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카빙은 존재하는가..

일반 조회 수 5353 추천 수 2 2006.01.16 21:00:55
스텐스와 발란스..
에징..
프레셔 컨트롤..
피보팅..
타이밍&코디네이션..
폴라인에서 정확한 에지 체인징..

지금까지 6년째 라이딩을 해왔지만..
오늘까지 이 모든것을 한번에 해결할 자신이 없다..

프리스타일 보드로 왜 라이딩만을 고집하냐고..
사람들이 물어본다..
나는 아직까지도 부족한데 뭐라고 답해야 할지 난감하다..

내일도 일어나면 최대한 카빙과 비슷하게 턴을 흉내 내 봐야겠다..



엮인글 :

zzz

2006.01.16 21:29:08
*.82.204.168

분명 누구보다도 자신있는 카빙을 구사하실것 같네요. 연구하고 노력하는 모습 보기좋습니다. 근데 가끔은 그런 부담을 잊고 보드에 몸을 싣고 가볍게 타보는것도 좋아요^^

상b

2006.01.16 22:37:04
*.206.206.170

알파인을 타세요 프리스타일은 프리하게 타는것입니다. 프리하게 파크에서 노는거지요

태풍낙엽™

2006.01.16 23:06:07
*.221.17.43

프리스타일입니다...프리스타일......라이딩이건 트릭이건 프리하게~ 본인 하고싶은데로 하세요!!!

ㅁㅁ

2006.01.17 01:41:56
*.216.25.251

미련하시네요 프리스타일 보드로 완벽한 카빙이니 뭐니 ㅡㅡ
(뭐 마음대로 타라고 프리스타일이니깐 난 라이딩만 하는거야 라고 말할수야 있겠죠)
뭐 목표야 있겠지만 좀 웃깁니다 ㅡㅡㅋ
다른 분들에게 말하는 모습이 훤하네요 "왜 트릭 안하세요~" "아직 라이딩도 완벽안한데 뭔 트릭이야 라이딩도 안되는애들 트릭하는거 꼴사나워"
물론 쓰신분 라이딩에 있어서는 수준급일 거라고 생각하지만..
꼭 토익 공부하면서 완벽한 토플 만점이 존재하는가 와 같은 말 -_-;

111

2006.01.17 01:57:40
*.42.178.128

이거 저거 다 해보았습니다.
라이딩, 키커, 레일, 파이프...
결국은 라이딩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저도 항상 라이딩이 부족함을 느낍니다.
프리하다고 프리가 아닙니다.
프리하게 라이딩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프리하게 모글 타보려고 아직도 라이딩 합니다.
술 한잔 하고 한자 끄적여 봅니다.
프리로 프리하게 모글 탈 때까지 같이 라이딩에 전념해 봅시다.

초보열혈보더

2006.01.17 08:21:15
*.94.41.89

으흠...
이제 엣지 들어가는 게 좀 느껴지는 초보보더인 저는 라이딩 우선이라고는 해도
ㅁㅁ 님 말처럼 하지는 않지요.
단지 왜 라이딩만 하냐고 물어보면,
'아직 라이딩에서도 해야할 것이 많고, 카빙이 되기 시작하면 트릭할 예정이다.' 라고 합니다.
꼴 사납다..이런 말을 쓰진 않지요.
라이딩하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카빙이 좀 되면 트릭도 하고 싶어 합니다.
아직 만족할 만큼 안되서 안하는 거지요.
게시판에 이런 글이 올라오면 꼭 트릭/라이딩 편을 가르시는 분이 있는데, 다 소용없는 것 아닐까요?
제가 볼때에는 서로를 경원시 하는 것 같습니다. 부러워 하면서도 시기하는...

그리고 완벽한 카빙의 기준은, '자신이 만족할 만큼'인 것 같습니다.
앵귤레이션/인클리네이션 을 얼마나 줄 수 있는가, 피보팅등이 얼마나 자연스러운가를 따지는 것은 다 부질 없다고 생각합니다.
보드야 말로 누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자기만족을 위해서 타는 것 아닐까요?

Crossroad.Life

2006.01.17 08:30:13
*.151.144.7

저만 그런지 모르겠습니다만...보드를 시작하고 2년쯤 지났을 무렵 스스로 자아 도취에 빠져서 "그래 이만하면 라이딩 잘
하는거야" 라는 암시를 스스로에게 걸었고 트릭을 시작 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 깨닫게 되었습니다.
우물안 개구리 그 이상은 아니었음을. 내가 하고 있던건 라이딩도 아니라는 허접 그 자체라는걸.
그 이후로 트릭 안합니다. 다시 라이딩만 파고 있습니다. 라이딩도 못하면서 트릭한다는게 스스로 부끄러워서 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마도 지금 이대로라면 트릭을 하게? 될 날은 오지 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스스로 돌아봐서 라이딩 부끄럽지 안은날이 오면
트릭 하게 되겠죠. 그게 언제인지 모르지만. 저같은 마음 가진분 꽤 있으신걸로 압니다. 라이딩 주력 => 트릭에 매진 =>
다시 라이딩의 길로 들어 서신 분들이요. 그분들 모두 저와 같은 마음이셨습니다.

Dr.늘보

2006.01.17 09:04:41
*.113.87.14

라이딩에 대해 심각하게 공부해 본 사람은 이게 얼마나 어렵고 끝이 없는지 알것입니다.. 안되는 영어로 운동역학 공부하고 참고자료 보느라고 참 많은 날들을 보낸것 같습니다.. 아직은 보드에 대한 열정이 식지 않은데에 대해 만족하렵니다.. 편가르자고 글 올리는 거 아닌데 처음 올린거치고 재미있는 댓글이 있네요^^
라이딩 좋아하시는 분 전 성우에 상주하고 있습니다.. 쪽지 주셔서 함께 재미있게 탈 수 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트릭도 좋아합니다 ㅋㅋ

정말 궁금

2006.01.17 09:24:54
*.54.8.51

전에 폴라인에 직각 상태에서 엣지를 체인지 해라란 말을 칼럼에서 본듯한데..
뭐가 맞는거죠??

---의정부에 사는 "뜨거운피"

남군

2006.01.17 09:37:24
*.223.73.36

하나를 고집스럽게 파고 드는 모습이 아름다워 보입니다. 화이팅..

육보드

2006.01.17 10:02:36
*.12.89.150

저는 맨손으로 패트롤을 때려잡고 츄러스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올라가는 곤도라 2-1에서 뛰어내린 나 육보드는!!! 스노보드 고수로써 한 말씀드리겠습니다.
완벽한 카빙이라... 있습니다. 제가 하지요. 머 보신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졸업한지 오래되었지요...
이번 주말 휘닉스파크 디지에서 완벽한 카빙을 보여드리지요. 시간은 2시 입니다.
아참.
요즘은 그냥 카빙은 재미없어서
3단분리 안면카빙을 합니다.
익스트림하게 나르면서 3단 분리 시도하여 비니와 고글 글구 제 대구빡이 완벽한 날을 그리며 슬롭위에 난을 치면서 가지요.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이건 사군자카빙중 그 두번째 해당하는 것으로써 우리나라에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나 육보드밖에 없음을 알려드리지요.
이번주에 오시면 보여드리지요.

육보드

2006.01.17 10:04:31
*.12.89.150

한말씀 더 드리자면 "완벽한 카빙"의 정의부터 내려주심이 어떠실런지요?

레메

2006.01.17 10:18:53
*.210.233.121

비단...
한국... 우리나라에서만
카빙에 열을 올리는거 아시나여? ^^;;

크레바스

2006.01.17 10:35:47
*.140.167.164

저도 초보열혈보더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카빙,라이딩의 기준이 참 어렵지만 어느정도 수준에 있다면 자기만족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점점더 그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더 완벽한 카빙을 추구하고 뭔가 부족함을 느끼고 '난 아직도 카빙을 하는게 아냐'라고
느껴지는게 아닐까요...

ㅇㅇ

2006.01.17 10:47:34
*.106.11.226

외국처럼 파우더 있는 곳에서 카빙만 하려 하겠습니까.. 울스키장들은 거의 정설되고 강설이라 그중 재미있게 할수 있는 턴이 카빙이라 그렇겠죠...

Navi

2006.01.17 10:52:14
*.219.9.97

프리스타일보드로 카빙하는게 머가 우스운지 전혀 이해가 안되는데요.
전 오히려 알파인으로 카빙하는것보다 프리스타일로 카빙하는게 훨 멋있던뎅...
특히나 폴라인과 수직인 상황에서 크로스오버로 몸을 던지는 모습이란.... 넘 므찌지 않나요?
프리스탈로 카빙하는게 우습다는분들....
님들 말마따나 프리스탈인디 왜 넘의 스타일에 우습네 마네 하시는지 이해가 당췌 안감다요.
이유가 먼가요?? 본인들이 카빙이 안되서 그러시는겁니까???
왜 자꾸 카빙 얘기만 나오면 딴지를 걸고..... ㅡㅡ+

남의 글에 딴지를 걸더라도 좀 논리있게 겁시다.
자기 입으로는 프리스타일이라고 하면서 왜 넘의 스타일 갖고 모라고하는건지.... 하루이틀도 아니고 한두사람도 아니고...

offspring

2006.01.17 11:24:27
*.142.172.202

트릭도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고, 카빙도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겠죠.
각고의 노력끝에 얻은 기술을 구사하는 "그 순간"의 기쁨은 느껴보지 않고는 말하기 힘들죠.

질책하며 고생하는 백번의 라이딩중에 느껴지는 한번의 제대로된 카빙...
정설된 눈에서 카빙을 할 때 나는 소리가 들리는 순간...물론 입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죠~
물론 저는 잘 못타지만 그 한 번의 카빙의 맛에 보드를 탑니다.
(카빙에 목숨걸다 결국은 알파인으로 도피전향(?)했습니다만...)

트릭이건, 카빙이건 자신이 추구하는 바에 매진하는 모습이 아름다운거죠.
늘보님께 박수를 보냅니다.
저도 성우에서 타는데...기회되면 같이 라이딩 한번...^^

2006.01.17 11:32:28
*.241.153.251

제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뭐 한국 슬로프가 대부분 정설이 잘되었죠.
정설된 슬로프에서 라이딩에 주력하는 맛도 있지만
라이딩 대충 하고 트릭을 하는것도 재미가 있던데요.
라이딩이 완성되고 다른걸 하기에는 그 길이 너무 길지 싶은데요.

프리스타일 보더는 라이딩이 어느 수준에 이르면
하프도 타고 램프도뛰고 지빙도 하고 이게 재미나고
쉬운 길이 아닌가 합니다.

2006.01.17 11:36:51
*.241.153.251

앗 그리고 저도 올해 뉴질랜드 잠깐 다녀왔는데 산 전체가 나무가 없고 눈내린데는
다 슬로프더군요.
정설안된 건설 파우다에서 하루 탔는데
그 맛도 장난아니게 좋더군요.
거기도 정설된 슬로프가 있지만 제 취향에는 정설 안된대가 훨씬 재미나더군요.
같이간 일행들은 대부분 정설된 슬로프를 고집하더군요.
그보다 더 넓은 정설안된 슬로프가 있는데도요.
개인의 취향이 아닌가 합니다.
그쪽 원주민 애들 보니까 지빙 겁나게 잘하더군요.
스키어들이 보더보다 지빙이 좋더군요.

ㅁㅁ

2006.01.17 13:48:03
*.196.71.247

프리스타일로 카빙을 할 수 있죠 자기게 그냥 머 내가 타는거니깐 어때 라고 한다면 '누구나 칼럼'이라는 란에 올리지 않았겠죠?
제가 말하는거는 글 쓰신님은 그토록 '완벽한'카빙을 하고 싶어하면서 왜 프리스타일 보드를 타고 있냐 이거죠
프리스타일로 카빙하는게 더 멋지다? 이미 쓰신 님은 카빙 하고 있을겁니다 ㅡㅡ
근데 그거보다 더 섬세한 카빙을 원하신다는건 이미 방향을 잘못 잡은거죠 ㅡㅡ

사악돌이

2006.01.17 15:28:29
*.171.132.8

완벽한 카빙은 존재하며....구사 하는 분들 계십니다.

왜 이런 말이 나오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카빙이 무언지 보는 눈도 없으면서 날새우고 카빙이라 착각하며

"카빙정도야 기본이지"....이러면서 원에이티 가르쳐 달라는 무지한
엉덩이 삐죽 내밀고 턴 안하는 종족 때문인듯 싶습니다.

Frappuccino

2006.01.17 15:57:34
*.153.96.226

자기 턴 위험한 상황, 빠른속도에서도 완벽히 방향 및 엣지 조절할 줄 알면 그게 완벽한 카빙입니다.
솔직히 저의 심정을 말씀드리면 전경이 어쩌고 시선이 어쩌고 어깨를 닫고 열고 어쩌고 그런글들 보면 토나옵니다.................. 마치 외계어로 말하는 걸 듣는 심정이랄까....아니면 다른 세상에 사는 분들 같습니다.(어디까지나 사람 느낌일 뿐이니 너무 뭐라 이상하게 생각하진 마세요. 아무런 의지 없이 드는 느낌!!! 일뿐입니다.)

걍 엣지 컨트롤 지맘대로 되면 그게 완벽한 카빙이라 말하고 싶네요.폼이 어찌하던간에, 안 힘들게 마음대로 잘 조절하며 타면 되는거 아닌가요? 프리스타일 스노우보딩에서 그 이상이 필요한가요?

Dr.늘보

2006.01.17 16:23:27
*.113.87.14

육보드님 너무 센스있는 글에 한참 웃었읍니다..
사군자 카빙하러 야간에 연습하러 갈려구요..
물론 난(蘭)이지요..

제가 생각하는(사견입니다^^) 카빙은 베이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폴라인에서 에지에서 에지로의 전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슬로프의 폴라인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카빙이 존재하지 않다고 생각중입니다 ㅋㅋ

사실 국내 프로들과 함께 라이딩을 해보면 알겠지만 라이딩이 굉징히 견고합니다..
그리고 중요시합니다..
저도 뭐 기본적인 트릭이나 원메이크, 레일, 파이프는 합니다..
20대 후반에는 로데오까지 돌려봤는데 뭐 여러분들이 봤어야지^^
그런데 라이딩이 기본적이지만 재미있습니다..
서로 싸울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라이딩이 기본이 된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고 저는 기본기에 더 충실하고 싶을뿐입니다..
육보드님 목욜에 휘팍 갈렵니다..
사군자카빙을 제게 하사해 주심이^^

Dr.늘보

2006.01.17 16:29:31
*.113.87.14

프리스타일로 알파인 이상 카빙이 가능합니다..
어떠한 경사에서도..
스키가 내려가는 곳 보드가 못내려갈 곳은 없습니다..
그게 모글이라도..
연습하러 가야겠다^^

...

2006.01.17 18:47:33
*.102.167.218

저기 알파인보드 스키 이상 카빙이 어떻게 가능한가요..?
인간 신체구조상 발폭보단 발길이가 더긴데 말입니다. 이해가 좀 안가네요...

Justin0712

2006.01.17 20:10:37
*.107.103.145

난 둘다 못해서 프리하게 탑니다.. 말그대로 프리스탈 -_-;

Dr.늘보

2006.01.17 20:35:44
*.113.87.14

...님
스키나 보드나 알파인이나 프리스타일이나 모두 호를 그리는 운동입니다..
기본원리는 다 똑같습니다..

다만 소프트한 바인딩이 문제인데..
이게 프리스타일의 단점인데 또한 장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가끔 바인딩 텅이 끊어져서 메롱인 경우가 있긴합니다만..
연습 좀 더 해서 동영상 함 올리겠습니다..

올릴려면 죽도록 타야겠네..
트릭도^^

Justin0712

2006.01.17 22:08:39
*.107.103.145

^^: 기대됩니다

R2C (Ready to Carve)

2006.01.18 01:39:41
*.227.41.168

프리스타일로 알파인 보드나 스키 이상의 카빙이 가능하다는데는 좀 의문입니다. 일단 알파인보드에 비해 프리스타일 보드는 유효 에지가 짧습니다. 따라서 프리스타일의 경우 에지가 더 짧으므로 알파인에 비해 버틸 수 있는 중량, G가 더 적다고 생각합니다. 프리스타일이 알파인에 비해 같은 길이의 에지당 더 많은 중량이 걸린다는 이야기지요. 스키의 경우 말할 것도 없지요. 에지가 두개이니. 프리스타일 보드라면 여지없이 넘어질만한 아이스반이라고 해도 알파인 보드나 카빙 스키는 문제없이 지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초절정 고수가 타는 프리스타일 보드는 초보 알파이너가 타는 알파인 보드 이상의 카빙이 가능하다.. 라는 진술에는 문제가 없겠습니다. ^^;;

ㅇㅇ

2006.01.18 02:14:13
*.90.24.200

한마디해야겄네요

저 위에 그토록 완벽한 카빙을 원하면서 프리스타일보드를 왜타냐고하신분~~~

님은 죽어라 파이프타도 1080 못돌릴꺼면서 왜 프리스타일보드 탑니까?

ㅁㅁ 님은 지금부터 죽어라 연습하면 숀처럼 날아다닐수 있다고 생각해서 프리스타일 탑니까?

그럼 앞으로 1080 못돌릴 사람들은 프리스타일 전부 접고 다른거타야됩니까?

완벽하게 파이프도 못탈꺼면서 왜 파이프에서 프리스타일보드 부여잡고 헤메고있나요?

완벽하게 접으세요... 보드를

-_-;

2006.01.18 09:33:01
*.153.96.226

위엣분 먼소린지...술마시고 오셨나 -_-;;

블랙쏜

2006.01.18 14:40:35
*.111.15.160

같은 역량을 가진 두사람이 알파인과 프리스타일을 각각 탈 때
프리스타일이 알파인의 엣지 호를 따라가먼서 같은 스피드를 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압니다만.....?
(모글이라면 얘기가 좀 달라질려나요..)

Dr.늘보

2006.01.18 17:22:36
*.113.87.14

프리스타일이 알파인 보드보다 스피드가 늦고 턴의 안정성이 불안한 것은 사실입니다..
프리스타일은 보드 자체로 볼때 길이가 알파인에 비해 짧기 때문에 슬로프에 접촉하는 기저면적이 적어 라이딩시 불안정하고 소프트한 바인딩과 부츠가 턴을 불안하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한 약점들이 장점이 될 수가 있습니다..
소프트한 부츠는 발목 관절을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체의 로테이션과 각 관절의 피보팅을 적절한 시기에 이용할 수 있다면 알파인처럼은 아니겠지만 생각 이상의 속도와 경사에서도 턴이 가능하게 됩니다..

저도 모글은 아직 도전해보지 않았습니다..
케나다에서 시험을 준비할 때 꽤 많은 모글을 탄 것으로 기억됩니다..
보드로 모글을 타시는 분이나 준비하시는 분이 쪽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네요..

오늘도 성우 챌린저코스를 라이딩했는데 2-3일 정도 더 타야 작년감이 나올듯 싶습니다..
내일은 휘팍으로 건너가는데 육보드님을 만날 수 있을지^^

아리잠

2006.01.18 22:15:14
*.111.103.71

왜 나름대로 추구한다는데 타라 타지마라는 얘기가 나오는겁니까?

라이딩추구자이건 트릭추구자이건
상대방이 자신의 취향이나 추구하는바가 아니라 동조하지 않을수는 있겠습니다만,

타라 타지마라를 논하는건 아무리 그것조차 토론의 한가지라고 받아들일려고 해도 참.....
한심하다는 생각밖에 안듭니다.

그리고 때론, 스스로 라이딩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트릭위주의 보더들이 자격지심에 발끈하는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까지 듭니다.
진정 자신이 만족하고 난 이정도 라이딩이 충분하다 생각하고 트릭을 추구하며 재미나게 탄다면,
완벽한 카빙을 추구한다는 말에 그토록이나 민감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러시군요...그 길로 일가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라는 좋은맘이면 될것을
완벽완벽외치면서 나를 허접하게 만들려고?
이러면서 기분나빠하는 양상으로 보이는것이 저만의 오해인가요?
진정 만족한다면 뭐 어떻습니까 내가 재미나게 타는데...
라이딩만 대숩니까? 멋지게 트릭하면 되는데...무어가 문제인건지...


이상 라이딩은 라이딩대로 안되고 트릭은 겁나서 시도한번 못하는 아리잠 올립니다.


추신. 육보드님. 휘팍에서 토요일 2시 일요일 2시에 디지에서 기다리겠습니다.
전 기다린다면 진짜 기다립니다 -_-a
디지 상단 아니면 디지내려오는 길목에서 누군가 카빙으로 내려오는걸 기다리겠습니다.
전...제가 못하니 구경이라도 한번 해보고 싶어요 ㅠㅡㅠ

...

2006.01.19 07:13:44
*.102.167.218

제가 본분들 중 카빙만 연습하시는분들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설질 좋으면 정말 이쁜선을 그리며 자유자제로 다니셔서 참 재밌어 보입니다..
설질 나쁘면 알파인보다 스키보다 훨신 더 많은 다운을 줘서 힘이 배로드는 카빙도 하시구요..거기서 또
안되시는분은 좌절도 하시고
결론은 프리로 카빙 잘하려면 엣지 일주일에 한번씩 손보고 베이스 0도 싸이드 83도 이렇게
깍으면 카빙이 아주 잘될거 같은데 .....
이렇게 프리보드를 83도로 깍으면 무슨의미가 있죠..?
제생각은 매일매일 매년 시즌내내 카빙연습만 하지마시고 그정도면 아주 잘타시니까
그냥 여러가지 하다가 힘빠지면 가볍게 카빙 연습 하는게 가장 좋은거 같아요...

Lunatrix

2006.01.19 20:58:32
*.252.70.59

윗분 말씀에 동감 ^^
카빙이 재미있긴한데...프리의 목적은 역시나 프리라고 봅니다.
저도 보드를 라이딩 하는 재미에 타긴 하지만 프리의 정점은 역시 트릭,키커,하프라는데 동감합니다.

준에버

2006.01.19 23:08:40
*.250.97.126

결국 자기 만족찾아서 행복을 느끼는 게 사람입니다 강요는 하지마시고~~ 재미있게 타세요~~~ 낙엽도 그거로 재미있으면 됐지요~~

레몽레인

2006.01.20 06:51:33
*.102.184.161

아직도 저는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어느 것이 옳은지...나쁜지...
정말 요즘은 제대로 하는 것이 없으니..이제 지빙도 하고 램프도 뛰고..
뭐..이것 저것 해야하는데..하나도 제대로 하는것이 없으니..
정말 짜증납니다.라이딩도 제대로 안되요.

cbr953

2006.01.20 11:23:10
*.236.141.105

프리스타일을 맘대로라고 해석하는건 좀 짧은 생각이 아닐까욥?

헝그르르

2006.01.23 11:26:54
*.104.250.20

저도 프리스타일 보더로 요즘은 초급 키커나 한번씩 뛰어보며 재미를 찾고 있지만 앵귤레이션 카빙의 시원함을 위해서 알파인을 타고 싶은 생각이 스키어를 보면서 들더군요 -_-;;..

leehan

2006.01.23 11:33:49
*.9.81.37

정말 좋은 글들입니다.
무엇을 원하시나요
우리는 보드에서 자유를 추구하지 않나요

Ctrl+F5

2006.01.23 14:02:36
*.215.163.153

그러게요... 정말 좋은 글들이네요..
특히 "육보드"님 센스는... ㅋㅋㅋㅋ
메신져 닉넴으로 써도 될까요???? ㅎㅎㅎㅎ

ㅁㅁ

2008.03.17 15:59:09
*.14.21.67

내가 재미 있으면 ~~~ (트릭=라이딩) 최고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55
1137 장비 구입 자기발에 꼭 맞는 부츠 사는 법 [14] 바다포수 2006-01-24 23 6699
1136 장비 관련 아논고글 검정 얼룩 물드는것 방지 [3] 커크 2006-01-23 16 5311
1135 기타 보더의 허접스런 시 [8] ***흰눈사이... 2006-01-23 28 2447
1134 기술(테크닉) 익스트림 카빙시 도움이 될만한것. [19] 작업걸었더... 2006-01-23 12 5568
1133 절약법 안경 착용자들을 위한 콘텍트렌즈 무료 사용팁 [20] 커크 2006-01-23 11 4693
1132 절약법 매주 일요일 용평,휘팍 왕복버스 만원에... [13] 헝그리보다 2006-01-23 8 2875
1131 절약법 용평 버스시즌권자가 아니라면... [10] 라스 2006-01-23 12 3053
1130 장비 구입 부츠는 다른 보드장비와는 다른 장비 의 기... [20] Green Tea 2006-01-19 11 3457
1129 일반 알파인 보드 전향기^^ [8] 헐랭이보더 2006-01-19 11 3290
1128 장비 튜닝 Re 마스크,보드복 도색하기 (메니큐어버젼) [2] 구피스탈 2006-01-19 27 3520
112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을 위한 작은 팁 하나(바인딩 채우... [29] ^..^ 2006-01-19 -22 8326
1126 장비 관련 캐픽스 도색 방법 [24] 피앙 2006-01-19 9 4963
1125 기술(테크닉) 지빙 입문 [50-50] 다치지 맙시다!! [33] 사악돌이 2006-01-18 35 5158
1124 해외원정 북 아메리카 베스트 3 스키장 다녀와서 [13] ***흰눈사이... 2006-01-18 15 3187
1123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의 자세의 정석... [16] 떡집아들™ 2006-01-18 6 6590
1122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에서 내릴때 예절 [19] 무적엘지 2006-01-18 9 3683
1121 의학,부상,사고 스노보드 보험 가입하셨나요?? [8] 코난™ 2006-01-17 10 2669
1120 일반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 한탄..... [15] 동방성기 2006-01-17 7 3682
1119 일반 프리스타일보드는 프리하게 멋대로 타는것이... [23] 지돌이 2006-01-17 12 3515
» 일반 완벽한 카빙은 존재하는가.. [43] Dr.늘보 2006-01-16 2 5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