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에는 리쉬코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바인딩에 묶은 끈을 몸에 묶어 바인딩 스트랩을 풀더라도 보드가 몸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지요..
군대에서 쓰죠..
총기피탈방지끈이라고..
같은 개념입니다..
총이나 보드나 자기 몸에서 떨어지면 위험합니다..

오늘 베어스 심야 다녀왔습니다..
파노라마 리프트 정상에서 내려보니 엄청난 보더분들이 그 넓은 슬로프를 반달모양을 차지하고 앉아 보드를 착용하고 계시더군요..
대부분은 보드를 착용하지 않고 손에 들거나 끌고 있는 분이었습니다..
보드를 착용하고 타자는 캠페인이 하루 이틀 전에 나온 얘기가 아니지만..
처음 배우시는 분들이 에티켓을 먼저 배우는 게 아니라 일단 내려가는 것부터 하니 문제입니다..

렌탈보드는 리쉬코드가 없습니다..
놓치면 그대로 슬로프 하단까지 미끄러져 갑니다..
아무도 없으면 다행인데 라이딩 중인 누군가나 슬로프에 앉아있는 누군가에 충돌하면 크게 다칩니다..
파노라마 리프트를 내려서 모글 반대쪽에서 친구들 기다리고 있는데..
언덕에서부터 보드가 굴러왔습니다..
바로 쫓아갔죠..
워낙 빨라 정지 상태에 있던 제가 따라잡는 데는 한참을 내려와 잡을 수 있었습니다..
내려오면서 그 보드는 2명의 보더에게 충격을 줬고, 한 명의 스키어를 넘어지게 했습니다..
특히 한 명의 보더는 넘어진 상태였는데 아주 큰일 날 번 했습니다..
제발 보드 들고 장난치지 맙시다..
리프트 탈때나..
내려서나..
바닥에 끌지 마시고 두 손으로 꽉 잡고 이동하시길..
그리고..
썰매처럼 바인딩 사이에 앉아서 타는 분..
제발 그러지 마세요..
하실려면 사람 없는 곳에서 하시던가..
제발 다른 사람들 볼링핀 맞추듯 쓰러뜨리지 마시라구요..

너무 늦은 시간이라 바로 자려고 하다가..
할 얘긴 해야할 것 같아 두서 없지만 글 남깁니다..

모두 슬로프 예절 준수하며 즐거운 보딩, 안전한 보딩 즐겨요^^
엮인글 :

커크

2006.01.28 03:10:36
*.120.164.112

동감 가는글입니다.
리쉬코드 착용하지 못할바에 보드 관리 철저히 하는게 상책이죠..
강습 해주시는분들도 보드 타는거 이전에 이런부분부터 철저히 숙지 시키셨음 좋겠습니다.

DAVID_7

2006.01.28 05:19:54
*.170.65.233

맞아요!! 성우 알파에서 썰매 타시는분 좀 자제하세요;
패트롤도 아는 사이인거 같아서 안막는거 같던데

Frappuccino

2006.01.28 21:07:08
*.47.206.193

바닥에 끄는건 자유아닌가요.
바닥에 끌어서 땅파인다고 라이딩하는 거에 비하면 파이는 것도 아니고........눈에 끈다고 보드가 상하는 것도 아닙니다 -_-; 딴건 몰라도 바닥에 끌고 이동하는 게 왜 문제가 되는지 설명해 주세요.

1234

2006.01.28 21:31:35
*.126.216.197

바닥에 끌고 가는거야 자유죠...두손으로 들고 가는것보다 부딪쳐 놓칠 경우가 많아서 그러는 겁니다...
썰매를 타는것도 자유고 데크를 집어던지는것도 자유긴 한데요..남들에게 피해가 가고 규칙이라는게 있지 않습니까...
암묵적으로 서로 지켜야할 규칙 규율 에티켓 아니겠습니까...

☆알콜☆

2006.01.29 00:22:43
*.30.128.28

알지만, 저도 요즘엔 덱들고 맆트 탑니다...발이 너무 저려서 도저히 바인딩 채우고는 2회보딩이
어렵습니다...풀러도 마찬가지..!!!
그래도 스롭에서 2번이나 동수를 잡았다는...!!!
강습때도 꼬박꼬박 에티켓 매너 당근 교육하죠~~~

...

2006.01.29 02:37:35
*.78.170.137

약빨이 다되셨나...
슬슬 여기저기 다시 들이대시내...

전...

2006.01.29 02:54:17
*.226.32.148

그 바인딩채우고 리프트 타는 사람들 부럽고 저도 하고 싶지만 무섭습니다...
한발 채우고 밑에서 연습해봐도 무서워요...어떻게 하게 될순 없을까요?
단체로 왔던 비기너분들 중 그렇게 리프트타고 내리다가 무릎 돌아간 사람 많았다는 패트롤분의 말을 듣고는 더욱 겁이 납니다.....ㅠㅠ
슬로프를 한발만 채우고 내려오면 좀 늘까요? 그건 더 위험하고 무서울 꺼 같은데...

동방성기

2006.01.29 05:28:48
*.189.250.119

썰매처럼 바인딩 사이에서 타는 사람은 도대체 누굴가?
별에별 사람들이 다 있네여...

제파

2006.01.29 09:46:39
*.227.233.76

엥... 초보코스쪽엔 썰매처럼 타는사람 많은데요...
특히 애들일수록 더하죠...
보통 강습자를 두고 배우는사람은 대부분 리쉬코드가 없다해도 데크를 내려놓을시 꼭 뒤집어 놓는걸 배웁니다.
데크를 홀로 활강하게 하는 사람은 그저 친구들끼리 놀러와 렌탈데크타는 분들이 대다수더군요.

^^

2006.01.29 21:42:22
*.252.65.46

전 항상 한발 바인딩 착용하고 다닙니다. 맨날 그리 다니니 스케이팅도 금방 늘고 좋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리프트 내릴때 10번이면 10번다 넘어진거 같습니다. 하지만 하루정도만 그렇고 다음날부턴 적응되더라구요^^
정 한발만 묶고 라이딩이 안되시면 리프트 내리시면서 열씸히 스케이팅해서 뛰어가세요^^.
바인딩 매는 시간도 줄어서 라이딩도 더 많이 할수 있어서 좋습니다^^
렌탈만 하는 저는 리쉬코드가 무엇인지 모르니 난감할 뿐입니다^^

Frappuccino

2006.01.29 22:59:18
*.47.206.201

당연히 피해주면 안 좋죠......흠......약간 오해가 있었던거 같네요.
제가 말한건 그냥 걸어가면서 질질 끄는것을 말한 것이었습니다.

다큰아이

2006.01.30 20:37:40
*.101.210.34

Frappuccino님..
1234님 말씀과 같은 의도에요..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될 가능성이 보드를 끌고 갔을 때 두 손으로 들고 갈 때보다 높기 때문에 그런 것이구요..
그 가능성은..
놓칠 가능성, 다른 사람에게 밟힐 가능성, 다른 이의 장비에 부딪힐 가능성 등이죠..
물론 보드의 무게가 은근히 무겁습니다..
그렇지만 혹시라도 일어날 수 있는 피해를 막기 위해, 자신의 건강(보드를 들고 가시면 저절로 아령을 든 효과가^^)을 위해서 어떨까요..
안전보딩하세요^^

maising

2006.01.31 04:14:35
*.159.157.85

정말 위험합니다.
저번에 어떤분 중간에 앉아계시는데 위에서 보드가 쓍~하니 내려가더니
다행히 척추옆부분을 강타...읔 조금만 빗겨 나갔으면 보드타러 왔다가
인생 뒤바뀌는수가 있습니다. 정말 조심합시다...

막타라

2006.01.31 17:14:19
*.188.121.6

척추..무서워라...잘못하다간....하반신 마비~

천추마영

2006.01.31 17:59:51
*.247.145.53

작년 양지에서 유령보더에 맞아서 시즌접었던사람입니다 리쉬코드 달고타지는 못해도
적어도 슬롭에 들어서면 뭐든 다른사람한텐 무기가 될수있습니다 초보분이든고수분이든
긴장좀 하면서 탔으면합니다 극소수지만 그런분들때문에 항상 문제가 생기죠 저 그것때문에
1년넘게 합의중입니다 ㅡ.,ㅡ;; 많이좋아지긴했지만 아직 뻐근합니다(무릎) 유령보드 정말
무섭습니다 후유증도 오래갑니다 다들 조심하자구요~~

건방진요정

2006.02.01 11:13:31
*.140.156.78

리쉬코드, 리쉬코드....많이들 강조하시지만, 솔직히 하고 다니시는 분들 정~말 몇 분 안되시죠.
이번 시즌에 유령 보드에 왼발 복숭아뼈 살짝 가격 당한 이후로는 계속 리쉬코드를 하고 타고 있는데...
양지나 대명이나 상급/최상급 올라가봐도 리쉬코드 달고 있으신 분들은 몇 분 못봤습니다.
저처럼 유령보드에 당해봐야 아마도 아실 듯...

지난 주에는 양지 갔다가 초보 여친님께서 리쉬코드 해드리는데 귀찮다고 땡깡피시더니,
리프트에서 내려오다 미끌어지시면서(양지 다니시는 분들은 잘아시겠지만,
양지 중급이상 리프트는 내릴때 빙판에다가 속도도 휙~가죠ㅡㅡ;) 보드 노치셔서, 슬로프로 굴러들어가서
그거 쫓아가서 잡느라구 진땀뺐습니다....정말, 정말 등에서 식은땀 나더군요...

sedan

2006.02.01 18:26:24
*.217.74.118

한발끼고 타는것 저역시 절대 찬성하는 사람인데요 무조건 한발끼고만 타는것만 이야기할것이 아니구 제발 남에데크좀 조심좀 해줬으면 좋겠어여 장비가 좋고 나쁘고를 떠나 개인적으로 전부 아낄겁니다 근데 랜탈하시는분들과 자기장비에 애착이 없으신분들 왜 남에껏두 막대해도 된다고들 생각들을 하시는지 일부! 몰지각한분들 립트 대기 줄서서 남에데크뒤를 쾅쾅찍지를 않나 남에데크위(탑부분)를 엣지를 바짝세워서 한줄만 만들어두 열받을판에 엣지세워 남에데크위에서 돌려주시지를 않나 타다가 생기는 장비손실 내 데크위를 지나가면서 생긴줄은 그냥 에이씨하고 말지만 립트대기줄서있는데 개념없이 행동하는분들은 그분들차있으면 그차위에서 카빙좀 해보구 싶네요......

간지가좔좔

2006.02.06 16:25:49
*.110.40.39

sedan님 글에 전적으로 공감플러스입니다. 장비가 싸건 비싸건 다들 아끼는장비일겁니다.그아끼는 장비에 스크레치 가면 열받지요...더불어 한발묶고 타기가 싫어질 정도지요...

닭코스

2006.02.07 19:06:41
*.121.223.17

완전 동감입니다. 개인장비 가지고 타는 사람들은 맆트 대기선에서 신경 바짝 곤두섭니다. 제발 조심좀 해주시고 어린애들 데리고 오는 강사 및 부모님들은 스키장에서의 에티켓 교육 꼭 시켜주시길.. 전에 맆트 대기선에서 뒤에 선 꼬마가 제 데크에 계속 쿵쿵 부딪히길래 그러지 말라고 웃으면서 얘기했더니 장난치는 건줄 알고 아예 폴대로 데크를 내려찍더라는. - ㅁ-;;; 얼굴 싹 굳어서 소리치듯이 혼냈더니 그제야 말 알아먹더군요. 휴. 지금생각해도 열받습니다.

역삼동호랑이

2006.02.23 02:11:35
*.233.79.64

유령데크 위험해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58

절약법 eBay 에서 물건 구입하는법 [12]

장비 튜닝 아논 피그먼트 화이트 레더 튜닝 [18]

  • 배수경
  • 2008-10-30
  • 추천 수 56
  • 조회 수 5597

장비 관련 19/20 각 브랜드 헤머데크 스펙 정리 [37]

  • RRRRR
  • 2019-02-22
  • 추천 수 54
  • 조회 수 5592

장비 튜닝 1000원으로 스톰패드를!! [9]

  • 정원일
  • 2008-01-29
  • 추천 수 45
  • 조회 수 5591

장비 튜닝 헬멧 도색 2탄 [15]

해외원정 펜션 이용한 일본(홋까이도) 보드원정 [20]

  • CFB
  • 2007-01-24
  • 추천 수 29
  • 조회 수 558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 가지고 장난치지 맙시다..(초보보더 에... [20]

기타 데크 보관대 만들기^^ [13]

장비 관련 슬로프를 통해 본 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 file [45]

  • leeho730
  • 2013-03-15
  • 추천 수 10
  • 조회 수 5571

장비 구입 같은 샵에서도 장비 가격이 틀리다고? 정말? [7]

  • Bazinga
  • 2010-12-24
  • 추천 수 0
  • 조회 수 5570

초보를 위한 강좌 장비 해체 & 보관 Tip [21]

  • 月세계
  • 2006-05-01
  • 추천 수 20
  • 조회 수 5568

기술(테크닉) 익스트림 카빙시 도움이 될만한것. [19]

장비 튜닝 실시출력을 이용한 데크 그래픽 튜닝기 [23]

  • 세인
  • 2008-12-07
  • 추천 수 64
  • 조회 수 5566

일반 드뎌 내방에서 찬넬시공을 완료했습니다.... [17]

  • 참치
  • 2008-10-31
  • 추천 수 68
  • 조회 수 5565

기술(테크닉) 가압과 감압 [30]

  • 134340
  • 2018-05-21
  • 추천 수 16
  • 조회 수 5565

일반 안경착용자를 위한 스포츠 안경 소개. file [13]

  • 화랑v
  • 2010-01-12
  • 추천 수 38
  • 조회 수 5563

장비 관련 묻답게시판, 자주묻는 질문들(데크,왁싱) file [8]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장 매너] 이번시즌 더도말고 이것만 지... [50]

장비 튜닝 고글튜닝(일명:A프레임레이져)ㅋㅋㅋ [38]

기술(테크닉) 天地人으로 분석해 본 스노우보딩 [11]

  • KOON™
  • 2005-12-20
  • 추천 수 61
  • 조회 수 5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