사되는자외선,

가시광선 등으로 반드시 자외선은 100% 자단하는 제품을 착용해야하며

가시광선도 40-70% 정도는 차단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아니면 심각한 시력

장애나 설맹 같은 일시적인 장님이 될수도 있다고 합니다

근데 국내에 들어오는 일반썬그라스는자외선 차단율이 대부분

80% 정도 수준이라 하더군요(E,U규격이랍니다)  

그리고 렌즈도 폴리카보네이트나  오클리의 플루토나이트 같은

방탄소재의 렌즈를 사용해야 사고시 큰위험을 막을수 있겠죠

(플루토나이트는 9미터거리에서 권총이나 쌋건으로도 뚫을수 없다합니다)

근데 정말 재수없는얘기지만 만약

일반유리알이나 플라스틱렌즈의 썬그라스를 착용하고

넘어진 내눈동자위로,멋지게  활강하던  스키어가 충돌하며

폴로  거길 찍는 다면..?....끔찍하죠  상상하기도 싫은 일이 일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인 충돌에서도 일반썬그라스의 내구성을 아시는분이라면 쉽게 짐작이

가능할겁니다



...스키장의 썬그라스 필수입니다 ..하지만 보딩이나 스키탈때도 끼실거라면

정말 신중히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엮인글 :

血花香

2002.12.06 09:53:38
*.200.79.32

"일단 스키장은 설면에 반사된 자외선,그냥 설면위로 폭사되는자외선,
가시광선 등으로 반드시 자외선은 100% 자단하는 제품을 착용해야하며
가시광선도 40-70% 정도는 차단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아니면 심각한 시력
장애나 설맹 같은 일시적인 장님이 될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부분은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정확하게 보드장에서 선그라스를 끼지 않았을경우에 시력에 대한 효과의 연구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외국의 예를들면 외국의 경우 많은경우 보드장이 고도 2000미터 가까운곳에(물론 더 높은 곳도 더 낮은 곳도 있습니다)에 위치하여 햇볕이 상당히 강하게 쬐어집니다.
또한 그곳은 우리나라와 달리 돌산을 이용하여 보드장을 만드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말 360도 어디를 둘러봐도 온통 하얗게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맨눈으로 있으면 정말 눈이 상당히 부십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그렇게 높은고도에 설치한 보드장도 없고 대부분 슬로프를 깍아서 보드장을 만들엇기때문에 슬로프를 제외하고는 하얗게 눈이 쌓인 부분이 거의 없어서 저는 맨눈으로 타도 그렇게 눈이 부시다는건 느끼지 못했습니다...
지금 제가 적은 글또한 아직 정확한 통계나 실험을 통한것이 아니기에 저의 경험과 여러가시 생각이 통합된것이라고 말씁드립니다


물론 좋은 선그라스나 고글의 착용으로 눈을 보호해야한다는 말씀에는 이의를 제기할수도 없고
충분히 공감합니다.
그럼 앞으로도 좋은글 많이 올려주십시오

안군

2002.12.06 10:07:44
*.114.45.131

개인적으로는 선글라스도 위험하다고 봅니다.....

아무리 좋은 선글라스도 스키어가 폴대 찍어대는데 소용없습니다..
저도 작년에 고글에 폴대한번 찍혀 봤는데...

고글에난 기스볼때마다 섬뜩합니다..

Corea

2002.12.06 11:34:51
*.170.185.170

엇 이런...-_-;
저두 오클리 엑스메탈 쥴리엣 에머랄드 이리듐인데 -.-
그거 국내에 소량만 입고되서 희소성때문에 구입한건데 ㅡㅜ.
흑흑 같은 썬글라스 가진분을 뵙게 되다니 흑흑...핑크 이리듐 살껄 ㅡㅜ...흑흑

엽기토토로

2002.12.06 12:23:01
*.78.150.153

후움,.,.,,쓰실수 있으면 행복한거랍니다 꼬레아님.... 코가 낮아서 못사는 사람도 허다하다는..ㅋㅋ

1

2002.12.08 15:17:35
*.254.17.202

보드 타기엔 성글라스 자체가 위험스럽지 않을까요

몸생각한다면 당연히 고글이라고 생각함니다

▩Mr. Kim~

2002.12.09 13:12:12
*.114.123.98

고글의 한표....
선그라스보다는 고글이 더 안전하지 않을까요...^^

1

2002.12.09 20:28:29
*.234.75.120

안전한거로 치면 고글이죠..
선글라스는 햇빛으로부터나 눈을 보호하지
외부충격은 전혀 보호안되죠...
폴로 찍히면 선글라스 다리가 먼저 부러지면서
렌즈를 따라 흐르며 눈에 찍히겠죠....
고글씁시다.고글...

워니

2002.12.13 01:12:00
*.205.169.104

전 관광보더시절 썬그라쓰끼고 보딩하다 눈알(안경알) 한짝 빠졌어여 ㅡㅡ;;;

어유 챙피해

도둑의신

2002.12.13 04:50:43
*.43.168.231

경향레포츠아카데미 게시판에서 퍼온글입니다.

스포츠 선 글라스와 패션 선글라스의 차이

스노우 라이프를 멋지게 즐기기 위해서나 안전을 위해서 선글라스 하나라도 그에 맞는 제대로된 장비를 사용해야 함은 상식이다.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선글라스 및 고글을 착용하지 않고 슬로프에 나갔다가, 눈을 크게 상한 사람을 많이 보았는데,이처럼 무모함이 또 있을까?

장비 갖추기는 겨울철에 활기 넘치는 스노우 라이프를 보다 효율적으로 즐기기 위한 첫번째 과제임을 명심하고 철저한 장비 갖추기에 게을리 해서는 안되겠다.

우리가 별 생각 없이 쉽게 구입해 사용하고 있는 의류나 화장품 브랜드들의 패션 액세서리용 선글라스를 스키 및 스노우보드용으로 사용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정말 위험천만한 생각이다. 이들 패션 액세서리용 선글라스는, 말 그대로 머리위나 옷깃, 옷주머니 등에 장식하는 패션 코디네이션용 액세서리일 뿐이지, 광학렌즈를 사용한 보안경이 결코 아니다. 따라서, 이들 제품은 자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눈의 피로, 시력 손상을 유발하므로 스포츠용은 물론 운전용, 해변용, 도심용 등의 일반적인 목적의 선글라스로서도 사용하면 안된다.

그러면 운전용, 해변용, 도심용 등으로 흔히 사용되는 일반 패션 선글라스는 스키나 스노우보드 등의 스포츠용으로 사용해도 좋을까?

한마디로, 이것 또한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다. 이들 일반 패션용 선글라스의 렌즈는 모두가 깨지기 쉬운 CR39 또는 유리 소재이므로 어떤 스포츠에서도 위험하다. 또한 자외선 차단이 완벽하다고 광고하는 패션 선글라스 제품들도 실제로는 자외선 차단율이 80% 이하인 제품이 대부분이므로(실제로 유럽 산업규격인 CE 마크획득 기준이 자외선 차단율 80%임), 눈부심과 시력손상의 위험이 높다.

더구나 설사면(Snow Slope)이 활동무대인 스키, 스노우보드, 등산등의 경우, 자외선만을 100% 차단하는 선글라스만으로는 우리의 눈이 충분히 보호되지 못한다.

설사면으로부터의 강렬한 난반사광을 충분히 차단하는 설사면용(스키, 스노우보드 및 등산용) 선글라스나 고글을 착용하지 않고, 일반 패션용 선글라스를 2∼3시간 이상 착용하는 경우, 눈부심, 시력손상, 설맹현상이 생기거나 심하면 실명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들 제품은 얼굴을 감싸주는 랩어라운드형(Wrap-Around)이 아니고 평면형이라서, 눈을 시리게 하고 시신경을 손상시키는 차가운 바람이나 빛이 선글라스 측면으로부터 새어 들어온다. 또한, 시야가 좁아서, 변화무쌍한 슬로프의 박진감을 즐기는 스키나 스노우보드에는 더욱 부적합하다.

특히, 금속테 선글라스는 차가워져 얼굴이나 귀등의 접촉부위에 동상을 입힐 수 있고, 충돌이나 전복시 흉기나 마찬가지로 위험하므로 착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키 및 스노우보드를 즐길 때는, 반드시 자외선과 난반사광을 완벽히 차단하고, 플루토나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잘 깨지지 않는 렌즈이며, 바람을 충분히 막아주고 시야가 넓은 랩어라운드형 렌즈 구조로된, 탄력성과 유연성이 좋은 플라스틱 테의, 설사면용 선글라스나 고글을 착용해야만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75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올해는 데크를 눈 위에서 띄워 봅시다 [1] 레인보우시스타 2021-01-02 3 10067
336 기타 나홀로 보딩 즐기는법 [63] 나홀로보딩... 2008-12-21 108 10080
335 장비 튜닝 왁싱을 하자~~~ 으쌰으쌰~~~ [28] 으쌰... 2007-07-21 22 10110
334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입문 장비는 어떤걸 추천해야 할까? [29] JohnBird 2017-01-09 72 10135
333 기술(테크닉) 초보자를 위한 업다운 무브먼트 [11] 안가르쳐줘 2009-06-02 110 10167
332 장비 튜닝 바인딩 조절법 1 (살로몬 릴레이 프로 셀렉트) file [3] Zety 2010-11-12   10175
331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 타는 법 (좋은 스타일) [23] 사몽 2003-10-19 68 10179
330 절약법 가정용 다리미 핫왁싱용 다리미로 DIY 및 왁싱 [10] 새파랑 2011-03-25 1 10215
329 기술(테크닉) 제대로된 카빙을 하시나요? [64] 카빙 2005-12-06 13 10228
328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이란" 쉽게 짧게 이것만 이해하면 99% ... [13] 심장이통통 2015-01-24 4 10229
327 절약법 입문용 남,여 0809버튼 풀셋!!!저렴한 구매... [252] ■■간장게장■■ 2008-11-10 77 10244
326 기술(테크닉) 크로스 언더 기술에 관한 글 (동영상 포함) [28] leeho730 2008-05-14 125 10246
325 장비 관련 시즌이 코앞인데 왁싱 맡길 샾은 없을... [57] kidarim 2006-11-14 8 10248
324 기타 1415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경사도 비교표[... file [10] 삼촌1호 2014-09-10 4 10268
323 일반 보드복 바지 밑단이 자꾸 끌린다면 [18] dAbOOm 2006-12-11 12 10280
322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프레스)의 변화에 따른 카빙턴의 크... file [26] 드래곤라이더1 2014-03-05 6 10290
321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12
320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턴 어렵게 연습하지 말자~ [11] 재퐈니 2014-02-01 8 10319
319 CASI 카시 레벨1 교본 번역본 [85] callsign 2010-09-10 52 10340
318 장비 튜닝 한겨울에도 따끈한 부츠 만들기 DIY! file [32] 레이어스 2010-12-27   10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