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국 라파엘입니다.

뒷발차기 보딩.. 보딩계를 휩쓸고 있는 바람(?!?) 입니다.
이 뒷발차기 보딩 덕분에 제대로 슬라이딩(드래프트,비기너)턴 하는 사람은 정말 보기 힘든 정도까지 되었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원인부터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빨리빨리' '그냥!"의 보딩문화
- 처음 보드장에 갔을때 어떻게 배우셨습니까? 스키도 마찬가지이고, 수영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냥 깊은 곳에 빠뜨려서 무작정 수영을 배우게 하는 습성 그대로를 스키에서도 도입해서 '막스키'란 용어를 태어나게 하더니, 결국 '뒷발차기보딩'이란 용어까지 양산 시킨 꼭!! 버려야할 문화입니다.
에티켓 배울 시간도 없이 그냥 타고 내려와서 하룻만에 턴을 해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인의 '빨리빨리'기질도 한몫을 합니다.
턴은 정식으로 배우면 천재가 아닌이상 2일 동안 종일 타야 턴비슷하게 해내는데 그것을 하룻만에 그냥 상급자 코스만 올라가면 상급자 라는 식의 이상한 문화가 퍼져 있습니다.

2) 속도지향의 보딩
- 사실 뒷발차기 보딩을 하면 속도가 점점 빨라집니다. 턴의 반경도 짧고 뒷발차기 보딩에 익숙해지면 직활강 비슷하게 나아가기때문이지요.
GS나 보더크로스 시합하는 것도 아닌데 빨리가면 무엇이 틀려집니까?
빨리타는 것이 마치 큰 훈장이고 자랑인듯 말하는 사람들도 문제입니다.
어떻게 타더라도 상급자 슬로프를 빨리 내려오는 것이 자랑처럼 말합니다.
-_-


뒷발차기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뭐가 문제이길래 좀 탄다는 사람들이 뒷발차기를 하지 마라고 할까요?

1) 급작스러운 정지 및 제어가 어렵다.
- 뒷발차기 턴은 상체보다 하체가 틀어져서 턴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하체가 틀어져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누가 뛰어들었을때 멈추는 것이 잘될까요?
요즘 보드장에서 스키어들과 보더들간의 충돌사태가 빈번히 일어납니다. 스키어가 보더를 치는 사고도 많이 일어나지만, 보더가 스키어를 치는 사고도 많이 일어납니다. 저는 그 원인 중의 하나를 '뒷발차기턴'에 돌리고 싶네요.
하체가 틀어져 있는 상태에서 더 틀어서 정지를? 힘듭니다.
또 직활강 비슷하게 나아가기 때문에 속도가 많이나서 멈추기는 더더욱 힘듭니다.

2) 기본적 동작을 배우지 않았으므로 다음 기술배우기가 어렵다.
- 각종 기본적 동작(몸기울이기, 중심이동 등)이 몸에 익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 기술을 배우기 무척 어렵습니다.
카빙의 기본동작들이 드래프트턴을 배운 뒤야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즉, 사칙연산을 배우고 익혀야지 방정식 등으로 넘어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분들께 드래프트턴을 처음 부터 가르쳐 드리면, 턴 하기가 어려워지므로, 다시 뒷발차기 턴으로 돌아가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처음부터 절대 뒷발차기의 매력에 빠지시지 마십시요. 자신의 스노우보드 생명을 단축시키는 마약입니다. ^_^

보충및 수정할 사항이 있으시면 첨언해주세요.

그럼 이만.
엮인글 :

adnprs

2003.01.02 01:40:27
*.147.95.37

옳은 말씀!
단 뒷발차기 drift turn 연습으로 하시구요....
어쩔수 없이 drift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가끔 연습하시구요....
음.... 뒷발차기만을 하는것은 짝짝이 입니다...
그러니 그시간에 up/down이 가미된 novice turn을 연습하세요~~~

정덕진

2003.01.02 09:56:39
*.248.235.10

오우~ 문득 저의 초보시절 생각이 ㅠ.ㅠ

파삥수[Yo]ⓞⓝⓔ

2003.01.02 10:30:20
*.98.47.144

ㅡㅡ 저 초본데요

...

2003.01.02 17:27:54
*.74.171.52

이종국님 여기까지 진출하셨네요~ 환영.

올시즌엔 무슨 보드 스폰받으셨나요?

한청년

2003.01.02 20:35:06
*.147.243.62

라파엘님 혹시 대전분 아니신지요. -_-;; DB에서 뵌거 같아서리.. 흠..

태권브이~

2003.01.02 22:30:21
*.248.137.58

저는 이론적으로는 이해가 가는데..실천이 너무 어렵더군요...
교정방법도 올려주시지. ^^

이종국

2003.01.02 22:53:28
*.230.41.241

질문에 답변... 1)로시뇰 Todd Richard 2) 대전에서 살고 있습니다. 3) 교정방법은 사람마다 틀려서... 딱! 이거다! 라고 말씀 드릴 수 없습니다. 공통되는 교정방법은 앞무릎을 굽히게 하고 양팔을 벌리게 한다음 손을 가고자 하는 방향을 먼저 가르키고 다음 상체-하체 순으로 돌아가게 하는 방법입니다. (뒷발차기의 특징은 뒷다리를 굽히고 앞다리를 폅니다. 그리고 상체/하체가 따로 놀아서 위의 방법으로...)

파랑이

2003.01.03 01:54:25
*.48.44.37

제생각은요..그것도 하나의 원인이되지만 가장 커다란문제는 우리나라의 스키장 실장때문에 있다고생각합니다..우리나라의 스키장이 과연 몇개라생각합니까??(저두몰라요ㅡ.ㅡ
)그많지도않은 스키장에 사람들이 복잡하게 있으니 턴이 잘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턴을끝까지 이쁘게 완성할려고해도 뒤에서 끼어들거나 혹은 앞에서 갑자기멈춘다면 초보자로서는 턴을 완성할수없져..그래서 빠르게 멈출수있는 뒷발차기가 되는겁니다..여기서 뒷발차기를 하여 멈춘후에 다시간다면 괞찮겠지만 님이 말씀하신대루 우리나라의 속도지향주의때문에 계속 뒷발차기로 라이딩하져 그게 습관이되서 뒷발차키보더가 된다고 생각합니다..제생각에 많은 태클부탁~아직 초보라서요^^

SoJae

2003.01.03 12:00:29
*.216.191.29

턴 하기까지 일주일이 걸렸다는........

뒷발차기 보기에두 않좋아 보이던데..
몇일 연습 해서 정석으러 타심 더 뿌듯하구 잼날꼴데~^^

이종국

2003.01.03 12:02:31
*.254.197.58

우리나라의 보드장은 총 14개입니다.(용평,알프스,피닉스,성우,대명,무주,베어스,사조,서울,양지,지산,천마산,강촌,한국콘도) 뒷발차기의 제일 큰 이유는 '빨리빨리'주의입니다. 보드장 하루와서 턴까지 해야 직성이 풀리는 조급성때문에 뒷발차기가 늘어나는 것이지요. 사람이 많아서 턴의 반경이 좁은 뒷발차기를? 작은이유가 될수 있어도 큰 원인으로 하기는 무리가 따릅니다.그리고, 강습에는 돈쓰기가 아깝다는 생각에 허접하게 타는 친구나 동호회의 초보자 회원들에게 배우는 실정에서 뒷발차기는 자연적으로 기하급수로 양산됩니다.

[馬]혜진-☆[Yo]ONE

2003.01.03 14:15:57
*.229.169.253

좋은 지적인것 같습니다^^

거북이

2003.01.03 14:29:12
*.223.180.14

제 사견으로는 뒷발차기를 하는 이유는 /빨리빨리/보다는 턴할때 상체 로테이션으로 보드를 돌리는 개념을 모르고 하체를 사용해서 중심을 잡으면서 턴하려는 것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턴을 시도할때 폴라인 방향으로 보드가 급히 내려갈때의 무서움과 특히 토우턴에서 등으로 넘어질것 같은 느낌들은 어떻게 해서든 제어를 하고자 발을 사용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뒷발차기로 이어지것이 아닐까 합니다.
턴할때 속도가 나더라도 상체를 로테이션하면서 조금만 기다리면 뒷발차기 없이도 보드가 돌아가는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봅니다.

crazyboarder

2003.01.04 13:41:37
*.170.97.137

저도 파랑이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사실 우리 보드장 실정에 초보자에게 턴을 제대로 완성하기에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걸려서
초보자들에게 턴은 꼭 의도한 순간이 아니라 한참을 준비동작이 필요한것인데 그 사이 너무 많은 위협이 있으니 급작스럽게 뒷발차기가 이루어 지지 않을까요??

SoJae

2003.01.05 22:29:46
*.179.203.66

이종국님 말이 맞습니다.
하나의 완성된 턴을 정확하게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슬롭에 사람이 많고 적고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비기너나 너비스 턴 넓은 회전 반경을 원하지 않습니다.

한턴 한턴 한다면 속도 붙을 일도 없구요 !

스키 초보가 웨데른 가르쳐 주세요하는 처럼

보드도 남자 같은 경우 중.상급 이상 올라 갈수 있다고 자만하죠.

보드장의 문제가 아니라.

접하는 횟수가 적으니.. 일찍 일찍 배워서 즐기는 데 목적이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파랑이

2003.01.06 14:46:12
*.48.37.206

웨데른이..모에요...ㅜ.ㅜ

어택

2003.01.06 21:17:57
*.51.126.104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감사합니다

소나무

2003.01.07 15:17:20
*.155.226.147


좋은글 잘읽었구요.. 딱 제야그 같네요..
저두 반성하면서 요즘 초심으로 돌아가 bbp자에이은 드레프트턴을 연습중이데..
뒷발루 노를 항상졌던 버릇이 있어서 자주 넘어지네요.. 하여간 신금을 울리는 글 잘읽고갑니다.
앞으로두 좋은 칼럼 부탁드려용~~

뽀딩그리

2003.01.09 00:34:42
*.229.253.80

초보인 저의 눈에도 리프트 타고 올라 감서
뒷발차기 하시는 분들 참 많이 보이더군여.
전 충분히 베이직턴 마스터 하고 찬찬히 할 생각입니당.^^

rec3

2003.01.13 21:29:28
*.41.33.151

잘읽었습니다.^^ 저두 초보보더임에 턴을 잘 못배웠어여.. (한번밖에 못타봤거든요..)
그런데 제가 생각해도 가끔씩 뒷발차기를 하는것 같더군여.. 그래서 이상한 기분땜에
여기저기 글을 읽어보니 그 안좋은 '뒷발차기' ....
암튼.. 낼 대명으로 여친이랑 가는데~^^ 천천히 베이직턴을 연습하구.. 여친도 잘 갈켜줘야져..여기서 배운 에티켓과 여러가지들을..
암튼 글 잘읽었습니다.

어름치

2003.01.14 00:37:11
*.147.138.155

저또한 뒷발차기 교정하기까지 무쟈게 시간이 많이 걸렸다는..
진정한 카빙의 매력을 느끼려면 기초부터 튼튼해야겠죠..

큐리보더

2003.01.14 09:54:50
*.213.1.1

정말 공감가는 글들만 올라오네요..^^
저는 이제 노비스턴 하는 사람으로서 느낀건.. 뒷발치기는 이종국님 말대로 빨리빨리인거같습니다. 어떻게든 턴을 하면서 내려오고 싶으니까 찾던중 가장 편한게 뒷발차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또한 국내 스키장 환경도 보더들의 안좋은 자세를 만드는거 같은 생각을합니다.
저도 업다운을 하면서 주위사람들과 자세교정을 이야기해볼경우 어깨를 오픈시키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뒷쪽에서 누군가가 들이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시야확보를 위해서라고 말하더군요.. 정말.. 그말이 맞는거 같은것이 레귤러 힐턴할경우 턴을 그리면서 내려가는데 뒤쪽에서 구피로 힐턴 내려온다면.. 시야가 좁아져서.. 충돌할 우려가 있는듯 하더군요..
몇번.. 당한적이 있으니가.. 저절로 어깨가 오픈되더군요..

어쨋든.. 좋은글들 잘 읽고 제 생각도 한자 적고 갑니다.^^ 즐보딩.!~

myr

2003.08.28 00:21:17
*.123.119.214

그래도 뒷발 쓰는 거랑 뒷발 차는 거랑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뒷발쪽에 액션이 있다고 해서 전부 뒷발차기는 아니거든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