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스키어랑 사고나는 EU.docx

조회 수 2758 추천 수 8 2016.01.04 12:21:31

1. 스키어와 보더의 시야의 차이.

  보더는 주로 사선 횡을 그리며 내려감. 그에따라 항시 몸과 시선이 기본적으로 사선을 바라보고 

정면을 주시하게 됨.  추가로 나의 경우는 항상 턴이 들어가는 동시에 뒤를 바라보고 후속에서

오는 사람이 있는지를 봄 (이미 전방을 확인 후 루트를 그려 확인했기에 가능. 대부분 이런식으로 달리죠?)

 그래서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음.   레귤러 기준 힐턴시


슬로프 상단 힐턴 시작 왼쪽 -> 오른쪽  ㅇ은 사람  --는 시선의 영역


ㅇ---------------------------------

----------------------------------

-----------------------------------

----------------------------------

----------------------------------

----------------------------------ㅇ 


슬로프 하단





이런 그림이 그려짐...  그런데 스키어들은


 ㅇ                                  

--------

     -----------

         -----------------

              -----------------------ㅇ


이런 시선으로 달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음. 생각보다 스키어들은 턴을 하면서 뒤를 주시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좌우 시선또한 상대적으로 적으며  자기가 갈 루트만을 보고 주변은 안보고 달리는 경우가 많음.

(물론 아니라고 주장하는 스키어들이 대다수 일듯. 대부분 스키어가 근데 저렇게 달린다고 함)





그렇기에 보더들이 느낄때 내가 저 사람을 봤으니 으레 저 사람이 속도를 줄이겠지  혹은 피해 가겠지

하는 생각도 많이 함.


필자도 최근 스키어라 박을 때  레귤러 힐턴중이였고 후속으로 오는 스키어가 눈에 보였음.

하지만 그 스키어도 내가 힐턴으로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달리기에 그대로 가는데 

갑자기 턴을 다시 토턴쪽으로 바꾸면서 그대로 나에게 꼬라 박음... 내가 앞에 있었음에도

힐턴방향으로 완전히 방향 전환한 후 나를 발견함.



2. 서로에 대해 움직임을 쉽게 예측하기 어려움.

보더들은 서로 움직임을 보면 이 사람이 곧 턴을 할지 안할지 업다운 자세를 보거나

라인이 그려지는 정도를 보면 대충 감이 옴.

하지만 보드를 안타본 스키어들은 그 사고이후 갑자기 턴을 할줄 몰랐다고 함.

마찬가지로 보더들도 스키어들이 언제 턴할지 예상하기가 힘듬.

 특히나 스키어가 카빙턴같은 고급기술이 아닌 A자를 이용하여 턴하는 경우

전혀 감을 잡을 수 없음.



3. 상대적으로 스키어들은 집중하면서 달리지 않음.

 이 주장에도 동의 전혀 못하는 분들 계시겠지만, 상대적으로 집중을 안하고 타도 되는게 스키임.

지인들 동영상 촬영을 위해 가끔 스키를 타면 스키 초급인 나 역시도 쉽게 내려가면서 촬영 가능

그 말은 라이딩에 그닥 집중하지 않아도 크게 넘어지거나 할 일이 없음. 자신도 모르게 집중도가

분명 떨어지는 요인이 됨. 

  반면 보드 타고 지인들을 찍어주려고하면 정말 어려움. 데크 움직임 보랴 카메라 각도 신경쓰랴..

장애물들 피하랴.. 정말 어려움. 그래서 보더들은 항상 집중하면서 탐. 고수들도 한눈팔다 넘어질때 많음.



4. 아직 위험한 초급들

 누군가 댓글에 적었지만, 보더 초보들은 일어서기도 힘들뿐더러 엣지 잡는걸 못하면 달릴수 조차 없음

그러나 스키 초보들은 일어나는 것도 쉽고 방향전환도 쉽고 오히려 어려운 브레이킹 기술도 쉽다고 생각하고

그냥 내달리는 경우가 많음. 그런 초보들은 당연히 턴도 안되고 그대로 때려박는 경우가 많이 생길 수 밖에 없음

그리고 단체 강습자들 대부분이 스키를 이용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초보 비율이 스키쪽이 높아지는 이유이기도 함.




아닌부분도 있고 맞는 부분도 있고 다 맞을 경우도 있고 다 아닐 경우도 있겠지만

이러한 복합적인 이유들 때문에 사고가 발생된다고 봄.






마지막으로 스키어가 때려박든 보더가 때려박든 눈썰매가 때려박든 다 실수도 할 수는 있다고 생각함.

그럼 사과하고 물질적 책임이 필요하면 책임을 지면 되는 부분임.

그러나 대부분 보더들의 사고 비율이 스키어랑 더 많이 나는 이유와 대부분 사고나 민폐 당했을 때

기분이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 역시 대부분 스키어임.

 이 부분에서는 확실히 인성이 문제이긴 하지만 그 비율을 직간접적으로 특정 부류에게 많다고 느끼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는 하지만 그 부류를 싫어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될 수 있음.


엮인글 :

ㅋㅋㅋㅋ

2016.01.04 12:30:52
*.33.181.200

요즘 보더들은 대부분 개판이죠.

타지도 못하면서 카빙이랍시고 ㅋㅋㅋㅋㅋ
쏘는게 언제부터 카빙이 된건지

3번은 피해망상환자같으시네요

끄앙

2016.01.04 13:06:55
*.1.214.49

추천
1
비추천
0

실제 나이는 모르지만

이분 나이드시면 

거의 꼰대가될 확률 90%이상

Lunatrix

2016.01.04 12:36:50
*.237.143.246

추천
4
비추천
0

ㅊㅊ

스키어들이 위험한 이유는 주변 시야 확보 전혀 안함 (사고나면 왜 사고났지?)

보더들이 위험한 이유는 주변 안전 확보 전혀 안함 (사고나면 시팔 니가 왜 날 막냐)


무엇보다도 여유있고 항상 내가 좀 손해본다는 맘으로 타면 사고 없이 타실 수 있습니다.

올시즌카빙정벅

2016.01.04 12:42:34
*.214.160.122

이분  말씀이 정답이네

 

라고 글 쓴 분 보니 ..ㅎㄷㄷ

shin8341

2016.01.04 13:16:30
*.238.56.87

정답 인듯 

양반보더

2016.01.04 14:25:37
*.229.172.73

이분칼럼 자주보는데 볼때마다 공감하고  머리속으로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자를 반복.

잘만뀨

2016.01.04 12:43:33
*.54.123.186

보더 입장에서 쓴 글 맞죠?^^;

Song_imfreeskier

2016.01.04 12:48:10
*.209.120.164

To. 글쓴이 님 "관심 받고 싶으세요?" 
EU가 EU같지 않아서~ ㄷㄷㄷ 

하울94

2016.01.04 12:50:45
*.86.164.23

추천
3
비추천
0

ㅋㅋㅋ 전 개인적으로 스키타면서도 사고 많이 나는 (내는?) 분들은 보드 타도 많이 내고 반대일거라 생각해요 ㅎ

주시하고 안전하게 타시고 시야확보하고 타시는 분들은 뭘 타던 그렇게 하고 안 할 사람은 뭘 타도 안할거라 생각합니다.

글 자체는 너무 이럴 것이다, 아마 이렇다, 나는 이렇게 한다 식으로 적으셔서 신빙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느껴지네요~

lusenski

2016.01.04 12:57:02
*.142.250.42

사고는 예측이 안됩니다..그냥 조심하고 속도를 줄여서 타는 수밖에요..자동차도 사고도 마찬가지이죠..자기가 조심한다고 사고가 안나는게 아닙니다.. 방어운전하듯이...스키든,보더든 조심하는 수밖에 없구요..

야수파

2016.01.04 13:01:14
*.92.134.204

스키 보드 둘다탑니다만  전방시야확인은 스키가 더 용이하죠.

 

후방은 그나마 보드가 더쉽고요

 

문제는 스키가 쏘면 속도가 더빠르다는데 있는거 같아용.

 

보더끼리는 같이 쏴도 출발시 체크하면 라이딩도중 뒤에서 날아오지않는데 스키어들은 한번씩 날아와서 받아요. 

 

에이자  스커지도 무섭고  레드를  턴 두어번만에 내려와버리는 롱턴 스키어도 무섭고..

시원연우맘

2016.01.04 13:05:58
*.152.95.40

전 대체적으로 동의합니다 3번 경우도, 제가 과거 스키 에이자 타면서 사람 몇번 박아가며 구른 기억도 있어서 동감해요 그리고 보더의 입장에서, 초보스키어 동선 진짜 어디로 튈지 모르겠어요.. 중간에 앉아있는 보더나 손을 맞잡고 내려가는 보더에게 방해받는게 반 스키어 에스타면서 꼬리물기하거나 중간에 멈춰서있다 갑자기 출발바거나 서로 대각선으로 물려 만나거나 해서 방해받는 게 반인데
식은땀 나는 건 스키피하기 쪽이죠 예상이 어렵고 갑자기 닥치는 경우가 많음

Basket信

2016.01.04 13:08:26
*.62.3.109

하키스탑 익히기 전에 A자로 내달리는게 가능한게 스키라서

방향전환만 겨우 하면서 A자로 가는 사람이 제일 위험함...

멈 출 수 없는 미사일

askyi80

2016.01.04 13:25:43
*.153.121.219

글쓴 내용을 보니 십여년전에 나오던 논란을 이제야 하는걸 보면 입문한지 몇년 않된 듯 보이는데..  부주의하게 타는 그 사람의 개인이 문제가 있는 거죠.   스키라서  혹은 보더라서 그렇다?.  ㅋㅋㅋ 

blacksnow

2016.01.04 13:26:42
*.231.145.198

사고사례야 케바케 사바사지만 스키에 받히면 보통 부러지는데 

보드에 받히면 날아가더라구요 ㅎㅎ 거기서 + 부러지는건 랜덤


Retro아톰

2016.01.04 13:36:31
*.113.114.182

시야문제는 어느정도 공감합니다......하지만 제가 공감하는 부분의 시야문제는 글쓴이의 부분과는 살짝 틀립니다...


중급 슬롭의 경우 보더든 스키어든 시선을 바닥에 내리 꼿아놓고 달리시는분들이 꽤 많더군요.....


스키어든 보더든 전방 체크만 잘해도 사고날 확률이 절반으로 줄지 않을까 생각하고있습니다.....


+ 안전 거리 확보도 필요하겠지요....앞사람이 턴해서 들어오는 시간보다 내가 빠져나가는 시간이 빠르겠다..


생각하고 치고 들어가는건 보더나 스키어나 똑같다고 봅니다.....


언제 상대방이 넘어질지 모르는 슬롭에서 위험한 생각이지요.....

시원연우맘

2016.01.04 14:17:21
*.152.95.40

사람 별로 없으면 당연히 넓게 비켜가는데 인파가 슬롭에 산적해있는 경우 계산해서 치고 들어가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거 같아요 ㅠ 그렇게 안하면 낙엽으로 내려가야 함..

DreamT

2016.01.04 13:40:47
*.122.242.77

...둘다타는 입장에서,

1번은 전혀 비공감. 보더의 시야와 스키어의 시야를 각각 과대, 과소 평가하시고 있네요... 서로 다른 사각이 있는건 사실인데 그리신것과는 많이 다릅니다..


2번. 동의


3번, 비공감.

초급주순에서 스키가 좀 더 여유로운것은 사실, 단 스키어의 A자 설렁설렁 수준은 보더의 낙엽으로 비교하셔야합니다..

제대로된 턴이 들어가면 둘다 비슷해요...

 그리고 글쓴이 말대로라면 보더가 자기 자신의 컨트롤에 좀 더 집중해야한다는 말인데,

그런경우 이 글의 핵심 주제인 "전체적 시야" 관점에서, 스키어보다 보더가 주위 시야 확인을 하는것이 더 어렵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4번. 동의. 같은 초보자 수준이라할 수있는 낙엽 vs A자 로 보면, 연속적인 활강을 할 수 있는 스키가 더위험하다고 볼 수있죠.

네이뷔

2016.01.04 13:46:11
*.181.227.138

저도 스키어들 보면 가르킬때 시야에 대해 아예 생각조차 안하고 가르키는거 같아요 그냥 앞만 보고 가면 다 비켜가겠지~~ 하고 자기 시야앞으로 들어오면 브레이킹 할 생각 안하고 움찔하면서 때려박아버리더군요 당연히 초보스키어들이겠지만;;

하이원기준으로 아폴로 헤라급만 되도 스키어들도 양보 잘 하면서 타시더군요 

문제는 가르길때 초보때부터 시야에 따른 위험성에 대해 별 생각이 없어보였습니다.

4번째시즌

2016.01.04 14:01:19
*.116.229.110

스키를 실제로 타보면 시야 문제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겠던데요..

20thcenturyboy

2016.01.04 14:08:29
*.77.118.88

보드와 스키의 동선은 큰 차이 없습니다. 어차피 턴하는 건 매한가지거든요. 동선 예측이 어려운 건 그 사람이 보더 혹은 스키어이어서가 아니라 그냥 초보자이기 때문입니다. 중상급으로 가면 스키 쪽이 동선이 더 유연합니다. 


시야 문제는 분명히 차이가 있죠. 스키어는 전방 시야 확보가 유리하고 보더는 자신의 스탠스 반대쪽 시야 확보는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이것이 보더가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고 볼수 있을까요? 보더들이 와이드 렌즈 장착한 겹눈을 가진 것도 아니고요.  개인마다 차이가 조금씩 있기는 합니다만 사람이 보는 시야는 고만고만하죠. 시야 확보는 속도와 관계 있습니다. 속도와 시야는 반비례하는데, 제 실력에 안 맞는 속도로 사람 많은 슬롭에서 내리 쏘다 보면 보더고 스키어고 간에 사고낼 확률은 똑같이 높아집니다. 


내 앞에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이 보더이건 스키어이건 간에 일단 조심해야 합니다. 섣불리 동선 예측해서 뛰어 들어가는 건 그만큼 사고 확률을 스스로 높이는 행위입니다.  스키어는 보드 탈 줄 몰라서 동선을 예측할 수 없다? 혹은 그 반대? 이건 또 무슨 논리인가요? 스키어고 보더고 간에 초보자의 움직임은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 초보자 본인도 어디로 갈 지 모르는데 그걸 누가 예측합니까? 


보더들은 죄다 정신 바짝 차리고 라이딩에만 집중하는 것 같으세요?  미친듯이 혼자 내달리다 펜스 쳐박고 사람 들이 받고, 시야 확보도 안된 둔턱에서 뛰다가 사람 들이 받는 거 사람 많은 날이면 하루에도 몇 번씩 볼 수 있습니다.  혹시 스키 타 보신 경험 있으세요? 스키 신고 넘어졌다 일어나는 거 그렇게 쉽지 않아요. 초보자가 아무 생각없이 - 아, 개중에는 혼자 무섭다고 비명 지르면서 질주하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  그냥 내달리는 경우 많은 건 스키나 보드나 똑같습니다. 

시원연우맘

2016.01.04 14:27:53
*.152.95.40

컨트롤 안되면 보드 스키 둘 다 위험한데
누가 와서 박는 입장이 되면 앞에 가는 내가 피할수없이 당하니까 내통제밖이니 그건 논외로 하고
내가 피할수 있는 위험인자의 측면에서 보면 보더 초보는 대체로 움직임이 느리거나 갑자기 빨라지면 그자리에서 뒤집어지고 자빠지는데 반해
스키어초보는 보더에 비해 움직임이 가볍고 빠르고 혼자 뒤집어지기보다 선채로 미끄러져 몸으로 부딫혀오는 거 같아요
그래서 피하는 입장에서 부담되요.. 저만 그런건지ㅁ몰라도..

시원연우맘

2016.01.04 14:35:53
*.152.95.40

그리고 보더는 내가 가까이 갈때까지 내가 자기시야에 안들어오니 자기 갈길 가고 있으면 나는 알아서 겹치지않게 피하면 되는데 스키어는 곁눈으로 날 보면 초보의 경우 급 당황해서 아아아아 비명을 지르면서 오히려 내쪽으로 돌진을 ㅠ 슬롭에 사람많으면 가까이서 피해가는 건 필연인데 충돌할 뻔한 적이 그래서 전 뒤에서 절 박는 경우는 스키보더 반반이었으나 그밖의 경우는 보더와는 한번도 스친적이 없고 늘 스키어와 아슬한 경우가 되더라고요.. 생각해보면 스키초보때도 주로 내가 보더에게 들이박았거나 박혔네요..

20thcenturyboy

2016.01.04 16:51:28
*.77.118.88

보더들이 날아와 들이 받는 거 천지에 널렸습니다. 초보자건 어느 정도 경험이 있건 별 상관이 없더군요. 2주 전에 웰팍 브라보에서 목격한 사고는 몹시 당황스러웠습니다. 리프트 위에서 봤는데 두 보더가 전 속력으로 내리 달려서 둔턱에서 뛴 다음에 공중에서 충돌 후 낙하, 앞에 가던 초/중(?) 나이 쯤으로 보이는 어린 친구를 뒤에서 충돌하더군요. 보고 있던 제가 놀라서 얼른 내려가 봤더니 아무도 없었습니다..보기보다 충격은 심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다행인 거죠.  


제가 초보자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긴 했습니다만, 초보자가 유발하는 사고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기가 좀 탄다 싶으면 초보자들에 대해서는 방해물 정도로 인식하고 우습게 본 다음에 까불다가 사고를 내죠. 


원래 자기 겪은 일이 먼저 보이는 것이죠. 피하는 입장에서 부담되는 건 어느 쪽이든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피하고 있는 나 자신도 누군가에게는 예측불허의 이동식 장애물일 수 있습니다. 제어가 안되어 제 멋대로 흘러나가는 스키어나 제 진행 방향 앞에서 갑자기 엎어져 버리는 보더나..... 저는 똑같이 겁납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무서운 건 좀 타봤다고 뻘짓하는 사람들입니다.  

시원연우맘

2016.01.04 17:32:22
*.152.95.40

뒤에서 박으면 답 없죠 남을 어케할 순 없으니 나라도 안박구 잘 피하려면 의 입장에서 쓴 거에요

20thcenturyboy

2016.01.05 00:47:48
*.77.118.88

위에도 적었듯이 자기가 보고 겪은 것이 먼저 떠오르는 법입니다. 


웅아범

2016.01.04 14:47:16
*.133.133.27

사실...주위를 볼때...주변시....라는게 굉장히 중요하죠...

근데..사실...속도가 올라갈수록 주변시의 범위도 줄어드는데다가...고글을 쓰기도 해서...

사실 주변시의 범주는 없다고 봐야 되는 것이죠...스키나 보드나 마찬가지일 겁니다.

저는...애매하면....한가해질때 까지......슬로프 가장자리에 서있습니다.

내 스피드를 알고...턴의 호를 알기 때문에...무턱대고 내려가기 보다는...어느정도 주변이 정리되면 내려가는 편이지요...

그리고...턴의 호의 크기를 확 변화시키는 것도 위험합니다. 뭐 한 슬로프를 같은 턴으로 내려오기도 뭐 하겠지만...

뒤에있는 사람들은 대충 선행자의 행동 패턴을 보고 움직이게 됩니다.

선행자 ....의 움직임에 맞추어 움직이다가....턴의 ...크기와 방향이 바뀔 때....충돌의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죠..

스탠스 반대쪽의 시야...... 진행자의 스피드와 거의 동일하게 내려오는 스키어가 있다면...보더가 아무리 주위를 둘러봐도

보이지 않는 사각이 존재합니다. 바로 뒤통수를 여섯시로 본다면...4시반과....반대스탠스의 경우 7시 반....

요 사이에 뒤에 누가 있으면...보이질 않습니다. 스피드의 차이가 서로 별로 없다면....뒷사람이 조심해야하는게 맞지만...

이 경우 턴 호의 크기가 갑자기 변하면...뒷사람은 그냥 부딫히는 거죠....

뭐...말이 길었습니다만....

사실...타면서도...눈도 눈이지만....귀도 열어야합니다. 데크 갈리며 오는 소리....스키 턴소리...다 들으면서 움직여야 하는게

맞는 듯 합니다.


저는 스키어입니다. 보드장 소식 때문에 가입을 하긴 했지만... ^^;

사고는 순간입니다. 예측도 불가하고...

갈수록 짧아지는 겨울 스포츠기간 중에....안좋은 일 없어야 하겠지만...

참...맘대로 안돼죠....

어제...웰팍 브라보에서 쏘다가...안쪽발 엣지가 걸려...한바퀴 돌아 뒤로 떨어져....헬멧이 쪼개지는 지경에

이르는 사고를.....단독으로.....당했네요...ㅎㅎ 더 웃긴건...그때 브라보 슬로프에 아무도 없었다는.....ㅎㅎ 

팅~~ 한 머리를 부여잡고 내려와서...

한참 생각을 했습니다. 혼자넘어져도 헬멧이 깨질 정도의 사고를 당하는데....누구와의 충돌이었다면...

중상이상일 거라는 생각.....

더 겸손한 자세로 타야겠다는 생각......

사고는 그렇게..얘기치 않게 일어나는 것일 뿐......

실력도...운도 믿을 게 안되는 거더라구요..^^

그냥...양보해감서 타는게....좀 속편하지 않을까 합니다.


스키어라고 넘 뭐라하지 마시길~~~~ ^^

지나갑니다

2016.01.04 15:51:18
*.33.178.50

네.... 이건 뭐 이유라고 할수도 없는것 같네요

Dj쿤

2016.01.04 16:27:43
*.66.184.4

추가로... 단체강습시 초보스키어들 줄줄이로 슬로프 다 막고 내려가던데.. 진짜 그런거 볼때마다 초보건 나발이건 눈 흘씬 뿌려버리고 내려가고 싶습니다... 초급이면 초급 슬로프에서 익숙해 질때까지 연습을 하고 올라오는게 당연하다고 보고 또 그렇게 줄지어서 내려가는건 너무 이기적인 방법인거 같더군요...

꼬마늑대

2016.01.04 16:32:27
*.237.76.8

백어택몇번당하고 느낀건..

스키어는 초보분들위주로 자주(?) 하시고..ㅠㅠ

보더는 나름 실력있으신분들이 자주 하시더군요....ㅠㅠ


갈라드리엘

2016.01.04 17:18:46
*.136.3.59

전 슬로프 끝에서 턴하다 미끄러져서 넘어진 후

일어서려고 하고 있던 도중

보더가 와서 절 받았습니다.

물론 제동 및 컨트롤 안되는 보더 -_-


이게 올해만 세번 째네요 ㅋ


한번은 여자라서 햄볶 *-_-*

CLAP

2016.01.04 17:56:59
*.251.8.3

그래도 결론이 훈훈하게 "서로 욕하지말자" 가 되어서 참 다행이네요..


nine-9

2016.01.04 18:09:02
*.196.69.223

3번은 논란이 좀 있을듯...어쨋든 서로 조심해야죠

휘팍 두삼이

2016.01.04 19:02:11
*.62.163.39

공감합니다. 지난주 토요일 휘팍 펭귄 맨아래 ~~ 그냥 걸어다니는곳에서 잠깐 쉬고 있었는데 초보스키어인지 직활강으로 그대로 돌진하더군요~ 초딩인데 물어보니 브레이크 어떻게 하냐고 저한테 묻더군요~ 사고야 스키어든 보더든 서로 주의안하면 나겠지만 직활강 비스무레한것도 안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렇게 쏠거면 스키점프대로 가시는게 낫다고 보는 바 입니다.

럽수

2016.01.04 20:53:57
*.222.229.30

어찌됫던간에...... 

스키 보더 편가르기는 좋지 않아 보입니다.


사고는 사실 초보든 상급자나 언제든 예고없이 나오지만

보통 교육을 제대로 못 받은 초급자에게서 많이 나오는게 사실이죠. 

중상급슬로프에서는 특히 레벨에 맞지않은 초보자에게서 많이 나오기도 하지만

초급슬로프에서는 상급자 또한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초보자가 많은 만큼 막 쏘고 평소처럼 내려오거나 사람사이로 슝슝 지나가다가 사고나기 쉽상이져

방어운전은 어느정도 해야지 서로 안전하게 타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즐기러 와서 눈살 찌뿌리게 다쳐서 가지는 말아야죠 ㅜㅜ 

스키어

2016.02.04 17:27:26
*.132.250.225

뒤를 못봐요. 뒤를 못봐. --- 뒤를 못본 니 잘못이 100%인데, 누굴 탓하니?

대칭 운동이 아니라 짝자기에요.

존나 겉멋만 들었어요. 니 실력 그렇게 자랑하고 싶니?

리프트 타면 보더 때문에 존나 불편해요. --- 자자, 데크 앞으로 정렬

리프트 입구 막고 멈춰 서서 한쪽 바인딩 풀어요. --- 입구는 좀 열어두고 한쪽으로 비켜서서 풀어라.

슬로프 진입로 전체 막고 앉아서 바인딩 질 해요. --- 어디로 진입하라고?


개념은 집에 두고 다니는 게 아니란다.

아무리 잘 타면 뭐 하니, 타인 배려는 눈꼽만큼도 안하는 개초보인 것을..

스키어

2016.02.04 17:31:14
*.132.250.225

추가로..


개념 없는 초보 보더/스키어는 여기서 언급하지 말고, 좀 타는 사람 기준으로 언급합시다.



누구 때문에 사고 납디까? 내가 그렇게 스키장 다니면서 관찰한 결과, 뒤 못보는(후방 시야 좁은) 보더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이더만..


도대체 누구 핑계를 댑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9300
135579 슬로프 이용 [45] DarkPupil 2016-01-04   2007
135578 보드를 오래 탈수록 부끄럽네요 [21] 소리조각 2016-01-04   2824
135577 전직했습니다 2 [14] 다마★ 2016-01-04 4 1196
135576 비발디파크에서 혹시라도 방 필요하시면 쪽지주세요 [25] 실버린느 2016-01-04 38 1807
135575 오늘 출근은 차 공업사로~~ [6] 스키티즈 2016-01-04 1 1026
135574 나눔엔 인증..보드백 인증입니다.^^ file [5] 윰미1004 2016-01-04 5 1328
135573 헝글에 맞춤법 틀리는 사람님들! file [23] 뚜자 2016-01-04 11 2704
135572 휘닉스파크 파크 문제점이 있는거 같네요 [11] ★장군 2016-01-04 4 2278
» 스키어랑 사고나는 EU.docx [37] 스키어vs보더 2016-01-04 8 2758
135570 아~!아~! 하이원 특파원 나와주세요^^ [18] 게쉬타퐁 2016-01-04   1023
135569 전직했습니다ㅎㅎㅎ [57] 레브가스 2016-01-04 13 2227
135568 [나눔 완료] 혹시 필요하신분이 있을까요 file [32] 실버린느 2016-01-04 36 1730
135567 헝글에서 보드 몇년차의 기준.... [29] RockQ 2016-01-04   2161
135566 우리나라 스키장의 고질병 몇가지 [28] 곤지암솔로잉 2016-01-04 9 2881
135565 제 몸은 소중 하니까요 file [16] DarkPupil 2016-01-04 1 1539
135564 잘 버텨왔는데 올해 결국 지름신 강림하셨네요 file [22] 실버린느 2016-01-04 4 1835
135563 스타벅스 프리퀀시 다이어리 교환 못하신분?? [8] BlackSwan 2016-01-04   1345
135562 솜이아빠님의 케이블나눔 인증!! file [9] kayres 2016-01-04 5 881
135561 힐턴 사진을 이어 보았습니다. file [41] 보더동동 2016-01-04 4 3222
135560 (소소한나눔) 새해를 맞이하여 헝글스텀패드,시즌권케이스 나눔 [106] 쉭이 2016-01-04 68 1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