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또한 완벽한 뒷발차기를 구사했던 넘입니다...물론 다른분들의 뒷발차기를 보면서 ..

무척이나 뜨금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먼저 뒷발차기는 그저 시간이 지나서 고수가 된다고 고쳐지는 병은 아니라는것입니다..

자신이 스스로를 체크하고 고쳐야겟다는 생각으로 신경써서 라이딩을 하지 않는다면

아마 평생을 그렇게 타게 될지도 모릅니다....

뒷발차기를 하게되면 초보때는 그저 마냥 신기합니다...속도 조절이 되기 때문이죠 ...

뒷발차기의 경우 거의가 브레이크 역할을 합니다...그러다보니 갑자기 스스로가 많이

늘어버린것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키죠 ..

하지만 진정 고수들의 라이딩을 보게되면 무언가 다르다는것을 느끼게 되더군여 ..


그리고는 벽에 부딪히게 댑니다...더이상의 진전이 없다는것이지요 ..


그런 부분에 잇어서 제가 너무나 후회하는것이 초보때 한번의 강습이라도 받앗다면..


하는것입니다...초보자분들 꼭~! 한번은 강습을 받아보시길 추천합니다..


그래야 뒷발차기 같은 좋지 못한 습관을 익히지 않게되니까여 ...


일단 뒷발차기를 익히신 분이라면..어느새 몸에 배어버린 경우라면...


고치기 정말 쉽지 않습니다...그래도 저의 경험을 토대로 몇가지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1. 먼저 자기 자세에 대해서 아는것이 중요합니다...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겟지요..같이 라이딩

하는분들에게 자세를 봐달라고 부탁하는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긴하나 ..남의 말을 아무리 많이

들어보아도 거울과 같이 자신을 비추어보기는 힘이 듭니다.그래서 캠코더를 이용한 동영상을

적극 추천합니다..물론 요즘 디카를 소유하신 분들이 많기때문에 동영상기능을 제공하는 디카를

포섭해서 자기 스스로가 자신의 자세에 대해 정확히 깨닫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임시방편으로 .^^ 전 저의 핸펀의 동영상 기능을 이용합니다..시간이 20초 내외로 짧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자세를 모니터링 하는데에는 그렇게 부족하지는 않답니다..물론 무리해서 그런 핸펀

살 필요는 없습니다...


2. 스스로가 뒷발차기 혹은 다른 나쁜 습관이 배어잇음을 깨달았다면 일단은 고쳐야 합니다.그러나


해보시면 알겠지만 한/두시즌동안 생긴 습관이 한두번 라이딩에 절대 고쳐 지지 않습니다.여기서


우리의 인내심이 필요하져 ..그저 단순히 자세 생각하며 라이딩을 하기에는 조금 지루함을 느끼게 되

니깐여 ..꾹 참읍시다..조금 늦은 속도로  라이딩하면서 계속 스스로를 체크 합니다.하루 이틀 정도의

시간 배분은 꼭 필요합니다..최소한의 경우에서 말입니다..이틀을 소비하고 더 많이 더 빨리 발전할 수


있다면 어느 길을 택하시겟습니까 .? 선택은 각자의 몫입니다..일년에 3~5번 보딩하시는 분들에게는

어쩜 사치일 수도 잇져 ..^^


3.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자신과 실력이 비슷한 사람과 라이딩을 하라는점입니다..강습을 받는경우는 물론 자신보다 나은 사람이

해주어야 겟지만 아닌 경우라면..절대 실력차가 큰사람들과 같이라이딩 하지 맙시다..따라가기도 벅찰

뿐더러 그런 경우에 정말 나쁜 습관들이 생겨납니다...이제 1년차 보다가 5년차 이상의 고수들과 라이딩

을 하면서 배우게 되는것도 많겟지만..자칫 제대로 배우지 못한채 트릭이나 잔재주에 빠져들기 쉽다는

것입니다..보딩은 트릭하기 위해 타는건 아니져 ..물론 적절한 내공 수위가 받쳐만 준다면 머라 하겠습니

까 .? 하지만 5년차 보더들은 그거하는데 5년 걸렷다는거 잊지 맙시다..당신은 1년차 입니다. ^^


4. 자신의 실력에 맞는 슬롭 선택..

뒷발차기와 여러가지 좋지 않은 습관을 만들어내는것들 중 가장 크나큰 이유의 하나라고 감히 말해봅니

다. 저 같은 경우에도 최상급자 슬롭에서 카빙은 고사하고 베이직 턴도 무리입니다. 당연히 이제 턴을 배

우시는분들이 상급자 코스에서의 라이딩시 분명히 뒷발차기는 생겨 납니다..또한 경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어깨는 열리게 되고 ..게다가 심할 경우 몸전체의 무게중심또한 하향 이동해서 엉덩이가 빠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이렇게 한번 상급자에서 생겨난 잘못된 자세는 초보자 코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납

니다..고쳐지기 힘들다는것이지요 ...자신에 맞는 슬로프 선택은 보드/스키장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임을 잊지 마십시요 ....


제가 써내려간 내용은 실질적인 치료법은 아니라 예방법이 되었군여..치료법은 아는게 몇개 없어서

딱히 소개드릴것이 없군요 .^^

다음에 제가 내공이 진일보한다면 치료법에 대한 글도 써보겟습니다...


그럼 항상 안전보딩/ 안전운전 하시구여 ...

새해 복도 많이들 받으세여~~~


엮인글 :

120% cool

2003.01.03 17:41:40
*.30.138.139

안녕하세요, 님의 컬럼 아주 좋았습니다. ^^
그런데 궁금한 것이..
저는 초중급 슬로프에서 주로 타는데, 타다보면 어깨를 열고 타는게 조금 편하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혹시 열고 타면 안되는 것인지.. ^^; 잘몰라서 여쭤보는 겁니다.
그럼..

겁없는팬더

2003.01.03 17:48:00
*.249.82.140

저도 여는게 편해서 물어보니 자기맘대로 하라더군여 >.<

RealReD

2003.01.03 18:03:54
*.49.58.79

어깨를 열고 타시는분들 보면 거진 알파인 보더 분들이 그렇게 타시곤 하져 ..근데 제가 듣기로는 어깨를 열게되면 나중에 좋지 않다고 하더군여...나중에 구피와 레귤러 두가지 라이딩을 다하게 될 경우..어려워 진다고 ...
전 절대 열고 타지 말라고 해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자세한 설명 드리지 못해 죄송하군여 ...(__)

아리

2003.01.03 18:22:23
*.109.40.24

어깨를 열고 타면..속도 제어가 조금 더 잘되기에..
저도 중급에서 탈땐 어깨가 많이 열리더라구여..
토턴할땐 뒷발까지 차고...ㅡㅜ
그래서 요즘 자세 열심히 교정중입니다...^^
지금은 본인 만족 80%정도 교정됐구여....
(아직 경사도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저 역시 디카로 동영상 찍어서 봤구여...
강습용 보드 비디오와 헝글분들 라이딩 하시는거 봤어여..
거울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도 열심히 했구여...

거북이

2003.01.03 21:02:59
*.223.180.15

뒷발차기를 고치는 방법은 레귤러인 경우 오른발을, 구피인 경우 왼발을 묶지 않고 타면 된다고 합니다. 뒷발을 차고 싶어도 못차게 하는 것이죠...

막내386

2003.01.03 23:27:32
*.109.101.37

어깨를 열어도 지장은 없습니다. 다만 그 열린 정도가 항상 유지만 된다면..ㅡㅡ

캐스애마021123

2003.01.04 00:51:24
*.72.46.179

어깨 여는거... 별 문제 없슴당...

血花香

2003.01.04 01:06:21
*.200.75.49

음....핸폰동영상되는거 절라 비싸서 무효

김용희

2003.01.04 01:14:18
*.217.162.246

정석은 없습니다.

┏╇NigGaA~┿┛

2003.01.04 02:51:00
*.153.125.240

칼럼참 좋네요..공감도 많이가고... 초보분들이 아니여도 꼭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것 같은 칼럼..

202boarder

2003.01.04 09:34:55
*.237.220.100

어깨가 열리면 턴이 끝까지 되질 않습니다. 시선처리도 잘 안되구여. 턴을 끝까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한 엣지 체인지는 턴도 아니고 카빙도 아닙니다.

Budweiser

2003.01.04 11:27:18
*.226.32.240

지산계신분 저 캠코더 찍어주세요

Linkin Park

2003.01.04 12:59:28
*.86.252.30

흙....제꺼 카메라폰 산지 얼마안됀거..
촬영하다 뽀사졌으니 무효 ㅠㅠ
흙....거금 68만원주고샀는데
그래도 A/S 무상으로 헀으니 유효!!!ㅋ

와니

2003.01.04 14:57:46
*.49.36.35

^^;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미다.. 한번쯤 읽어보면 이익이 있을법한 칼럼입미다.. ^^

한청년

2003.01.04 15:11:42
*.147.243.62

꼭 어깨를 닫는게 좋은것 많은 아닙니다. 큰 모글이나 몸의 균형을 잃을 시에도 어깨를
닫고만 있다면 그건 자신을 위험에 빠뜨립니다.
적절하게 어깨를 열고 닫고 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

choco-funky

2003.01.05 08:41:00
*.205.235.123

동영상 촬영 ~강추!!입니다..
저두 엄청 충격을 먹구 바로 내공 수련에 들어갔었져..;;
그리고 자신에게 적합한 슬로프 선택~에 동의동의!!
이번 시즌동안은 오렌지 걸이 될거 라는;;딴데서는 절대 안놀거에여..온지 오렌지!

빵집아들소개해도!

2003.01.05 22:44:31
*.241.74.32

어깨 여는게 머예여..-_-a

어택

2003.01.06 21:11:28
*.51.126.104

난 지금 내가 뒷발을 차는건지 어께를 열고 타는것인지도 모르고 있으니....쩝
한심하도다~~~

『원석』

2003.01.09 01:54:34
*.212.110.192

ㅎㅎ 나도 마찬가지도다~ 어깨를 열고 타는지 뒷발차기를 하는지 알길이 없도다~~ㅎㅎ

나두

2003.01.10 17:21:26
*.105.103.56

나두 그렇타. 내가 뒷발차기 하는지 어깨여는지 모른다..
남들이 잘 내려가네 .. 이소리만한다.. 아짱나..
더이상 어찌 배워야 하지?

쩡이

2003.01.11 20:30:29
*.178.101.118

프리스탕의경우 어깨와 데크의 방향이 맞아야 힘의 전달이 잘된다고 합니다
고로 어깨가 열리면 그만큼 힘이 분산 되겠죠?!!
알파인의 경우는 다르지만요^^

김 선혁

2003.01.15 02:27:48
*.217.57.76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 저도 무척 애를 쓰고 있는데... 와중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매일 5분씩 10분씩 집에서 자세 잡고 연습합니다. ^^

언젠가는

2003.01.19 23:36:20
*.183.246.25

갑자기 제자세가 어떤지 궁금해 집니다...불안하기두 하구...
누가 제 자세좀 봐주세요.. 낼 지산 갈건데 ㅡ.ㅜ

BECKHAM

2003.01.20 16:37:13
*.74.245.243

전 지금 초짜 보더인데요...어떻게 하는걸 뒷발차기라고 하고, 가슴이 열린다는건 어떤걸 의미하나요?

똘이장군

2003.02.10 15:04:28
*.126.138.54

뒷발차기라.. 무슨 행동을 의미할까요..ㅜㅜ
허..보더의길은 멀고도 험하다..
가슴을 연다는것은..가슴펴고 탄다는것과 같은의미일듯 ...
ㅠ_ㅠ 휴~

슬리핑보더

2003.02.11 17:36:27
*.155.166.147

저기,, 뒷발차기라는건요,,,,
제 경우엔 레귤러이기때문에;;;;
그럼 오른발(뒷발)을 앞으로 내밀면서 브레이크 잡는걸 의미하는건가요`?;;;

쉽게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ㅜ_ㅡ;;; 제가 용어를 잘 몰라서리... ^^;;

영원한달

2013.03.11 16:54:08
*.218.49.131

공감이 가는 칼럼입니다. 급할수록 천천히 돌아가라야는데. 아직 절찍어줄 분을 찾지못해 그냥탑니다만. 영상촬영해서 자세교정을 해봐야겠습니다. 이번시즌은 다갔고 올겨울이 빨리왔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397 장비 구입 동대문에서 파는 의류에 관한 견해! [20] 동장군 2003-01-11 14 5915
396 헝그리 캠페인 [캠페인]리프트 탑승시 바인딩 착용의 생활화. [84] e-sino 2003-01-10 8 4099
395 장비 관련 부츠의 US사이즈와 국내 사이즈 구분하는 법 [11] 쩜세개 2003-01-09 33 4529
394 의학,부상,사고 충돌사고방지에 관한 내용임니다.... [13] 사이비앙마-... 2003-01-09 25 2522
393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의 이런 저런 것들에 관하여..... [25] 멋쟁이 2003-01-09 4 3554
392 일반 필터링에서 약간의 노하우 >_<! [14] 唯我獨尊Boa... 2003-01-07 27 2164
391 장비 관련 더비에 관한 몇장의 사진 [13] SoJae 2003-01-07 13 3325
390 일반 보드장에서 할수 있는 몇가지 것들 ... [20] 허접대왕 2003-01-07 10 3597
38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분들을 위한 장비셋팅 [21] Linkin Park 2003-01-07 29 8046
388 장비 관련 드레이크 바인딩 스티커문제 난 이렇게 해결 [14] 커플보더앤디 2003-01-06 8 2829
387 일반 바인딩.....꼭 앉아 매야하는가? [41] 할배보더 2003-01-06 5 4384
386 장비 튜닝 옷에 그림을그려봅시다.. ^ㅡ^ [34] soul라이더 2003-01-06 11 3588
385 보드장에서의 절약법 리조트 지혜롭게 이용하면 알뜰해진다. [17] 해우소 2003-01-06 9 4677
384 초보를 위한 강좌 보딩시 자기 모습을 보는법. [9] 유후 2003-01-05 16 5875
383 일반 눈오는날 차량관리및 운전에대해서... [4] 낙똥강오리알 2003-01-05 14 2976
382 장비 튜닝 나만의 리쉬코드 만들기.. [26] [비to와이!!... 2003-01-04 10 3864
381 절약법 지산 1회권으로 하루종일 타기.. [6] 카우보이 2003-01-04 34 4839
» 초보를 위한 강좌 잘못된 자세 예방법 .. [27] RealReD 2003-01-03 13 6014
379 장비 관련 다른 장르의 보호대를 보딩용으로 사용해 보자. [28] 와니 2003-01-02 8 3529
378 장비 관련 바인딩에 사용되는 각부위 명칭(?) [5] MKII 2003-01-02 15 3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