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pureboarding.com/movies/carve_dsl1.ramhttp://www.freechal.com/chonmaboarder카빙, 카빙.. 스키건 보드건 간에 사람들은 라이딩이 조금 된다 싶으면
여지없이 그노무 '카빙'에 목을 매기 시작한다.

카빙에 관한 오해도 가지가지다.

대개의 사람들은 카빙의 증거로 지나온 자국이 칼로 그은 듯이 얇은 원을
그리는 것을 들지만 이것은 부정확하다. 조금 슬러쉬 설질인 날에는 약간만
날을 세운 슬라이딩 턴으로도 설면 깊숙이 칼자욱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뽀송뽀송한 눈에서는 칼자욱으로 카빙의 궤적을 찾아보는 것이 분명 의미있는
일이지만, 대한민국 스노우 리조트 환경에서는 확인할 여건이 안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 한 두놈이 그어야 어느 것이 내 것인지 알지!)

카빙의 정의는 다양하지만, 단순화시키자면 턴을 하는데 있어서 베이스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오로지 강력한 프레스('加重'이라고 한다)에 의해 휘어진
데크의 엣지만을 이용한 턴이다.

업다운에 익숙해지고 데크에 기울임을 조금 능숙하게 줄 수 있을 무렵이면
이런 건방진 말을 하는 사람도 있다. "난 카빙 아니면 안 타~"  <== 이런
자들은 데크로 볼기를 좀 맞아야겠다.

카빙은 굉장히 제한적인 턴 기술이다.
모든 슬로프 환경에서 카빙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울퉁불퉁한 슬로프나 급경사에서는 카빙을 할래야 할 수도 없다. (하지만
아예 불가능하지는 않다)

비교적 카빙이 쉽다는 알파인 보드조차도 적절한 슬라이딩이 가미된 턴이
반드시 필요하다.
혹시 알파인 슬라롬 경기 장면을 본 적이 있는가? 속도를 많이 내기 위해
물을 뿌려 얼려놓기까지 한 경기 슬로프에서 선수들은 컨트롤을 위해
당신들이 그토록 증오(?)하는 뒷발차기를 아주~ 능숙하게 구사한다.

김현식 프로의 말에 의하면, 슬로프 전체를 내려오면서 카빙을 안정된
자세로 할 수 있는 비율은 20% 남짓이다. 자, 이래도 당신은 카빙 아니면
절대로 안 탈 것인가? 당신은 혹시 빠른 사활강을 카빙이라고 오해하며
뿌듯해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오늘의 주제로 돌아와서 '익스트림 카빙'에 대해 말해보좌.

흔히들 동영상에서 거의 눕다시피 몸을 기울여서 마치 입으로 눈을 불도저
처럼 쓸어 먹어버릴듯 턴을 하는 모습을 보고 익스트림 카빙이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졸라 멋지긴 멋지다!

그런데 조금만 센스가 있는 보더라면 익스트림 카빙을 하고 있는 라이더의
자세가 일반적인 업다운의 카빙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레스의 강도가 최정점에 이르는 시기의 라이더의 하체를 보라. 거의
무릎을 편, 말하자면 누워서 선 자세에 가깝다는 것을 보게 된다.
무릎을 굽힌 다운 자세의 프레스가 아닌 것이다.

이것이 흔히들 말하는 밴딩턴, 내지는 다이나믹턴, 또는 뷔텔리턴의 다운
자세인 것이다.

일반적인 업다운은 엣징의 체인지가 느리고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허벅지
근육으로 견딜 수 있는 프레스의 강도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강력한 카빙턴에서는 오히려 발을 뻗으며
프레스를 가하는 다운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더불어 업 자세에서는
발중(가중의 반대)시키기 위해서 무릎을 펴며 몸 전체를 프레스의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일반 카빙보다는, 단지 무릎을 굽히며 하체를
당겨올리는 밴딩턴의 업 동작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업 자세 역시
일반 카빙과는 반대로 행하게 된다. (으? 다들 아는 내용이라고? -_-;)

어쨌거나 익스트림 카빙은 분명 뽀다구 작살에다가 턴이 감기는 느낌 또한
마약에 가까울만큼 낭창낭창하여 누구나 해 보고 싶어 하지만, 문제는 일반
카빙보다도 더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일단 날이 적당히 박혀서 그립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설질이 필요하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에 몇번 맛보기 힘든 설질이다. (자연설이 1미터 넘게
쌓이거나, 인공설을 잔뜩 뿌린 후 지나치게 눌러놓지 않은 뽀송송한 설질이
요구된다)  거의 시즌 내내 아이스반에 가까운 강설 아니면 놋데리아 슬러쉬
같은 질퍽한 설질만 맛 볼 수 있는 국내 실정에는 그림에 떡인 턴 방식이라
하겠다.

더구나 이 턴은 속도경기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턴 반경이 크고 동작 또한
커서, 누가누가 기문을 요리조리 통과해서 빨리 들어오나 하는 경기에서는
꼴등하기 딱 좋은 턴이다. 속도만으로 따지자면 쓸모 제로인 뽀다구용인
것이다.

으? 그래도 나는 곧 죽어도 해보고야 말겠다고?

그렇다면 일단 알파인으로 전향하라. 유효엣지가 긴 알파인은 익스트림
카빙에 가장 좋은 장비이다.
그게 어렵다면 당신의 프리라이드 보드에 바인딩 세팅을 양발 모두 가장
뒷쪽으로 밀고 바인딩 각도는 45/21 정도로 이빠이 전방을 향하도록 맞춰라.
그리고 엣지날을 쓰릉쓰릉 잘 갈아서 머리카락을 세로로 놓으면 두 갈래로
쪼개질 정도로 날을 벼려라. 나머지는 당신의 노력과 연습 여하에 달렸다.
더불어서 눈을 쓸어내리느라 금새 닳아버릴 장갑과 바지무릎단을 위해
여벌을 준비하던가 토시를 끼던가 아무튼 모종의 조치를 취하라.

마지막으로, 어린이날 서울랜드처럼 복닥거리는 국내 슬로프에서 좌우로 큰
회전 반경때문에 뒤에서 직활강으로 오던 스키어와 충돌하지 않기 위해
뒷통수에도 눈알을 하나 더 달기를~

너무 비관적인 내용이라고 입이 한발이나 나온, 뾰루퉁 삐진 보더에게 살짝
고백한다.
사실은 나도 맨날 드러눕는 카빙 한번 해보겠다고 온갖 지랄이라는 거슬..   ^,.^;   끝.


ps. 사진은 자료실의 [윤군]님이 올리신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엮인글 :

오빠달려

2002.12.13 01:45:34
*.204.102.36

트릭하다 넘어졌을때 수습하는 기술(약칭 트넘수기) 2편은 소재고갈로 무기한 연재 연기합니다.
(으? 아무도 안 기다렸다고요? ㅠ.ㅠ)
앞으로 각종 트릭을 연습하면서 각종 쪽팔리는 경험이 축적된 연후에 다시 올릴 거슬
약속합니다. (과연?)

Mt.Grouse

2002.12.13 01:46:35
*.209.218.181

짱입니다.

도둑의신

2002.12.13 04:56:45
*.43.168.231

짝짝짝.....베이직턴이라도 제대루 좀 해봤으면......

배불뚜기

2002.12.13 06:29:35
*.52.208.96

동감입니다. 턴을 위한 턴이 아니라 라이딩의 연속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필요할듯..뒷발차기가 여러분의 생명을 살릴수도 있다는 사실..-_-?

트넘수기

2002.12.13 09:08:12
*.254.17.231

정말 동감하는글입니다...오빠달려님 팬이예요..^^ 혼자 드넓은 곳에서..유유히..카빙을 즐기지않는이상..
우리나라에선..하루에..한번정도..할까말까..한..일이죠..

血花香

2002.12.13 10:04:07
*.200.76.232

익스트림카빙은 아니라도 자주 드러눕기는 하는데요(굴러서)

쩜코(ㅡ_.ㅡ)

2002.12.13 10:04:18
*.178.104.102

^^;; 트넘수기.. 2탄 넘 기대 되는걸요~

Corea

2002.12.13 10:14:46
*.235.43.58

카빙이 능사는 아니죠 ^^;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쥰이

2002.12.13 11:03:38
*.253.60.18

평일에만 가능한 얘기 같어염...
저더 어제랑 그저께...타면서 길게 길게 롱턴하면서 놀았는 뎅...
잼나드라구여...
근데...힐턴은 눕기가 무서워서....토쪽은 바닥으루 좀 낮게 되는 거 같기두 한데 말이져...

욱탱이

2002.12.13 12:53:55
*.252.62.50

멋찝니다....고글을 머리에 쓴 키티의 카빙두 이뿌군요..^^

고무신[UTO]

2002.12.13 13:17:17
*.126.40.5

누어서 가네여.. 흠흠.... 누어가네...누어가...

▩짱구보더

2002.12.13 14:14:41
*.183.179.78

참 조은 내용이네요^^ 저는 뭐 카빙도 안대구 트릭도 기초 수준이지만 그냥 신나게 탐미다 ^^
뭐니 뭐니 해도 즐기는게 최고져 ^^

윤군

2002.12.13 15:16:40
*.187.63.226

흐흐흐~~ 무슨말씀!!! 감솨....감격 ㅠ ㅠ

▩황석▩[직]ONE

2002.12.14 01:32:53
*.42.242.133

즐기는만큼 더 빨리 배울수잇을거같은데.^ㅡ^;
너무 억메이지안아쓰믄..;;

adnprs

2002.12.15 18:43:51
*.30.128.20

EXTREAM[EURO] CARVING TURN시 주의 사항과 몇몇TIP!!
익스트림을 걸려면
1.스피드가 어느정도 있어야 한다.
2.자세를 눕히기 때문에 시선의 확보가 제한적인다.(뒤나 옆을 거의 볼수 없다.)
3. "1"과 2"의 이유로 사고가 발생할 빈도가 높고 사고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그래서 !!!! 결론은!!!
슬로프 오픈과 엔딩때 연습하시는게 안전보딩의 지름길입니다.
오빠 달려님이 말씀하셨듯이 울나라에서 바그바글한 슬로프의 인파속에서
익스트림한다는것 자체가 억지 일수도 있기에....
슬로프오픈시 1빠따로 리프트 타고 올라가서 연습하시고!
슬로픈 엔딩때 제일 마지막으로 내려오면서 연습한는것이 가장 좋은 연습 방법입니다.
이상 허접 코멘트 였습니다.

부시

2002.12.15 19:20:17
*.27.156.146

동감....충돌의 대부분이 시야 확보 미숙...<-미숙...여자이름 아님..ㅠ.ㅠ.

올데이롱

2002.12.17 12:35:33
*.50.116.123

넘어질랑말랑 호랑나비 카빙의 비밀이 여기 담겨있었군요..

@+블랙호크다운+@

2002.12.21 23:22:51
*.244.226.194

아 아직 카빙이 안되는,,

똘이장군

2003.02.10 14:23:14
*.126.138.54

아하.. 카빙이 뭔지 이제 알았어요 ㅜ_ㅜ
그런데...
어렵군여... 아... 턴이라도 잘 했으면...
글쓰느라 고생하셨겠어요..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진짜헝그리보더

2003.07.13 22:58:07
*.41.222.177

익스트림 카빙~~쥑이졍~~^^

zzzzzz1

2006.12.15 14:27:38
*.187.28.181

하이원에서 아직 가능합니다.오전 보딩 완전 개인 슬로프 수준.평일 가보세여
아테네 라인 8시반 첫보딩 작살입니다.
평소에 해보고 싶었던거 다 됩니다.ㅋㅋㅋ

excarving

2007.12.18 00:48:00
*.91.210.191

http://www.excarving.com <<여기서는 실제로 우리나라 슬로프에서 하고 계십니다 ^^
시야확보가 어렵다고 하시는데 그건 누워있을때 이야기구요 눕기전에 뒤쪽(슬로프상당)아래쪽 다보구 공간 확보가 됐다 싶으면 눕습니다
눕는사람도 사람인데 다치려고 막눕진 않지요
익스트림카빙을 연습중인 사람으로써 눕는사람들을 안좋게(위험하게)보실까봐 적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48
357 초보를 위한 강좌 시즌 초 카빙 연습시 간단 팁 [10] 페퍼로니피자 2016-11-27 22 8957
356 일반 필라테스 도구를 이용한 포지션/밸런스 만드... file [1] kimsoda 2016-11-28 6 4132
355 기술(테크닉) 견고한 턴을 위한 조건 [1] 문박사 2016-11-29 21 5355
354 기타 1617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경사도 비교표 file [5] 삼촌1호 2016-11-30 18 10066
353 일반 스쿼트하실때 [3] 마누라몰래 2016-11-30 5 3398
352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와 가까운 손을 뻗어주세요 [4] orthodox 2016-12-07 10 5084
351 초보를 위한 강좌 권투 자세를 취해 보세여 [4] orthodox 2016-12-07 8 5010
350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 엉덩방이가 자꾸 된다면 [8] orthodox 2016-12-08 3 7668
349 절약법 5분만에 장갑리쉬코드 만들기 file [6] 아도라쏘 2016-12-08 16 5771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턴 무게즁심. [11] 보더미카엘 2016-12-11   5221
347 초보를 위한 강좌 아재의 '카빙턴 쉽게 하는 팁~~' [38] 호9 2016-12-11 21 10015
346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힐턴 터져서 엉덩방아 그림그려봤어요. file [6] 보더미카엘 2016-12-12   7265
345 기술(테크닉) 카빙의 숙제와 네츄럴포지션 [34] 천현민 2016-12-13 65 12362
344 기타 지금으로도 충분합니다. [10] 피브리조 2016-12-13 23 4026
343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66
342 초보를 위한 강좌 아재가 써보는 헝글의 명언을 찾아서~~ / 1... [21] 호9 2016-12-20 10 4065
341 장비 관련 1516 slash(슬래쉬) atv 리뷰 [3] 어깨왕블라 2016-12-21   2445
340 기술(테크닉)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 [9] 백만송이장미 2016-12-21 19 6952
339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라이딩 팁#1 바인딩 세팅 file [57] ┓푸른바다┏ 2016-12-23 23 15393
338 기술(테크닉) (한줄팁) 로테이션의 목적 [15] 홍이00 2016-12-28 39 5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