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설 -


흔히 보드장에서 볼수 있는 눈 상태입니다.

이때는 정확한 중경 상태에서 라이딩 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첫 정설(오전과 야간)때에는 다운프레스를 하면 하는대로 엣지가 박히는 느낌을 받게됩니다.

엣지 그립이 좋아서 최상의 기분으로 보딩할수 있고 실제로 슬립도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조금 지나게되면 여기저기 모글이 생기게되고

조금 숙련된 분들은 그 모글에서 알리나 널리, 트릭등을 하게됩니다

하지만 초보자들에겐 쉬운일이 아니죠.

초보자분들께서는 유혹이 있더라도 그냥 지나치시길 당부드립니다.

뛰고, 돌리고 하는것들 멋있습니다. 하지만 자신과 타인의 안전이 우선시 되어야 하죠.

모든 초보분들이 똑같다는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분들이 멋져보이고 싶어하는게 사실이죠.

그러다 보니 보드 컨트롤도 제대로 안되는 상태에서 뛰고 돌리는 연습 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별로 좋아보이는 모습도 아닐뿐더러

자신과 타인의 안전에도 크게 위협을 가하는 행동이라 생각됩니다.



- 자연설 -


자연설에서의 라이딩은 보통때(인공눈 정설상태)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한가지 주의하실점은 몸의 중심을 약간 후경이 들어간 상태로 라이딩하는것 입니다.

시즌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설면이 인공설, 그리고 강설이죠.

인공설면 같이 중경, 강설면 같이 전경이 들어간 상태로 자연설에서 라이딩을 하다보면

십중팔구는 노즈가 설면에 박혀서 그라운드에서 프론트플립을 할겁니다.

제 자신의 경험담 입니다...-_-;;

왜냐하면 자연설은 아무리 정설을 하였다 하더라도 인공눈보다 공극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베이스로만 라이딩을 하더라도 설면에 데크 베이스 자국이 확실히 남게됩니다.

그만큼 설면에 공극이 많아 좁은면적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한번 더 눌린다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후경이 들어간 상태에서 타면 노즈가 약간 들리게되고

노즈가 눈속에 박힐 염려없이 라이딩할수 있는것 입니다.

이때의 업다운도 약간 리드미컬하게 통통 뛴다는 기분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엣지 체인징을 확실히 할수 있습니다.



- 습설 -


쉽게말해 눈이 많이 녹은상태의 설면입니다.

습설에서의 라이딩은 보통때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눈이 쉽게 부서지고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눈이 쉽게 부서진다는 말은 엣지가 터진다는 말인데

라이딩시에 다운프레스를 하게되면 데크가 휘게되고

데크는 호를 그리며 회전을 하게 됩니다.

습설에서는 호를 그리는 도중에 눈이 밀리면서

순간적으로 엣지 그립이 없어지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이런경우를 쉽게 엣지가 터진다고 할수 있습니다.

눈이 많이 녹은 상태여서 곳곳에 웅덩이가 생기게되는데.

이때는 두가지 유형의 라이더를 볼수 있습니다.

역엣지에 대비해 옷젖는것과 안전을 생각해서 피하는 라이더...

이에 웬떡이냐 하며 웨이크 보딩을 하는 라이더...



- 강설 -


아마도 보더들에게는 가장 어려운 상대일 것입니다.

엣지를 박는것도 쉽지 않고 발란스를 유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또 설면이 아주 단단해서 보통때와 같이 넘어져도 부상의 위험도가 더 큽니다.

최선의 방법은 피해 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우리나라의 경우에 기온이 매우 낮고

눈이 자주 내리지 않기 때문에 습설과 함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상태의 눈이죠.

이런 상태 눈에서의 라이딩 전에는 항상 에지를 잘 다듬어 주어야 합니다.

또 자세는 최대한 낮추고 약간 전경이 들어간 상태에서

아이스반 위를 빠져나갈 때까지 유지합니다.

부득이하게 턴을 해야 한다면 최대한 부드럽고 크게 돌아줍니다.

라이딩시 너무 위험하다고 느껴지면 좀 더쉬운 슬로프로 바꾸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엮인글 :

날아라가스~!!

2006.12.06 09:34:42
*.78.73.74

훌룡한 글이십니다.

불타는감자

2006.12.06 10:28:53
*.46.97.2

완전 아이스를 만나시면 턴이나 사이드 슬립보다는 그냥 무엣지 활강으로 아이스반을 지나가시는게 제일 안전합니다.

누구나거북이

2006.12.06 10:30:35
*.140.231.178

좋은글 감사 ㅋㅋㅋ 강설에서는 엣지에 식칼을 달아주는 센스!!

사시미 원츄~ ㅋㅋ

Lunatrix

2006.12.06 11:03:37
*.252.71.82

'이때의 업다운도 약간 리드미컬하게 통통 뛴다는 기분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 이부분 왠지 맘에 드네요 ^^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글구 습설도 약간 녹은 습설, 많이 녹은 습설 이 두가지가 차이가 확 나더군요.
약간 녹은 습설은 마치 소금밭 위에서 타는 느낌이죠. 파우더 타는것처럼 약간 후경을 안주면 노즈가 쳐박히기 일쑤에다 넘어지기라도 하면 피부에 왕창 쓸리는 눈... 시즌 초반 후반 녹았다 얼었다 반복하면 이렇게 되는거 같습니다. 눈을 손으로 뭉쳐도 부슬부슬 부서지죠.(용평서 자주경험)

반면에 많이 녹은 습설은 습기가 너무 많아서 눈끼리 잘 뭉치죠. 슬로프 안쪽까지 녹아서 엣지가 많이 박히긴 하지만 보드가 지나가면서 슬로프를 누르면 눈이 딱딱(?)해져서 되려 엣지그립력이 상당하죠. 노즈가 박히는 경우도 덜하구요. 물론 속도는 전혀 안나지만 -- 주로 시즌 후반 햇볕 따땃한 날이 이렇더군요.(성우에서 자주 경험)

글구 울나라 슬로프들 야간되면 강설되기 일쑤라 야간라이딩시 헬멧은 필수인거 같습니다. 야간에는 다들 안전보딩~~~
간 큰 초보들은 강설되면 뒷발차기해도 속도가 안줄기때문에 되려 신나서 타는데 이런것도 조심 ^^

야매보더

2006.12.06 13:02:19
*.216.29.156

와!! 진짜 멋진글!! 다 읽지는 못했지만 일단 리플날리고, 박수 짝짝 치고 다시 읽겠습니다!!

[블랙쏜]

2006.12.06 15:12:16
*.111.15.22

글에서 경험이 느껴지는 좋은 글이네요.

푸희~ ㅡ..ㅡv

2006.12.06 15:15:32
*.235.30.88

좋은글 잘 읽어봤습니다!!! ^-^

지나가다

2006.12.06 16:37:21
*.46.23.248

좋은글이지만 강설과 아이스반은 다릅니다. 강설은 카빙하기 좋은 눈입니다. 카빙 '연습' 하기 좋은 눈은 아니지만 카빙하기 좋은 눈이죠. 모글이 안생기기 때문에 카빙하면서 울렁울렁 거릴 일도 없습니다. 스키 타셨던 분들이면 아실지 모르겠지만 스키로 카빙하시는 분들은 강설을 제일 좋아합니다.

다운언웨이트

2006.12.06 17:45:04
*.104.98.8

아이스반에서 부득이하게 턴을 하시려면 다운 언웨이팅을~~~ ^ ^

아따 긍께

2006.12.06 18:38:46
*.78.93.125

이렇게 세세히 쓰시다니 대단하십니다. ^^b
훌륭한 정보라고 생각됩니다.

FZ

2006.12.06 20:08:50
*.139.184.255

전 강설이 제일 좋습니다...항상 전경이기땜시 ㅡㅡ;;
파우더 오는날이면 이리터지고 저리터지느날~
습설일때도 이리터지고 저리터지고..뷁

T제이

2006.12.07 02:29:10
*.216.157.41

너무 공감되는 글이네요..^^

Kick

2006.12.07 04:00:59
*.27.105.145

굿임돠...
항상 글을 한가지 쓰다보면 다른쪽을 까먹고 안쓰는데 둘다 신경을 쓰셨네요 ^^

뚜아에무아

2006.12.07 18:25:38
*.77.80.188

좋은 글 잘봤습니다~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모모드

2006.12.07 21:50:05
*.127.57.152

많이 배우고 갑니다^^

태풍낙엽™

2006.12.10 11:12:01
*.104.156.5

잘보고 갑니다..^^

elRp

2006.12.19 11:54:08
*.195.25.1

아이스에서는 될수 있는한 토 턴을 하시라는 말도 추가했음 하네요..사과쪼개지기싫으면

굿데이~!

2007.04.07 15:07:54
*.79.134.215

이에 웬떡이냐 하며 웨이크 보딩을 하는 라이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997 장비 관련 2009 Transworld Snowboarding Good Wood [5] 별책부록 2008-10-08 61 4925
2996 장비 관련 힐 쪽 카빙이 밀린다는 분들 (바인딩 셋팅) [18] pain 2007-01-23 61 10715
2995 장비 관련 에덴밸리 0910 버튼 시승회 file [8] 벌러덩벌렁 2010-02-23 61 3484
2994 일반 숀 토끼 마스크만들기(구피스탈버젼) [14] 구피스탈 2007-01-31 61 4530
» 초보를 위한 강좌 설면에 따른 라이딩 방법 [18] CHAOS™ 2006-12-06 61 7146
2992 일반 렌즈가 눈에 안맞아 안경 김서림으로 인해 ... [29] 곰돌이짱 2009-01-08 61 9935
2991 해외원정 [board300]밴쿠버에서 보드장 경제적으로 이... [7] 심운섭 2002-09-20 61 2554
2990 장비 관련 오늘 살로몬 오피셜 155 구입기... [39] 주교주 2008-11-26 61 7473
2989 기술(테크닉) 알파인라이더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 [1] 알파인스노... 2006-12-23 61 3448
2988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2987 장비 튜닝 부츠에게 친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헬멧에 ... [65] 두칠이보더 2007-10-09 61 7605
2986 장비 튜닝 뚜껑 초딩같은튜닝; [17] 이승현 2008-12-04 61 6284
2985 기타 동영상 원클릭으로 다운. file [14] 살리 2009-09-22 61 5712
2984 장비 튜닝 스티커 제작하고 마스크도 만들기...(비시즌용) [9] 구피스탈 2007-04-11 61 6807
2983 보드장에서의 절약법 하이원 여행기, 하이원cc호텔, 러브러브패키... [20] 백군 2007-02-08 61 8097
2982 헝그리 캠페인 가입하고 글을 첨으로 쓰네요..랜탈에 관한.. [19] 마사루K 2007-03-01 61 3160
298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인사말) [66] 김은석 2009-01-19 61 6792
2980 일반 보드복 관리, 이렇게 해 보아요 ! :) [19] 라라라링 2009-02-04 61 7683
2979 기술(테크닉) 집에서 라벨 만들기~ [2] 콜라 2007-01-26 61 3522
2978 해외-장비구입 Bern baker, 번 핼멧 해외-장비구입기 [21] snukorea 2007-09-30 61 6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