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최근 궁금증이 생긴 부분이 있어 고수님들의 고견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

저는 07년도에 본격적으로 입문하여 중급사에서 자유롭게 턴을 구사하는 정도 라고 (개인적으로ㅋ) 생각합니다.

 

제가 처음 보드를 배우던 시절 그리고 작년 시즌까지도 다운(플렉션)은 가압(프레스)를 주기 위한 행위라고 알고

그렇게 보드를 타왔습니다.

데크를 바꾸고 급사카빙을 하고자 동영상 및 이론을 보다보니

다운은 가압하는 행위가 아닌 빠른 선회력으로 생긴 설면에서 올라오는 프레스를 지탱(?)하는 행위로 이해가 되는데.. 맞는지요?

(다운이 앵귤레이션을 통한 엣지각 확보도 수반되지만 그 경계가 모호합으로 일단 논외로 접어두고..)

 

정리드리면..

 

1. 다운 후 서서히 업(익스텐션)하는 행위가 실질적인 가압 행위이며

업언웨이티드 카빙시,

설면의 프레스 작용에 대해  다운 후 (가만히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어나려는 힘으로

설면 프레스에 대응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2. 추가적으로 만약 위에 제가 이해하는 맞다면.. 다운언웨이티드와는 어떻게 구별하는 지요??

일전에는 업(익스텐션)하는 힘으로 가압한다고 간단히 구분하였는데, 이제 이것도 헷갈리기 시작하네요.ㅜ

엣징 체인지 바로 전 시점에서 플렉션, 익스텐션 상태로 구분하는게 맞을련지?

상기 내용이 맞다면 다운언웨이티드가 보다 적극적이고 강한 프레스 행위라고 볼수 있겠네요. 힘은 더 들지만^^;;

 

루나트릭스님 자료도 보고 했습니다만.. 머리속에 정리하기 어렵네요.ㅎㅎ

간단명료히 답해주실분 계실련지??^^

엮인글 :

Engineer

2015.12.09 11:47:06
*.70.53.239

기계과 출신 공돌인데요 .... 가압이고 프레스고 이런 이론들은 다 현상을 바라보는 정립된 이론인데, 기계공학, 심지어 물리학 수준의 영역으로 들어가도 이론과 실제 시험결과는 달라요. 이론은 필연적으로 만든사람이 보고싶어 하는 현상을 제외하고는 실제 존재하는 수많은 변수들을 통제하기 때문이에요. 쇳덩어리 다루는 기계공학이 그렇다는데 우리 몸으로 하는 스포츠는 더 하겠죠??? 완벽한 이론이라는 것은 이론이기 때문에 불완전성을 포함하고 있어요. 가압 프레스 이런건 다 본인의 이해도를 키우는데 도움만 취하고 너무 빠져들어서 분석하실 필요는 없어요.

상남동폭탄

2015.12.09 11:52:01
*.162.55.40

저는 수학, 과학이랑 거리가 먼 사회대 출신입니다. (차라리 체대였음 좋았을걸ㅎㅎ)

요 근래 드는 생각인데 어디 물어볼때도 없고 해서 질문해봤습니다.

결론은 스키장에 가서 몸으로 느껴봐야겠죠. 안보하세요ㅋ

Engineer

2015.12.09 11:49:31
*.70.53.239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면 다운은 천천히 하게되면 엣징을 강화시켜서 더 강한 턴을 만드는 수단으로도 쓸 수 있구요, 빠르게 하게되면 상체가 관성체 역할을 해서 오히려 엣지를 설면에서 뽑고 엣지체인지를 빠르게 하는데 도와주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요.

상남동폭탄

2015.12.09 11:56:23
*.162.55.40

답변 감사합니다. 느낌은 아는데, 정리가 안되서.. 말씀주신 내용 도움이 되었습니다.

Engineer

2015.12.09 12:08:01
*.70.53.239

한줄 용어와 설명으로 현상을 다 표현하는게 쉽지 않죠 이해하기는 더더욱 쉽지 않구요 저도 엄청 노가다 -_-;;;;;

Engineer

2015.12.09 11:50:52
*.70.53.239

두번째 방법으로 쓰는게 바로 다운 언웨이티드라고 하는 기술이에요. 첫번째 방법을 카시에서는 intermediate, 두번째 방법을 advanced로 구분하구요

상남동폭탄

2015.12.09 12:00:28
*.162.55.40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어드밴스 슬라이딩턴은 다운언웨이티드로 진행한다고 바야겠네요??

Engineer

2015.12.09 12:06:43
*.70.53.239

네 맞아요

해일로

2015.12.09 12:10:59
*.163.245.234

음...카시의 예로 들자면 어드밴스 슬라이딩턴과 디운언웨이티드 턴과는 다른 턴 입니다. 교본에서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고 실제 레벨2 테스트에서 다운언웨이를 조합한 턴을 구사하면 탈락 시킵니다

해일로

2015.12.09 12:16:47
*.163.245.234

어드밴스드 슬라이딩과 다운언웨이는 다른 턴 입니다. 슬라이딩과 다운언웨이를 조합 하는 턴이 따로 있지만 같은 턴이라고 보는건 무리가 있어용..

소리조각

2015.12.09 11:51:38
*.90.74.125

헝글에서도 논란이 많았던 주제인데요. 뭐 아직 결론이 났다고 하긴 뭣하지만, 실제로 물리적인 상식에 기초해서 생각해보면 다운이 가압이 된다는게 말이 안되죠. 차라리 감압이라면 말이될까...

그러나 대부분의 강사님들은 다운을 가압이라고 설명합니다. 왜냐하면 실제로 슬로프에서 다운으로 가압을 느끼게 되니까요.


그 부분은 속도가 엣지에 전해지면서 원심력을 다리로 버티는 걸 착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운을 시작할때는 가압이 됩니다. 왜냐하면 엣지체인지 시점에서 업을 하게되면서 데크가 리바운딩을 주는데, 이때 자연적으로 몸무게에 의해서 가압이 들어가고, 그때의 가압도니 프레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무게중심을 낮춰줘야하거든요.


정확히 말하자면 원인과 결과가 바뀐 셈이지만, 이런 매커니즘을 강습때 일일히 설명해 주면서 다운이 왜 가압인지를 이해시킨다는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강슴생들은 보드를 타고 싶어하지 이론강의를 듣고 싶어하지 않아요.


그래서 실질적으로는 다운때 가압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압이라고 설명하는 겁니다. 물리적으로는 이해가 안갈수고 있지만, 실제로느 그렇게 단순한 과정으로 생각할수는 없죠.


그리고 다운언웨이트는 카빙 숏턴에 많이 쓰이는데, 말그대로 다운을 통해서 엣지체인지를 하게 되니깐, 이때는 우리가 이해하는 상식대로 데크를 끌어올려서 다운이 감압이 되게 만드는거죠.

상남동폭탄

2015.12.09 12:04:45
*.162.55.40

아직 정리가 끝나지 않은 주제였군요. ^^;;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주신 내용, 생각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작두

2015.12.09 11:59:15
*.204.151.42

얼마전 박순백 칼럼에서 스키어들 사이에서도 유사한 논란이 뜨겁게 일었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다운하는게 가압하는 게 아니라 다운하면서 가압을 하라입니다. 싫으시면 업하시면서 가압하셔도 됩니다.

실제로 그런 경우도 있고요. 밴딩턴에서는 다운시 힘을 빼기도 하지요.

다운하면서 가압을 하는 이유는 판떼기에 가장 강한힘이 들어갈 때 신체의 무게 중심점이 설면과 가까와져야 좋을 여러가지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말고...

상남동폭탄

2015.12.09 12:10:03
*.162.55.40

업언웨이티드 기준,

다운이 가압이라고 생각하면 서서히 앉아주는 게 눌러주는게 맞는거 같구요.

업이 가압이라고 생각하면 다운 후 고정된 자세로 서서히 눌러주는 느낌이 맞을 거 같습니다.

결론은 스키장에서 타바야겠네요.

해일로

2015.12.09 12:08:22
*.163.245.234

다운을 한다는게 보드에 체중을(무게중심을 낮추는 행위) 더해 속도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업 동작을(무게 중심을 되돌리는 행위) 통해 보드에 실린 체중을 해방 시켜 다음 동작으로 넘어가기 용이하게 하는걸로 저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나친 물리 이론에서 생각 하시지 말고 몸으로 느껴 보세요^^

상남동폭탄

2015.12.09 12:10:38
*.162.55.40

넵^^ 이론은 여기까지ㅎ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Lunatrix

2015.12.09 12:21:52
*.62.172.46

보드는 기본적으로 외부힘을 이용하는게 대부분인 운동이고 업다운, 로테이션은 모두 이러한 외부힘에 대응하기 위한 도구일 뿐인데 여기에 지나친 목적성을 부여하면서 (이러면 먼가 있어보이고 가르치기 쉬우니깐) 난장판이 된거죠.
비기너턴이나 (로테강조) 너비스턴 (업다운강조)개념은 하루빨리 폐기되어야 마땅하다고 봅니다. 대체가능한 연습법은 차고 넘쳐요.

상남동폭탄

2015.12.09 13:17:04
*.162.55.40

답변감사합니다.^^ 정성스런 컬럼 잘보고 있습니다.

Bananaswag

2015.12.09 12:50:21
*.211.178.2

개인적으로, 다운은 보드와 설면의 각도가 증가한 상황에서 무게중심을 낮춰서 라이딩을 안정적으로 만드는 효과가 제일 우선한다고 생각합니다. 스노우보딩에서 가압은 원심력이나 관성 이외에는 그 어떤것도 불가능하죠. 폴짝 뛰면 모를까.

상남동폭탄

2015.12.09 13:18:25
*.162.55.40

답변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주촌놈

2015.12.09 13:35:11
*.91.235.146

다운이 가압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경사진 슬로프에서 서있는것 많으로 데크에 프레스가 들어가있고 엣지 체인지시점에서 감압->가압시 손실을 줄이기위한 신체 밸런스(데크 위에서 최대한 무게중심을 낮춰서 빠른 무게전달과 데크중심에서 안벗어나게) 때문에 다운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bkm0714

2015.12.09 14:45:57
*.223.49.94

다운은 변위이고, 가압은 가속이죠. a = dv / dt, v = dx / dt
그래서 다운"웨이티드", 업"웨이티드" 가 있습죠

bkm0714

2015.12.09 14:52:04
*.223.49.94

체중계에 서서 무릎을 구부리면서 쭈구리 자세를 해보세요. 동작중에 자세가 낮지만 실제 체중보다 더 나갈때도 있고 덜 나갈때도 있죠?
더나갈때 : 다운웨이티드
덜나갈때 : 다운언웨이티드
반대로 구부려있다가 무릎을 쭉 펴서 서보세요. 그때도 체중이 더 나갈때도 있고 덜나갈때도 있죠?
더나갈때 : 업웨이티드
덜나갈때 : 업언웨이티드

bkm0714

2015.12.09 15:04:50
*.223.49.94

center of mass의 높이 방향 변위 x = sin t + C 형태로 움직인다면, 프레스 a = x / dtdt = -sin t, 최대한 쭈구렸을때 프레스가 제일 크고, 최대한 서있을때 프레스가 제일 낮..... 초보는 복잡한 동작을 잘 안하고 저항하는 원심력도 낮으니

bkm0714

2015.12.09 15:08:58
*.223.49.94

바인딩 데크 결합면에 압력감지센서 부착하고, IMU를 머리, 어깨, 골반, 무릎, 발목에 붙이고 데이터 수집 켜놓은채로 한바퀴 라이딩 돌리고 자세교정이 가능한 세상... 이 언젠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야리치우

2015.12.09 19:00:58
*.223.15.159

ㅋㅋㅋㅋㅋ 민감한 주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17
27773 해머우드와 해머티탄데크 속도차이가 궁금합니다 [10] 펭수빠 2021-12-23 1058
27772 스키장 오픈하는데 최소 몇일은 뿌려야 하나요? [13] 난꽈당 2023-11-13 1058
27771 살로몬 오피셜에 어울릴만한 바인딩 추천부탁드려염 ^^ [22] 황장군_1018793 2010-11-01 1059
27770 휘닉스파크 셔틀문의드립니다, [16] 간쥐연구소소장 2010-11-01 1059
27769 플럭스 rk30에 딱맞는 이뿐 부츠 추천좀여~ [3] 불쌍한사람_... 2010-11-29 1059
27768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구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일까요. 갑자기 혼... [14] 알럽스노보딩 2011-01-24 1059
27767 에덴벨리 리프트권 렌탈샵에서 사면 되나요? [1] {}elixir{} 2011-02-04 1059
27766 살로몬 플렛지 발볼 어떤가요? 이온과비교시.. [4] 하이~큐~ 2011-02-11 1059
27765 셀프 엣징!! [2] 곰탱부리 2011-03-06 1059
27764 막보드를 받았는데 봐주시고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ile [3] SB_1003004 2011-04-21 1059
27763 보드탈 때 뉴에라만 쓰나요? [9] 여대생 2011-08-13 1059
27762 여자가 남자 보드복 바지 입어도 괜찮을까요?? [5] 123 2011-10-10 1059
27761 011데크 질문이요!!!! [3] LC.KimHJ 2014-04-01 1059
27760 가벼운 바인딩 [8] S~ 2014-04-29 1059
27759 살로몬 오피셜.... 홀로그램.... 플렛지 [12] JoelBarish 2014-06-15 1059
27758 나이키 카이쥬 vs 32 jp워커 비교좀 해주실수 있지요?^^ [5] 핵이 2014-09-26 1059
27757 장비어떤순서로사야할까요? [18] 보더 2014-09-29 1059
27756 하이원 시즌버스 12월부터 운행이면... [8] Mr.꽁 2014-10-13 1059
27755 요넥스 데크는 바인딩 체결하는 나사가 다른가요? [13] One_of_Us 2014-10-17 1059
27754 플럭스 디엠~~~~ [6] power21hyun 2014-10-24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