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인딩 스탠스는 라이딩 습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freeriding freestyle에 따라 조금씩
다른것으로 가장 좋은 어프로치 방법은 자기 어깨 넓이를 재어서  바인딩 센터와 센터 사이를
같게 하는것이 처음 시도 할 스탠스 거리이고,롱다리 숏다리가 있죠. 롱다리일 경우 이보다
1-2인치 조금씩 넓펴 잡으시고 숏다리인 경우 center of gravity가 낮기 때문에 어깨 넓이보다
1인치 정도 좁게 잡으시는게 중심이동에 좋읍니다. 킥커나 팍 위주로 보딩 할 경우 랜딩에
안정을 주기위해 어깨 넓이 보다 1-2인치 넓은 것이 무릅 부상으로 부터 덜 위험 합니다.
무릅은 앞 뒤로 주로 단련 되었기에 좌우 근육은 랜딩 시 많이 움직이면 acl이 파열 됩니다.
무릅이 약한 분은 스탠스를 조금 넓게 잡으시고 턴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하시고 타시는 것이
좋읍니다. 초보자나 중급자들의 턴에서 많이 볼 수있는 단점은 몸의 중심이 대부분 보드 중간 뒷
부분에 자리잡아 턴 할때 보드 앞 부분을 잘 쓰지 못하고 억지로 무릅에 힘을 주기에
무릅 손상이 많읍니다 특히 여자분들.이런 분들은 rubber tubing을 발과 발 사이에 놓고
무릅 좌우 근육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자기에 맞는 스탠스나 각도는 여러방면으로
시도와 실패를 거듭해서 나오는 것이지 모법답안이 모두에게 일정 하지는 않읍니다.
킥커와 팍을 주로 사용한다면 눈을 감고 맨발로 알리를 하고 착지 해보세요 그 각도와
스탠스 넓이를 재어서 바인딩을 조립하면 무릅에 손상이 덜 갑니다.단지 제 경우는 앞발의
각도를 3-4도 벌리는 것이 랜딩시,라이딩 시 양자를 더 만족시키는 거 같읍니다. 파우더
라이딩 시 중심이동을 빨리 해야 되기에 각도를 조금더 열고 뒷발 각도를 조금 더 닫아 줍니다.
한국에서야 파우더 날이 별로 없으시겠지만 원정시 밤새 6-10인치 이상온 눈일 경우 도움이
될 겁니다.스탠스와 각도는 간과 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몸과 보드를 연결 시켜주는 몸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O형인 다리의 경우 심하신 분은 뒷 발 바인딩에 CANTING을 하면
라이딩 시 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국에 그런 걸 파는지 모릅니다.
자기에게 알맞은 스탠스와 각도를 찾아서 부상없는 안전한 즐거운보딩 하시기를 바랍니다.
엮인글 :

니벨룽겐

2006.11.26 11:27:23
*.147.10.15

사이사이 줄 바꾸기 적극 권장 ^^

어우야아

2006.11.26 11:58:39
*.98.203.231

쓰시고 쓰신글 한번 보기 또 권장. ^^ 좋은글인데.....

HIKARI_SNOW

2006.11.26 12:00:49
*.227.207.186

음....ㅋㅋㅋ감사

nr랑ol란Dr법™

2006.11.26 12:05:23
*.29.35.233

엔터를 아끼지 마세요..

23

2006.11.26 13:31:17
*.238.60.240

좋은글이긴 한데여.......눈아파여.

엔터원츄

2006.11.26 14:52:51
*.208.224.172

읽은줄 또읽게된다는..

뚜아에무아

2006.11.26 15:35:39
*.77.80.188

잘보았습니당~^^

A/S

2006.11.26 16:48:16
*.216.130.118

좋은 글입니다...
근데... 읽는동안~~ ^^

이준영

2006.11.27 00:33:01
*.181.234.247

잘 봤어요

널♡해

2006.11.27 06:17:47
*.252.104.91

좋은글이네요, 눈이 좀아픈게^^

나뭐사죠

2006.11.27 10:52:41
*.174.132.16

감사합니당~

승기옵바

2006.11.30 19:20:34
*.133.99.116

처음 딱 보고 <- 뒤로가기 눌를뻔했다는... 하지만 내용이 좋은 것 같아.. 잘 읽었습니다 유익한내용

딕스꿍뽀딩

2007.01.07 10:28:57
*.47.126.205

잘 봤습니다. 엔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26
3257 장비 관련 장비 선택에 관련 다양한 썰 [6] GATSBY 2020-07-07 5 1695
3256 장비 튜닝 제대로 열 성형해 보야요.. 5-6편 끝.. [2] guycool 2016-10-07 1 1704
3255 기술(테크닉) 모글라이딩 라인 잡기 file [14] 레몽레인 2019-02-10 5 1705
3254 장비 구입 전향각 데크 길이에 대하여 [11] BadDancer 2023-09-16 5 1713
3253 일반 묻고 답하기에 질문 하기 [4] 론리보더 ~ ♪ 2004-03-23 32 1715
3252 헝그리 캠페인 작은 친절로 조금만 더 따뜻한 보드장을 만... [19] 친절 2003-12-28 5 1722
3251 헝그리 캠페인 부상 줄이기 [12] board300 2004-01-27 16 1729
3250 장비 튜닝 제대로 열 성형 해보아요 파트 2 guycool 2016-10-07 1 1762
3249 기술(테크닉) 전향각, 해머데크 vs. 슬라이딩턴에 대한 일... file [8] VitalGoofy 2023-10-15 7 1765
3248 기술(테크닉)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 팁 | Advanced slid... [8] Jake! 2021-03-01 10 1767
3247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 프론트사이드 월턴과 에어턴의 ... [3] 반중력 2013-02-03 2 1769
3246 장비 구입 주요 브랜드별 미국 정가와 한국 소비자가 비교 file [22] 라리라 2013-02-08 12 1769
3245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 방지를 위한 무릎 강화훈련 및 스트레... [1] 휘팍 데굴데굴 2006-09-12 10 1770
3244 기술(테크닉) 다운언웨이티드턴에서 하중빼는 법 [5] J ¤【decemb... 2022-01-06 3 1770
3243 헝그리 캠페인 안전을 위한 말씀도 존대말로 해주세요 [11] 공룡 2004-01-24 10 1785
3242 절약법 아래의 저의글을참조 하여 주세요^^ [4] 딸배 2002-12-07 34 1796
3241 초보를 위한 강좌 사이드 슬립부터 베이직 카빙까지 [5] 이소주 2022-01-09 5 1798
3240 헝그리 캠페인 우리 좋은 정보가 있다면.. [4] 후니~★ 2003-12-30 17 1799
3239 기타 [장터이용시] 온라인 거래시 읽어두면 유용... [13] notbad79 2003-12-29 8 1800
3238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