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리바운드는 일반적으로 카빙시에만 느끼는건가요?

전 사실 제가 완사에서 사활강을 하는지, 카빙을 하는지도 모르는 초초초보입니다.(2월 25일 입문... 크흑 ㅠㅠ)

엣지자국 확인하려고 멈춰보면 제가 선 자리는 당연히 슬라이딩으로 펑퍼짐하게 펴져있고 그 위에는 제껀지 남의껀지 구분이 안가는 자국들 뿐이라, 그냥 언젠가는 되겠지하고 타기만했습니다.

여태까지 연습하면서 너비스턴에 기울기를 주는 느낌으로 연습했는데, 오늘 첫 런부터 엣지체인지시에 평소 못느껴본 느낌을 받았습니다.

통하고 몸이 살짝 붕하고 뜨는 느낌이었는데, 그때 아, 이게 리바운드구나... 라는걸 깨닳았습니다. 확실히 엣지체인지가 빠르고 재밌어지더라구요. 그런데 리바운드를 확실히 느끼는건 힐에서 토로 엣지체인지를 할때고, 토에서 힐로 엣지체인지시에는 프레스를 주기위해서 좀 그냥 발을 턴호의 바깥쪽으로 쭈욱 밀어준다는 느낌인데, 이 순간에는 리바운드같은건 잘 안느껴지네요...

그래서 질문을 요약하자면,

1. 리바운드는 주로 카빙시에 잘 느껴지나요? 너비스턴에서는 느껴지기는 어려운가요?

2. 힐에사 토로 엣지를 전환할때 리바운드를 확실히 느낍니다만, 토에서 힐로 전환할때 리바운드가 그렇게 느껴지지않습니다. 토턴시 프레스가 제대로 안들어간걸까요?
엮인글 :

bkm0714

2015.06.24 05:40:54
*.247.206.76

어디서 타고계신지 궁금하네요 ㅠ 부럽

H9

2015.06.24 20:54:08
*.196.144.123

오스트리아입니다.

강정님

2015.06.24 08:06:39
*.54.107.30

리바운딩은 다운에서 업하는 과정에 생기니 다운을 강하게 할수록 더 잘 느껴질꺼에요.

신체구조상 힐에서 토로 갈때는 반드시 업을 해야 넘어가지지만 토에서 힐로 갈때는 엉덩이만 뒤로 빼도 가능하니. 이부분에서 차이가 나는거 일수도 있겠네용.

요약하면 업다운만 신경써서하면 리바운딩은 자연스레 따라올 것 같습니다~~

안보하세용~~~

H9

2015.06.24 20:54:28
*.196.144.123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화이트비치

2015.06.25 12:09:21
*.195.216.238

윗분 말씀 보충하자면

토턴에서 힐 가실때 살짝 웨이브 하신다는 생각 하시면서

상체 들고 엉덩이 너으며 상체 뒤로이동 다음 다운동작 으로 가신다면

낭심이라고 해야할까요 ;; 하여간 앞으로 오는순간 힘이 전달됩니다 그럼 리바운드가

이루어 진다고 해야하겠져 ㅎㅎ

울트

2015.06.24 09:21:58
*.132.161.143

음 너비스턴이라기보다 슬라이딩턴에서도 느껴진다고 해야 맞겠네요

 

글로봐서는 리바운딩이 맞는거 같아요

 

리바운딩이 온다고 느끼는것은 엣지체인징 로테이션등 라이딩 스킬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셨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ㅋ

 

처음 접하면서 리바운딩을 느끼는 순간이 여태 보드타면서 제일 신세경이였던거 같네요

H9

2015.06.24 20:55:07
*.196.144.123

아 생각해보니 슬턴도 가능하겠네요. 리키님 영상에서 자주보던 돌핀도 리바운드를 이용한 슬턴종류죠?

파워카빙

2015.06.24 14:18:25
*.46.45.199

턴 마무리 시점에서 퉁~~~~ 리바운딩 붕~~붕~~~재밌습니다

H9

2015.06.24 20:56:47
*.196.144.123

확실히 엣지체인지 타이밍이 빨라지니 타는맛도 더 나는것 같아요 ㅎㅎ

화이트비치

2015.06.25 10:58:49
*.195.216.238

리바운드는 많은 요소적인 부분이 있는데요 보통 카빙 에서 많이 작용하고 데크는 정켐 에서 크다고 보시면됩니다

카빙에 특성상 엣지가 스롭에 밖혀야 가능한 턴 인데요 그말은 그만한 원심력에 의한 힘에 전달력이 작용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원심력으로 턴 할시 데크에 반발력으로 엣지 체인지시 그힘이 그대로

리바운드하며 다음 엣지시 살작  점프하는 느낌을 받는데요 이때 다운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하느냐가

중요한 요소라 생각합니다 다운업시 상하체 균형이 중요합니다 가령 엉덩이를 뒤로 많이 빼거나 허리를 많이 수기거나

 한다면 하체에 모여 있는 힘이 상체와 맞지않아  힘적 전달력이 미치지 못하여 하체만 이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 리바운드는 힘들어지져 예로  (스카이콩콩 이거 아실까요? ㅎㅎ;)  콩콩 탈때 점프하고 지면에 다시 도착할시

무릎을 일자로 쭉펴야 많은 힘이 스프링으로 전달되어 다시 점프가 가능한 것과 같은 원리 입니다 무릎이 접혀있다면

무릎에서 그힘이 자동차 쇼바와 같은 작용을 하여 힘이 분배되어 리바운드가 작아지거나 없어지는 거져 라이딩시에

무릎 피라는 말은 아님니다 ;;

잘 이해가 되셨는지 ^^;; 생각나는데로 적어 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