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요즘 개인장비를 많이 갖추고 타시는분이 많은것 같습니다.

실력 향상과 보드문화정착에 상당히 바람직한 방법이기는 합니다.
단 정확한 사용과 남용이 없다는선에서 말이죠
한시즌에 많지않은 회수를 위해서 구입한다는것은 낭비일수도 있구요

하지만 일단 장비를 구입했다면 충분히 활용을 해야겠죠? ^^

제가 알고 있는 또는 제가 생각하는 관점에서 한번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바인딩 센터링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초보 입장에서 역시 중요하죠 상급으로갈수록 진가를 발휘하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처음보다 중요한건 없겠죠?

대체적으로 발을 길이로 반 나누어 중간되는지점이 중심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발의중심 즉 몸의 중심은 사실 뒤끔치 쪽에 가깝습니다.
난간위에 서있다고 생각을해보죠...
뒤쪽은 낭떨어지고 난간의 끝선에 발을 올려놓고 있다고 했을경우 끝선에 발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맞추면 <--- 문구수정
과연 쉽게 서있을수 있을까요?
더 들이 밀어서 중심과 뒤끔치쪽의 3/2정도? 그정도는 돼어야 중심을 딱잡고 서있을수가 있겠죠?
데크의 모양과 중심도 그런 측면에서 중심이 테일쪽으로 살짝 빠져있는 정도구요 <--문구추가
전 바인딩 장착할때 상당히 오랜시간을 투자합니다.
이유는 바인딩위에 부츠를 부착하여 중심위치를 찾습니다.
대체적으로 정강이선을 수직으로 내리는지점쯤이 중심이 됩니다..
힘의 배분에 있어서도 뒤끔치 쪽이 상당히 강한 지지력과 힘이 좋습니다.
발까락쪽은 사실 중심잡기위한 부채와도 같은거죠
태권도의 발차기에서만 봐도 발가락 부분의 파워와 뒤꿈치 부분의 파워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죠
무게를 실을수 있냐 없냐라는거조 몸을 실는다고들 하죠?

제생각에는 발등과 복숭아뼈의 중간 위치정도에 중심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발이 크신분과 작으신분과 중심이 같다고 생각하시면 큰일입니다.
발이 작으신분들은 어쩌면 사실 이점이 많죠 중심이 많이 빗나가지 않을수 있거든요
하지만 잘못하게 되면 결국 라이딩시 발고락으로 서있는 결과와 비슷해집니다.
나름 적응이 된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효율적인 중심과 힘의 배분의 아니라는거죠

그럼 여기서 실제 장착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부츠 모양이 대체적으로 정강이쪽이 앞으로 살짝 숙여진거로 생각할때
어림잡아 그 안쪽끝선을 수직으로 내리면 실제 부츠를 반으로 나눈것보단 살짝 뒤쪽에 이쬬
전 부츠 부착후 그지점에 센터를 맞춥니다. 정석은 아닙니다 제발크기와 부츠크기
그리고 제몸의 중심의 발에오는 중심의 위치등에서 나름 찾은 노하우 정도로 보죠
그리고 부착후 부츠신고 올라가보고
다시 올려보고 몇번 해봅니다.

제일먼저 하는작업은 부츠가 부착된 바인딩을 올려놓고 노즈쪽과 테일 쪽의 직선상에 서서 멀리 바라봐
중앙을 찾는거죠
대체로 맞습니다.
사진걸때 멀리서 균형 잡는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 결국은 부츠가 앞쪽으로 또는 바인딩이 앞쪽으로 치우친것같이 보일수 있습니다.
아니 사실 바인딩 디스크의 구멍이 많이 이동 됩니다.

역시 바인딩의 디스크 중앙이 바인딩의 무게중심도 아니거니와 바인딩의 중심도 아니라는거죠
물론 바인딩의 디스크는 바인딩 전체의 힘의 배분이 가장 좋은 위치에 있겠죠?
그건 바인딩의 역할이고 바인딩이 할일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할일은 그바인딩을 이용해 부츠를신고 데크위에서 중심을 잡는 겁니다.
바인딩의 모양이나 부츠의 모양
바인딩의 위치나 부츠의 위치로만 센터를 잡는건 좀 뭔가 아쉬운거요
보기좋게는 딱 맞출수 있죠 그건 눈으로만 맞추는거구요
보딩은 눈으로 하는게 아니니까요^^

하여간 결론은 부츠를 바인딩에 부착하고 데크위에 올려놓은후 직선상에서 양쪽으로 멀리서서
바라본다 가 정답일것 같네요

그전에 해야할것은 부츠만을 신고 운동및 동작을 해보아 자신의 몸의 중심이 어느쯤인가를 알아보는것도 필요 하구요

전 맨발을 벗었을때 발바닥 끝부분 발고락 관절이 시작 되는 부분이죠
뒤꿈치처럼 뭉툭하게 굳은살도 베기고 두툼한 살이 있는 부분이죠
그부분과 뒤꿈치 까지의 중간정도에서 약간의 오차를 두고 +,- 되는듯 싶네요

물론 제발 같은경우죠 제 신체 구조도 그렇구요
발이 기신분은 분명히 중심이 이동할겁니다. 아주 미세하겠지만요

위치를 대충 기억했다면 부츠를 신고 역시 지점을 확인하고 제가 동작 또는 활동을 해보아
중심이 가는 위치를 케치합니다.

바인딩과 결속된 부츠의 그 부분을 데크의 중심과 맞춥니다.

책상이나 선반등의 약간 높은 위체이 놓고 찾으시면 더 잘보입니다.
한걸음 물러서서 다시 보시고 확인
그담은 오케이

이제 볼트만 꽉 채우면 되는거겠죠?

여기서 포인트는 부츠가 바뀔때 바인딩이 바뀔때 모델 또는 싸이즈 뭐든 바뀌면 다시 확인 합니다.

대체로 비슷한경우도 있지만 엄연히 달라집니다.
이점 유의 해야겠지요?

그래서 다른사람의 데크를 타보고 와우 이거 먼가 달라도 다르구나 느끼신분들은 어쩜 이런 센터링 문제
일수도 있습니다. 꼭 확인 해보세요...

나한테 맞는다 생각한 보드위에 올라섰을때 자신의 부츠및 발의 위치가 어디쯤 오는지 기억해놓는것도
하나의 팁이구요 ^^

나름 머 주절 주절 적긴 했는데 이견이 있을수 있다 생각 합니다.
사람의 중심 잡는법이나 적응하는 방법이 다르기때문일수도 있구요
주로 하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사용하는 근육이 많이 다르죠

야구 선수의 중심 포지션과 축구 선수의 중심 포지션 역시 다를수 있거든요

이견 있으신분들 리플로 공유 해봐요 ^^
엮인글 :

Dark.H

2006.12.24 15:01:19
*.107.167.185

ㅎㅎ 수치상의 가운데는 확실히 아닙니다...
무게 중심이 우선이 되어야겠죠...
저 같은 경우엔 포워드린의 정도와 바인딩 각에 따라서도 센터링을 조정하며 탑니다...
정확한 연관 공식은 말씀드릴 순 없지만 센터링과 턴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약속5시간전

2006.12.24 15:05:19
*.54.8.43

이견 없죠..매우 다양하며 매우 중요합니다.

단지 0.5cm 차이지만 확연하게 느낌이 다르더군요..
되던게 안되고 안되던게 되지고...
물론 고수가 아니기에 0.5cm에 민감한 거지만요.

역시 묶어봐야 느낌이 딱 하니 오는것 같습니다.
단 2~3미터 미끌어 내려가면 딱 느낌이 오더군요.
그냥 얼추맞추면서 자기꺼다 싶을때 열심히 타서 몸에 익히는게 가장 중요..

3˚엣지

2006.12.24 19:07:15
*.106.44.176

편평한 곳에서 토와 힐을 번갈아 넘겨보면 대충 감이 오는듯합니다.
센터링이 빗나가면 한쪽으로의 전환에 힘이 더 들어가고
맞으면 무게중심이라고 생각 했던 발등의 부위가 시소의 지렛대 부분에 놓인것처럼 느껴집니다..

붕붕보더

2006.12.24 22:24:54
*.103.92.46

딴지 입니다...
사람이 가만히 서있을때.....
양발로 서있을때 물론 발이 기니까 무게중심이 발바닥에서 약간뒤라고 볼수도 있지만 발바닥 전체를
무게중심이라고 보면 발바닥을 데크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맞지 않을까 합니다..

.

2006.12.25 05:35:35
*.254.233.143

딴지 입니다...
사람이 가만히 서있을때.....
양발로 서있을때 물론 발이 기니까 무게중심이 발바닥에서 약간뒤라고 볼수도 있지만
(평발이 아닌)발바닥에 있는뼈가 타원형으로 이루고 있는 그 꼭지점이 무게 중심 아닐까요...?네 아닙니다.
왜냐면 발굼치는 좁고 발가락쪽은 더 넓으니(면적이) 무게배분을 하면 님께서 주장 하시는것보다
앞쪽에 무게 중심이라 생각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발바닥을 데크 정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맞지 않을까 합니다..

보헤

2006.12.25 17:05:45
*.125.220.67

저도 그런생각은 해봤습니다.
물론 발이 고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걷는다든지 뛴다든지 하는경우는 좀 다른듯 싶어요
지지할수 있는 하이백과 발 앞쪽이 고정되어 있는경우는 다르게 느껴지더라구요
참고 하겠습니다. 오늘 한번 슬롶에서 확인 해보겠습니다.
어쨌든 꼭 부츠가 고정된상태에서 바인딩 센터링을 해야한다는 변함이 없습니다.^^

..

2006.12.27 11:22:15
*.159.145.58

다른의견입니다. 사람이 보통 서있을때 무릎을 편 상태로 서 있게 됩니다.
그러면 무게중심은 보헤님이 말씀하신 위치에 있겠지요.
하지만 보딩을 할 때는 무릎이 앞으로 굽혀진 상태(전경자세or기마자세) 로 서 있게 됩니다.
그러면 발 앞꿈치 쪽에 힘이 더 실리게 됩니다.
바인딩의 센터링은 보딩을 하는 자세에세 센터링을 조정해야하지 서있거나
일반 활동할 때의 중심을 기준으로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이 되네요.

보헤

2006.12.27 18:14:01
*.125.220.67

흠 그럴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전 상체를 거의 숙이지 않기때문에 또 덕스텐스를 주로 사용하다보니...
중심이 몸쪽에서 많이 벗어 나지 않는것 같네요
저의 경우는 데크 토우에찌쪽으로 바인딩과 부츠가 치우쳐진것처럼 보이는데
그런세팅에서 중심이 딱 맞는 느낌입니다.
중앙쪽으로 가까이 갈수록 토우쪽 에찌를 사용할때 힘겨우며 붕떠있는 느낌을 받네요 ^^

영자씨

2006.12.27 19:12:08
*.37.36.67

남이뭐래도 자기가 편하면 되는겁니다. 심하게 이상하지않으면 익숙해진 셋팅으로 타시는걸 권장..

귀가 얇아서 장비셋팅만 바꾸다가 시즌다갑니다..ㅋㅋ

Luv

2006.12.28 12:51:58
*.117.130.108

아 어렵당..ㅠㅠ 나도 빨리 데크랑 바인딩이랑 부착해야는데.ㅜㅜ

보헤

2006.12.31 19:38:48
*.125.220.66

저리가 ~~~ 이씨.. 보여주긴 멀보여줘
우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3
3157 기술(테크닉) 알리로 10m쯤 뛰기 & 360 쉽게하기 file [51] 가고일~* 2011-11-09 1 11241
3156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67] G×Union.최윤석 2016-04-26 22 11236
315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분에게 꼭 드리고 싶은 말씀.... [76] 김씨 2008-02-20 72 11235
3154 기술(테크닉) 카빙을 잘 하고 싶다면 데크를 바꿔라? [33] 스크래치 2017-01-09 1 11228
3153 해외원정 15/16 알프스 원정 후기 (샤모니-몽블랑) 올... file [68] yjforsure 2016-03-20 72 11224
3152 장비 관련 오클리 렌즈 교체법 file [12] 수술보더 2009-10-29 44 11197
3151 기술(테크닉) 트릭 초보를 위한 널리 FS 180 입니당.. [20] 쎄지~ 2003-07-06 43 11141
3150 초보를 위한 강좌 상판 보호필름 - 집에서 저렴하게!! file [26] 조로아찌 2015-11-19 19 11125
3149 장비 관련 미러렌즈에 관한 모든 것 [58] 육보드 2006-11-24 38 11123
» 장비 관련 데크 와 바인딩 부착시 센터링 [11] 보헤 2006-12-24 16 11121
314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강습시의 바인딩각도 [16] 설픈민종 2007-02-01 27 11106
3146 기술(테크닉) [RiderCrew] 카빙시 좋은 자세 / 나쁜 자세~*^^ [22] RiderCrew 2001-11-26 130 11051
3145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3.심화과정 file [6] Lunatrix 2014-11-25 16 11050
3144 일반 위성사진으로 본 국내보드장 스케일 비교 [20] 루프트 2009-01-03 62 11031
3143 장비 관련 센터링 잡는 법 팁 몇가지 알려드릴께요.. file [41] FC-X 2015-12-18 46 11030
3142 장비 관련 [BK7] 스노우보드 디스플레이 [14] 베캄 2002-03-22 48 11028
3141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스티커 제작. 작지만 중요한 부분. [13] Rushine 2008-10-20 95 11020
3140 기술(테크닉) 페이키 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렇게 연습하자!! [37] BusTa!! 2007-02-27 73 11019
3139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4 "보드는 앞으로 타세요" [26] grindays 2014-10-30 35 11012
3138 기술(테크닉) 알리에 대한 불편한 진실... [25] sangcomsnow 2011-12-05 1 10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