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당구장에서 쓰는 용어들은 거의 잘못 사용되어져 왜곡되어 있는 일본어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적절한 용어가 없다면 그 말들을 그대로 써도 무방하겠으나 분명히 우리말 용어가 있고 또한 제대로된 일본어가 아닌 경우가 많으므로 그 뜻을 파헤침과 동시에 적당한 용어들로 대체를 해볼까 합니다..
아래 정리된 내용은 "네이버" 지식사전의 모범답안에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을 첨가한 것입니다.
용어의 나열은 일반적으로 잘못쓰이고 있는 용어 - 일본어 - 한국용어 순입니다. 반말투로 진행하는 점..죄송합니다.

★ 시네루 - 히네리/히네루(ひねり/ひねる) - 회전
원래 일본어로는 명사형인 ひねり(히네리)라고 하는 것이 옳다. 기본형은 ひねる. "비틀다, 뒤틀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즉, 흰 공에 회전을주어 비틀어 친다는 의미이다. "ひ"의 원발음은 [hi]이나 과거 일본 관동지역에서 'ㅎ'발음을 'ㅅ'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시네루"라는 발음으로 유입되었으리라 예상한다. 비슷한 예로 차갑게 식힌 상태를 "시야시 이빠이 되었다."라고 하는 경우, 원래 단어 ひやす(히야스)의 명사형인 ひやし(히야시)의 'ㅎ'발음이 'ㅅ'으로 발음되고 있는 것이다.

★ 오마오시 - 오오마와시(大回[おおまわ]し) - 크게 돌리기
大(おお) + 回(まわ)す: まわし는 "돌리다/まわす"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大回し는 당구대를 크게 돌려치는 기술을의미한다. (오마/오마시)등은 틀린 말이다.

★ 깸뻬이/겜뺑이 - 겜뻬이(源平) - 복식경기/팀대항전
1072년경 일본의 源(げん)氏와 平(へい)氏가 두 패로 갈라 싸운데서 유래.
源氏가 흰 깃발, 平氏가 붉은 깃발을 들고 싸웠다고 해서 당구공의 색깔도흰색과 빨간색이다. 따라서, 당구에서의 겐뻬이(源/げん/+平/へい/=げんぺい)는 두 팀으로 갈라서 시합을 한다는 뜻이다.

★ 다이다이 - 단식[單式]
흔히 학생들 사이에서도 1:1로 겨룰때 은어로써도 사용되고 있는 말이다.
1 對(たい/타이) 1 등의 경우에 쓰이는 '對'라는 말을 거듭 붙인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잘못쓰이고 있는 일본어의 예이다.

★ 다마 - 다마(玉/たま/, 球/たま/) - 공(흰공;수구, 붉은공;적구)
우리말로 [구슬/공]이란 뜻이다. 일본에서는 4개의 공으로 하는 4구보다는 포켓볼이 주종을 이루며 4구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4구는 일본어로 よっつだま(욧쯔다마)라고 한다.

★ 다이 - 다이(台/だい/) - 당구대
이 단어는 우리의 생활 속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선반"과 같이 물건을
올려놓는 부분을 "다이"라고 한다. 당구에서 "당구대"를 "당구다이" 그냥 "다이"라고 한다.

★ 우라 - 우라마와시(裏回[うらまわ]し) - 뒤로 돌리기
裏(うら) + 回(まわ) うら는 "뒷쪽/뒤"의 뜻이다. 따라서, 裏回し는 적구의 뒤쪽으로 수구를 돌려 치는 기술을 의미한다. (우라/우라마시)는 틀린 말이다.

★ 하꾸 - 하꼬마와시(はこまわし) - 바로돌리기
大回し와 비슷한 기술로, 大回し는 당구대의 긴 쪽으로 공을 돌리지만 はこまわし는 당구대의 짧은 쪽으로 공을 돌려 치는 기술이다. はこまわし에 대한 어원은 불확실하다.

★ 레지 - 네지마와시(ねじまわし) - 길게 돌리기
ねじる는 "비틀다"의 뜻이다. ねじる와 まわし가 합쳐서 "ねじまわし"가 되었는데, 이것은 수구를 당구대를 한 바퀴 이상 돌려서 적구를 맞추는 기술이다.
이로부터 파생된 용어로는 우라레지/하꾸레지 등이 있으며 이 경우 올바른 일본어는 우라네지마와시/하꼬네지마와시이며 우리말로는 뒤로 길게 돌리기/바로길게 돌리기..등으로 쓰여야 할 것이다.

★ 다대 - 다테(縱/たて/) - 세로치기
縱/たて/는 "세로"를 뜻한다. 흰공에 회전을 주지 않고 각도만을 이용하여 세로로 길게 치는 기술이다. (다대)는 틀린 말이다.

★ 씨끼 - 히끼(引[ひ]き) - 끌어치기
흔히 "시끼/식끼"라고 하는 데 정확한 명칭은 "히끼"이다.-'ㅎ'이 'ㅅ'으로 발음"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引く/끌다"의 명사형으로, 수구가 적구를 맞춘 다음, 끌려오게 하는 기술이다. "빽시끼"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히 "パックひき"가 맞다.

★ 오시 - 오시(押[お]し) - 밀어치기
ひき와 반대되는기술로, 수구가 적구를 때리고 난 뒤, 다음 앞으로 밀고나가는 기술이다. 기본형 "押(お)す/밀다,누르다"의 명사형이다.

★ 가락 - 카라꾸(空/から/クッション) - ?? -_-;;;
카라꾸 : "空/から/クッション-카라쿠션"에서 앞의 세 글자만 따서 부른 것이다. 空/から/는 "빈/비어있는"의 뜻으로 수구로 적구를 먼저 치지 않고 당구대의 빈 곳 즉, 쿠션을 먼저 친후 적구를 맞히는 기술이다.
현재의 3구 당구에서는 쿠션을 먼저 친다고 해서 점수는 더 주는 것도 아니고해서 특별히 정해진 용어는 없는 것 같다.. 있는데 뭔지 모르는 것인지도 모른다.. ^^;;;

★ 겐세이 - 겐세이(牽制/けんせい/) - 견제
겐세이의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견제"이다. 특히, 야구에서 쓰이는 단어이다. 의미 그대로, 상대방의 기술을 방해/견제하기 위해 자신의 수구를 상대방의 수구 앞에 가려 놓는다거나 하는 상태이다. 견제를 함으로써 상대방이 쉽게 칠 수 있었던 기술을 구사하기 불편하게 하여 상대의 실수를 유발한다.

★ 나미 - 나메(なめ) 얇게 치기
수구가 적구를 맞출 때, 적구를 살짝 스치고 지나가게 치는 기술을 なめ라고
한다. 흔히 "나미"라고 부르는데 틀린 발음이다. 기본형 "なめる/핥다"의 명사형이다.

★ 가오시 - 카야시(かやし) - 모아치기
흔히 "가오시"라고 부르는데 "카야시"가 맞는 말이다. "かやし"는 "かやす"
가 기본형이며, "かえす"와 같은 뜻으로 "되돌리다"의 의미이다. 즉, 수구로 적구를 맞춘 뒤, 적구가 다시 치기 좋게 모이도록 되돌린다는 뜻이다. "かやし"는 "よせだま/요세다마"라고도 하는데, 이 때 "よせ/요세"는 "끌어 모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 씨까끼/히까끼 - 히까께(ひっかけ) - 걸어치기
기본형은 "引っかける/힉까께루"이며 의미는 "걸치다,걸다"이다. 즉, 수구로 먼저 당구대의 쿠션부분을 치고, 다시 적구에 걸리게 치는 기술이다.

★ 기레까시/기데까시/기데 - 기리까에시(切[き]り返[かえ]し) - ??? -_-;;
기본형은 切り返す이며 "되받아치다"라는 뜻이다. 해석 그대로를 당구에 적용하면 의미가 애매하여 다른 적당한 용어를 찾아야 할텐데..아직 찾아내지 못하였다..

★ 까꾸 - 갸꾸히네리(逆ひねり) - 역회전
회전의 뜻인 "ひねり" 앞에 "逆/갸꾸"이 붙어 역회전의 뜻이 된다.
수구의 쿠션 충돌을 감안하여 적당한 회전방향을 주는 것과 반대되는 회전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 일본어로부터 비롯되지 않은 용어
1. 마쎄이 (프) - 찍어치기
2. 후루꾸 (영) - fluke(우연히 맞음)에서 일본식 영어발음으로 비롯된 용어
===================================================================

이상 생각나는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부족한 점은 댓글로 달아주셔서 올바른 용어가 정착되는데 많은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물론 위의 한국어 용어들을 쓴다면 영 어색하여 바로 쓰기엔 무리가 있겠지만, 하나하나 고쳐나간다면 오래지 않아 익숙한 용어들이 될 것입니다.
마치 와루바시, 다꽝, 다마네기, 벤또 등의 일본어들이 자연스레 생활에서 물러난 것처럼 말이죠..
감사합니다.. 다음에 여건이 허락한다면.. <고스돕편>을 정리해 올리겠습니다.
엮인글 :

삼삼이...

2003.04.22 14:59:31
*.241.45.221

쿸... 다이랑 겐세이랑 다마밖엔 몰랐눈뎅... 많이 배웠슴당... 담편두 기돼함돵~~~

CrossmaX™

2003.04.22 15:42:04
*.49.16.238

50대의 연령에 300점 이상 치시는 분들 보면 정확한 일본어 발음을 구사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50대의 연령 분들이 직접 일본어를 접할 기회는 없었다고 생각되지만(일제시대말기라도...)

그분들이 당구를 배우실 때 까지만 해도 그 위 연배분들은 정확한 용어를 사용했다는 뜻이겠지요...

저역시 동네 당구장 주인 아저씨와 칠 때 아저씨들에게서 그런용어들을 배웠지만...

또한, 크게 돌리기, 제각돌리기, 끌어치기 등등의 당구 해설가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알고는 있지만...

역시 잘 사용하게 안되더군요...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나밖에 없으니까요...^^

글쓰시느라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고스톱 편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물탱크

2003.04.22 17:04:34
*.176.92.166

당구 방송 용어도 우리말로 순화해서 중계하지만
쫑은 키스라고하데여........
해설하는분들에게 한마디
그럼 키스는 우리말이냐?.....

파삥수[Yo]ⓞⓝⓔ

2003.04.22 17:18:25
*.98.47.95

ㄴ ㅑ ~ ♡

우기!

2003.04.22 21:43:05
*.244.20.241

한때, 친구와 고민을 한적이 있었지요...

당구용어중에 순수한 우리말은 없는가하고....

그중에 물색에 오른 용어는,

1. 빵꾸
2. 쫑

1번은 당연히 펑크의 일본식 발음에서 기인한 빵꾸라서 우리말이 아니다.

2번은 어디서 나온 말인지 도저히 가늠하기 힘들고, 우리말같지는 않다...
혹시 의성어인가?? 라는 생각도 했었죠.. 왜 소리가 '쪼~옹' 하구 나는듯.. ㅡ.ㅡa


그러다가 순수한 우리말을 하나 찾아냈습니다.

ㅋㅋㅋㅋ


정답은... '떡'

내스타일

2003.04.22 22:20:50
*.243.204.154

아.. 당구 치고 싶네.. ㅋㅋ

qlrdbslt

2003.04.22 22:43:44
*.211.40.86

두둥~~!!!! 떡....!!!!!!!!

[아싸™]

2003.04.23 04:40:09
*.196.218.162

난당구에대해서 전혀 모른다는..두둥...

한청년

2003.04.23 07:29:41
*.147.243.62

ㅎㅎㅎ ㅡ.ㅡ;;; 난 가라다마인것같네요. 흑...

8광

2003.04.23 11:39:28
*.104.44.66

아 .. ㅇㅇ 선순 쫑났네요.. 쪽이군요.. 뽀뽀했군요... 키스?? ㅡ.ㅡ^

개초보보더

2003.04.23 14:10:37
*.244.197.254

'떡'은 이미 쓰이는 당구용어라서 무효!

떡 : 두 당구공 사이에 회수권 한장도 들어갈 여유가 없는 경우를 표현할 때.

CrossmaX™

2003.04.23 19:45:24
*.201.6.165

떡이냐...스위치냐....ㅋㅋㅋ
많이들 옥신각신 하는 문제죠...

투코냐 쓰리코냐...

공부터냐...다이부터냐... ㅋㅋㅋ

정덕진

2003.04.23 23:46:04
*.58.94.112

.....귀 가려워....험험.... -_-;;;

《無》한개도

2003.04.24 16:55:13
*.144.184.17

그냥 한국어 써야겠네요. 근데 삑사리는 머예요? 궁금..

밤마다

2003.05.09 17:09:27
*.97.247.4

황오시좀 설명해줘염..ㅡ.ㅡ
글거 보충해야할께 많은디 뒷깍기..뒷빵꾸..조단조...기리시끼..
아 이거 진짜 많넹,,
헝글님들 당구장서 벙개 함 하까여..?
ㅋㅋㅋ

sungko

2003.05.17 01:09:23
*.121.66.35

당구첨배울때 카운터가서 1시간에 얼마죠??? 돈부터 냈다는.... 두둥...ㅡㅡ;;;

CrossmaX™

2003.05.19 11:43:07
*.49.16.238

뒷깍기의 원래 뜻은 음...구멍을 얇게 쳐서 허리걸이를 한다는게 원래 뜻입니다...

대개는 싣깍기 끓어치기..를 뒷깍기 라고 하죠...

조단조는 흔히 말하는 접시를 말하는 거구요...

PsyBoarder[Yo]ONE

2003.07.09 16:39:02
*.170.99.246

가락은 빈쿠션치기 라고 하지 않나요

이정택

2003.10.10 13:50:49
*.152.124.247

정말..도움이 많이 되었음-.-;;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3
20 일반 전문용어 다 빼고 라이딩 스킬업이 목적이신... [5] 어드반. 2021-11-02 3 2203
19 기술(테크닉) [이론강습] 엣징과 중심축 1편. 이론이 중요... [1] 독학보더(원뽕) 2020-09-07 3 841
18 초보를 위한 강좌 용어 (전경/후경 ...) [11] 134340 2019-02-13 10 2891
1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에 사용되는 기본용어 정리 [11] 신상만타 2015-11-25 26 17432
1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3
15 일반 스노우보드 트릭 용어 [버터/버터링, 롤링]... [9] DreamSaver 2012-09-19   9051
14 기술(테크닉) 지빙 (프론트 , 백 , 보드 슬라이드 , 립 슬... [21] 레메 2009-06-11 101 11337
13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89
1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모음집(용어, 스케이팅) [16] NITRO 2008-03-21 83 7890
11 기술(테크닉) 보드용어정리 [18] 달팽 2007-01-29 67 7286
1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용어 설명 (2) [5] CHAOS™ 2006-12-04 24 6961
9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기본적인 용어설명 [12] whiteboarder 2006-12-01 30 8437
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 용어 사전(퍼옴) [9] 장미빛인생 2006-09-02 14 4598
7 초보를 위한 강좌 에어 기술(aerial)과 그랩(grab), 물구나무... [13] 다큰아이 2006-02-07 12 4397
6 일반 초보보더들이 당황해 하는 보딩 용어(초보만... [6] 럴러리 2004-02-19 13 4017
5 초보를 위한 강좌 #3.처음 갈때 준비? 비용? + 용어설명 [11] 룡이 2003-12-04 18 4673
» 일반 잘못쓰고 있는 당구 용어 바로잡기.. [19] qlrdbslt 2003-04-22 16 9298
3 일반 일본인과의 작업용어 몇가지.. [26] 아이스반 2003-03-31 12 17399
2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초보 의길 (기본용어와,낙엽-베... [14] ★초보보더★ 2003-02-12 35 5198
1 일반 [장팀장] 보드구조와 관련된 몇가지 용어 snowstyle 2001-11-16 124 4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