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은 자동차 운전자에게는 추위에 대비한 ‘차량점검의 달’이기도 하다.
날씨가 추워지면 차량이 트집을 부려 운전자를 당혹스럽게 만들 때가 많다. 특히 생애 첫차를 구입한 초보 운전자들이라면 요령부득으로 낭패를 보기에 앞서 미리미리 사전 예방점검을 해 두는 것이 좋다.  


먼저 배터리를 점검하세요.

가장 먼저 확인할 일은 배터리의 성능. 기온이 떨어지면 엔진과 변속기 내부의 오일점도가 높아져 시동모터에 큰 부하가 걸린다.
배터리는 시동모터가 작동되는 소리로 성능의 정도를 우선 판별한다. 작동음이 약하면 배터리 단자가 오염되거나 접촉불량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배터리 평균 교환주기는 2~3년이다. 겨울철에 시동이 걸리지 않더라도 조급하게 시동 키를 돌리지 말고, 느긋하게 5분 이상 기다려 배터리가 어느 정도 안정감을 찾은 뒤 15초 간격으로 7~10초정도 길게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화플러그 등 소모품도 살펴보세요.

겨울철에는 또 점화장치 기능이 떨어지므로 평소보다 관심을 갖고 소모품 관리를 세밀하게 해줘야 한다.
일반 점화플러그는 매 2만㎞를 기준으로 빼서 확인하는 데 간극이 넓거나 카본이 많이 끼었다면 제거해준다. 심하게 오염되었거나 성능이 불량한 경우 고압 케이블과 함께 신품으로 교환하는 것이 좋다.
부동액의 경우 최근에는 푸른색 용기에 사용기간이 표기된 장수명 부동액이 주입돼 예전처럼 1~2년 주기로 교환할 필요는 없다. 다만 장수명 부동액 원액은 연수인 수돗물과 절반씩 섞어 사용해야 효과가 좋은데, 일반 부동액과 혼합 사용하면 그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냉각장치와 엔진오일 점검

냉각장치와 연결된 각 호스의 체결 상태도 꼼꼼하게 확인해 누수가 있는지 살핀다.
미세한 누수는 증발돼 직접 확인은 어렵지만 흰색 앙금이 흔적으로 남기 때문에 이 부위의 클램프를 단단히 조여 누수를 방지하고 부동액도 보충하는 것이 좋다. 기간이 다 된 부동액을 교환할 때는 잔존 부동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새부동액과 수돗물을 반드시 절반씩 섞어 가득 채운다.
오일이 새는지 살펴보는 것도 필수 체크사항이다. 날이 추워지면 엔진 오일점도가 올라가 엔진 가동이 어렵기 때문에 오래돼 점도가 높아진 엔진오일은 반드시 교환하는 것이 좋다.  

기타 점검사항

겨울철에는 안개와 눈이 잦다. 전조등이나 안개등과 같은 등화장치의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스노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안전운행의 지름길이다. 요즘은 4계절용 타이어가 많이 이용되는데 이 경우 반드시 스노체인을 구비하고 운행해야 갑작스런 날씨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밖에 가솔린 차량은 결빙으로 인한 연료 공급 차단에 대비해 6만㎞마다 연료필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디젤차량은 연료탱크 내ㆍ외부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생성되므로 가급적 연료를 가득 채우고 운행하도록 한다. 특히 디젤차량은 기온이 떨어지면 시동이 안 걸릴 가능성이 높다. 반드시 노즐이나 예열 플러그 등을 미리 점검하도록 한다.
LPG 차량은 연료특성상 영하 15도 이하로 떨어지면 연료 공급이 원활치 못해 시동 걸기가 어려워진다. 혹독한 날씨에는 시동성이 좋은 프로판 함량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강원도 같은 한랭지역으로 이동할 때는 도착지의 LPG 충전소에서 연료를 채우는 것이 다음날 시동성을 위해 유리하다.  

엮인글 :

미연아빠

2006.12.06 01:38:05
*.47.238.133

저도 이런글 올리려고 했는데..예전에 이런글 많이 올라 와서 고민했죠...한가지 빠진게 있다면 겨울철 운전에 가장 중요한 워셔액을 바꿔야하죠...눈올때 워셔액없으면..ㅡㅡ;;..겨울용 워셔액으로 바꾸시고요..지금 자동차 회사마다 무료점검 해주고 있어요..
보험사 관련 업소에서도 물론 무료점검하고 있으니 점검한번 받아보시고 와이퍼 상태도 다시한번 확인 겨울철에는 와이퍼 손상이 많으니 주의하시고요...체인 감을때 꼭필요한 삼각대도 준비..그리고 급할때 사용할 점프선도 챙겨야겠죠....
그리고 체인을 새로 사셨으면 귀찮더라도 한번은 채워보고 확실하게 습득하시는게 추운날 고생덜 하는거겠죠...
체인 감았을시 40KM/h 이상 주행하시면 체인내구성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는거 잊지마세요..

양치기

2006.12.06 09:22:40
*.6.114.26

미연아빠님 말씀대로.. 워셔액 꼭 챙기세요.. 이거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야매보더

2006.12.06 13:13:03
*.216.29.156

HID 장착하신 분들도 조심하세요. 저와 제친구... 손톱만한 안개등만 켜고 겨우 올라왓습니다.
건조함과 온도에 영향을 받은건지 안켜지더군요... ㅡ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28
1497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참고 하세요!^^ [30] seasons 2006-12-09 10 7084
1496 장비 관련 부츠신을때 약간의 팁정도^^;; [23] 필살기 2006-12-09 27 8560
1495 기술(테크닉) 앞발 바인딩 각도가 턴에 미치는 영향 [55] 정덕진 2006-12-08 129 29530
1494 일반 보드장의 발권소는 한곳뿐인가?(12월8일 업... [15] 막시무쓰 2006-12-07 15 3297
1493 장비 튜닝 엉덩이 보호대 튜닝하기.. [8] 썰~인 2006-12-07 60 6108
1492 일반 ▶◀ 베어스를 떠나면서 [41] K 2006-12-06 6 6250
1491 초보를 위한 강좌 설면에 따른 라이딩 방법 [18] CHAOS™ 2006-12-06 61 7145
» 일반 기본이지만 매번 체크해야할 사항 [3] 무좀유죄 2006-12-05 17 3927
1489 의학,부상,사고 수박깨지는 소리와 기억상실증 (헬멧에 관... [45] daru 2006-12-05 33 7802
1488 해외원정 [위슬러 블랙콤 소식] WVSC & 블랙콤 파크 ... [16] pj1080 2006-12-04 13 8898
1487 장비 튜닝 Bern 헬멧 절대 아세톤 쓰지마세요!!! [16] 숭실大양지man 2006-12-04 17 6336
1486 기술(테크닉) 티셔츠로 닌자 두건 만들기... [22] 딱딱한궁딩이 2006-12-04 26 6738
1485 장비 튜닝 "Denim"헬멧을 만들어 볼까? [11] 血花香 2006-12-04 14 4585
1484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용어 설명 (2) [5] CHAOS™ 2006-12-04 24 6961
1483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기본적인 용어설명 [12] whiteboarder 2006-12-01 30 8436
1482 기타 보드복 자석에 신용카드 정보가 지워지면... [22] 오라버니 2006-11-30 22 6258
1481 장비 구입 안 눅눅한 보드 바지 고르는 법 ??? [17] Tech 2006-11-29 16 5989
1480 헝그리 캠페인 자기 베이스, 자기가 지키고 가꾸기~ [25] 보드꾸러기 2006-11-27 40 5147
1479 장비 튜닝 엉덩이가 시려워~~엉덩이 젖기에서 벗어나자.. [34] JDown 2006-11-27 20 9528
1478 헝그리 캠페인 음주보딩 자제합시다. [23] Lunatrix 2006-11-27 45 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