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한Monster에서 Jake!로 개명한(?) 스노우보드 강사 이종욱입니다. 저는 지난 시즌 캐나다 휘슬러 스노우스쿨에서 키즈 파트 풀타임 강사로 일했습니다. 주로 8살부터 12살까지, 최대 6명을 한 그룹으로 묶어 아침부터 오후 끝까지 책임지고 가르치는 일이었죠. 덕분에 어린이들을 수도없이 가르치면서 자연스럽게 더 쉽게 스노우보드를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했습니다. 그런데, 조금 욕심이 생기더군요. 그저 동작과 결과만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약간이나마 스노우보드 장비를 이해하게 하고 싶다는 생각이랄까요?



 위의 표현은 거창하지만, 제가 가르치면서 아이들에게 전달한 내용은 아주 간단합니다.



 "스노우보드 베이스, 즉 발바닥 아랫부분은 아주 미끄러워."

 "스노우보드 엣지, 이 쇠로 된 부분은 눈을 붙잡아. 몸과 보드를 기울이면 눈 위에서 멈추게 돼."



 이게 전부입니다. 이 두 가지만 알고 있으면 초심자에게 많은 걸 가르치면서도 자신들이 하고 있는 무브먼트를 이해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스케이팅을 할 때 스노우보드 바닥은 매우 미끄러우니 약간 힐엣지 또는 토 엣지로 움직이는 게 좋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죠. 하이크업을 배울 때도 엣지를 사용하여 경사면 위에서도 멈출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원풋 스트레이트 러닝을 할 때도 평평한 곳에 도착하여 정지할 때 살짝만 보드 한쪽을 들어주면 엣지로 눈을 파고들고 돌게 돼 멈추기 쉽습니다. 또한, 사이드슬립을 배울 때는 눈으로부터 스노우보드를 들어올려 멈추거나 속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구요. 바로 쇠로 된 부분, 엣지는 눈을 붙잡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니.



 여기에 하나를 더 얹으면...



 "스노우보드의 허리는 곡선을 가지고 있어. 평행하지 않아."



 이제 스노우보드 자체가 가진 '원을 그리는 특성'을 설명해버렸네요.



 "니가 슬로프 아래로 직진을 하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이때 억지로 온몸을 비틀어 돌리지 않아도 스노우보드는 돌게 되어 있어! 단, 살짝 기울여서 꾸욱 양발 힐 또는 토를 눌러 준다면 말이지."



 이제 펜쥴럼과 파워펜쥴럼, 비기너 턴까지 설명이 된다고 생각해요. 물론 이런 설명이 조금이라도 길어지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낌새가 보인다면 바로바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어린이들은 보드를 타는 게 중요하지, 설명을 듣고 있는 게 중요하진 않으니까요. 그러나 6명의 아이중에 몇몇은 분명히 이 정도 문장은 이해할 능력이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하고 있는 스포츠를 조금 더 알고 싶어하는 호기심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간단한 개념을 주지시키고 이후 실행해야 할 동작을 하나 또는 두 개의 동작으로 나눠 보여주고, 강사의 도움을 받아 직접 해본다면 어린이들도 어렵지 않게 흥미를 붙일 수 있습니다. 실패가 아닌 성공의 기쁨을 통해서 말이죠. :)


 꼭 어린이들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니겠죠? ㅎㅎ 

엮인글 :

유주파팡

2015.10.10 16:02:07
*.31.23.143

헐 모바일로 보다가 실수로 비추를 클릭 ㅠㅠ

Jake!

2015.10.11 20:05:12
*.109.104.102

하하, 괜찮습니다~^^ 굳이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해요!

hello072

2015.10.16 17:50:22
*.244.120.153

이종욱 강사님.. 반갑습니다.ㅎㅎ 

이론강습때 참여했던 헬로입니다.

휘팍에서 자주 뵈요~ ^^

Jake!

2015.10.16 20:09:53
*.109.104.102

휘팍 여기저기에 있을 예정이니 보시면 인사해주세요! ^^

강포

2015.12.09 16:02:45
*.172.229.168

팍팍와닷네요 ^^

멍구930

2015.12.30 05:56:27
*.243.179.112

아 좋은 칼럼입니다 고수일수록 쉬운말로 간단하게... 내공이 느껴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3
2897 기타 헝그리보더 레벨별 요구포인트 평균 획득일 file [8] 레브가스 2015-10-15 1 3605
2896 기술(테크닉) 15/16시즌 스노보드 포커스 file [5] 문박사 2015-10-13 5 5137
2895 일반 스노보드를 위한 근육 운동 [3] TKLee 2015-10-12 5 4787
2894 기술(테크닉) 가장 기본적인 턴은 무엇일까? [7] Jake! 2015-10-11 10 4433
2893 해외원정 뉴질랜드 카드로나원정 후기입니다 file [5] 사각머리 2015-10-11 8 4115
2892 기타 동영상 편집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 팁 [3] 레브가스 2015-10-08 8 5733
2891 장비 튜닝 somethings about 왝스... [5] 귤!!! 2015-10-07 9 2861
2890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38
» 초보를 위한 강좌 초심자에게 알려줄 가장 간단한 스노우보드... [6] Jake! 2015-10-05 28 6362
2888 기술(테크닉) How can we teach? [14] 문박사 2015-10-02 14 4081
2887 기술(테크닉) 급사 라이딩 팁 [69] 천현민 2015-09-30 87 19959
2886 일반 국내 스키장 위도, 고도 정리 file [12] 데지사마 2015-09-18 15 6189
2885 의학,부상,사고 2880 번 '덕스탠스의 위험성' 글을 읽고. file [9] 설상진상 2015-09-15 11 9335
2884 장비 튜닝 헝그리) 부츠텅을 이용한 부츠튜닝 diy 해봅... file [11] 러블리실 2015-09-15 5 7234
2883 장비 튜닝 헝그리) 엉덩이 보호대를 Diy (튜닝) 해봅시다 file [8] 러블리실 2015-09-13 3 4475
2882 CASI CASI interski 2015(진행중) [2] TKLee 2015-09-11 13 2872
2881 해외원정 캐나다 휘슬러에 오시는 20대 보더분들을 위... [3] Jake! 2015-09-08 18 5757
2880 기술(테크닉) F/S 180 쉽게 하는 간단 팁 [5] 소리조각 2015-09-01 6 5028
2879 장비 관련 일본덱, 유럽덱 지름은 올해가 최적이지 싶... [4] 보린 2015-08-24 1 4457
2878 일반 초급/주말 보더를 위한 휘닉스파크 사용법 [7] 가루군 2015-08-21 9 5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