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인터미디어트 슬라이딩에서 어드밴스드 슬라이딩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관하여 생각해보았습니다.


저를 비롯하여 함께 보드를 즐기는 동료들이 모두

인터미디어트 슬라이딩 턴을 구사하고 있으며

몇년째 그 이상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어드밴스 슬라이딩 턴에 대한 이해가 되기 시작하는 것 같아서

보드메이트들에게 그간 줏어들은 것들을 설명하고 함께 스킬업 하기 위해서 

사전에 정리를 좀 해보았습니다.


(틀린건 틀렸다고 지적해주시면... 매우 좋습니다.)


----이하 반말이더라도 이해좀 해주세요;;---


급경사 라이딩-어드밴스드 슬라이딩턴-은

비압설, 모글과 아이스반 등이 산재한 경사도가 강한 슬롭에서 허벅지 등 

국부적인 곳에 강한 부하가 걸리지 않고도 빠르고 편안하게 라이딩 할 수 있게 해준다.

유명라이더들이 상급슬로프에서 카빙과는 다르게 슬로프에 달라 붙은듯이 

빠르게 촥촥 치고 내려오는 바로 그 턴을 어드밴스 슬라이딩 턴이라고 한다.


다음은 현재 단계(인터미디어트 슬라이딩 턴)에서 그 턴을 구사하는 수준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이해해야 할 것들이다.


○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게중심 이동


1. 턴의 시작

- 몸을 경사 아래로 쏟아지듯이 던진다.

- 엣지를 강력하게 설면에 꽂아넣음으로써 턴이 시작됨과 동시에 턴의 후반부가 모두 결정된다.


2. 턴의 이행

- 쏟아내린 어깨를 거두어 들인다

- 이때 무게중심을 데크의 중심을 지나 테일쪽으로 이동시킨다.

- 무릎이하 종아리근육 부분을 스티어링 하여 데크를 회전시킨다.

-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하여 데크를 회전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 허벅지 근육을 이용하여 데크와 눈을 밀어내지 않는다.(앉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3. 턴의 종료

- 후경상태에서 1.과 같이 노즈쪽으로 체중이동을 하면 압력이 해소되면서 데크가 떠오른다.

- 이때 더욱 강력하게 노즈방향으로 체중을 실어준다.


○ 무게중심이동 연습 방법

1에서 몸을 아래로 던지는 연습방법(전경을 만드는 연습방법)

- 노즈방향 어깨와 골반 발을 지나는 라인이 C 모양이 되듯이 어깨와 팔을 편안하게 노즈 방향으로 떨어트린다.


2에서 무게중심을 데크의 중심을 지나 테일쪽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연습방법)

- 슬로프 상단 평지 부분에서 슬로프 까지 이동할 때 노즈방향으로 데크를 움찔움찔 밀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평지에서 데크를 노즈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보자.

몸은 관성에 의해 멈춰 있고 노즈만 전진하거나, 혹은 반작용에 의해 몸은 뒤로 움직이고 데크는 전진하면서

무게는 테일쪽에 실리면서, 노즈가 들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무게중심을 노즈에서 테일로 이동시키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라이딩 중에 연습할 때,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타이밍은 턴의 진입 직후부터 바로이다.

턴을 하는 동안 무게중심 이동이 일어나면, 턴 종료시점에서 데크가 떠오르는데

알리나 카빙의 리바운드와는 다른 느낌이다.(노즈가 급격하게 튀어오르는 는낌?)

이 때 당황하지 않고 턴의 시작시 동작을 이용하여 노즈를 강하게 눌러준다.


○ 시선처리

고민중...


○ 리듬을 잃었을 때 리커버리

턴의 시작에서 제대로 프레스를 가하지 못하였거나, 턴의 이행에서 의도치 않은 상황으로 인하여 턴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여

리듬을 잃은 경우 재빠르에 원래의 궤적으로 복귀하려고 노력하기보다

사활강 등을 이용하여 턴의 리듬 밖으로 빠져나와서 무게중심의 평형을 찾은 후 본인의 리듬을 다시 시작한다.


○ 기타 유의 사항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앉지 않는다.

- 기울기(inclination)로 턴을 만들어내고, 앉는 동작(Angulation)은 줄인다.

- 압력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엣지체인지 때 무릎을 굽혀야 하는데, 턴하는 동안 앉으면, 다음 턴을 이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 무릎을 굽히면 턴 중에 압력유지가 안되므로 보상하기 위해 허벅지로 눈을 밀어내는 동작을 하게된다. 

  이 때문에 허벅지가 힘들고 아프게 된다. 또한 무릎을 굽히면 보드와 설면과의 각이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 턴이 시작된 이후 즉각 무게중심이 중, 후로 이동되지 않으면 허벅지에 힘이들어가고 엣지가 털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 무게중심이 중, 후로 이동하려면 턴의 시작에서 강하게 노즈로 설면을 파고들어야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턴이 시작됨과 동시에 후반부가 모두 결정된다고 들 이야기하는 것이다.
  리드미컬하게 템포를 유지하려면 "한땀한땀 슬로프를 꿰메어 나가듯"이 노즈를 꽂아 넣어야 한다.


○ 관련 : 돌핀턴

중급 또는 완경사에서 위의 1~3을 과장되게 반복하는 경우 데크가 매 턴마다 튀어오른다.

여러 보더들이 이와같은 모습을 보고 돌핀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돌핀턴은 경사에 대한 부담이 없는 환경에서 1~3을 반복이행함으로써 무게중심이동을 연습하는 방법을 유용하다.

돌핀턴을 하는 동안 무게중심 이동요령을 급사에서 적용함으로써 고급진 슬라이딩턴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숏턴과 돌핀턴 모두 빠른템포로 턴이이루어지므로, 돌핀턴이 가능해야 상급경사에서 숏턴이 가능할 개연성이 높다.

엮인글 :

큐이이

2016.01.12 17:11:39
*.247.149.100

좋은글 추천합니다.

TrustMe

2016.01.12 21:23:52
*.234.120.158

추천 감사합니다~^^

날아라가스~!!

2016.01.12 17:14:15
*.194.45.181

추천
2
비추천
0

시선은 거의 어드밴스드라면 턴의 호가 짧게 되므로 폴라인 고정이시면 편하실것 같으시고..굳이 강하게 몸을 호의 중심으로 떨구신다 하셨는데, 이런 경우 오히려 강하게 떨군 중심을 다시 리커버리 해야할 타이밍 때문에 오히려 더 로스가 생기지 않을까요??


앉지 않는다는 느낌이 좀 이해가 안가는데요. 앵귤레이션을 줄인다 하셨는데 강한 엣징에는 오히려 앵귤을 통한 엣징의 확보또한 중요한 일이라고 보는데...말씀하신 허벅지로 눈을 밀어내는 동작은 오히려 턴이 제대로 잘 말려가지 않기때문에 흔히들 뒷발로 스키딩을 내는 경우가 있어서 그걸 말씀하신것 같은데 이건 다른 해결방법이 좋으실듯 합니다요.



TrustMe

2016.01.12 17:31:45
*.243.13.160

앗 조언 감사합니다. ^^


1. 시선은 폴라인에 고정! 알겠습니다.


2. 턴의 시작에서 무게중심을 강하게 떨구는 것이 사실 전경을 주는 것을 의미했는데요.
   이게 로스가 생길 것 같다하시면, 턴 시작점에서 무게중심을 그렇게 크게, 강하게 이동할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신거죠?

   아마도... 제가 좀 더 익숙해지면 말씀하신 대로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마치 처음에 상체로테이션을 이용하다가 나중에는 하체만을 이용해서도 턴을 만들어 내듯이 

   현재 수준에서는 과장된 무게중심 이동이 필요해서 제가 그렇게 느꼈던 것 같습니다.

   무게중심 이동을 강하게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연습해보겠습니다.


3. 앉지 않는 다는 것은...무릎의 각도가 90도가까이 혹은 거의 주저 앉는 정도로 

   무릎이 너무 굽어지는 것 때문에 적었던 것입니다.


4  뒷발 스키딩 내는 것으 다른 방법으로 노력중입니다. 

   뒷발로 밀어내는 것처럼 연습하면 뒷발로, 급하게, 눈을 차내게 되므로

   무릎이하로 스티어링만 주고 양발로 눈을 굳게 딛고 있으면 몸전체가 자연스럽게 눈을 밀어내는 느낌으로..





C.stoner

2016.01.12 17:18:58
*.117.50.45

어렵다.. 논문같다..

TrustMe

2016.01.12 17:34:12
*.243.13.160

친구들한테 설명할거라... 어렵지 않기를 바랬는데요 ㅠㅠ

시흥시콧간지

2016.01.12 17:32:52
*.62.202.112

완성되면 칼럼으로 가도 될듯한데요ㅋ

TrustMe

2016.01.12 17:35:26
*.243.13.160

칼럼에는 좋은 글들이 이미 많아서요 ;;

베이스라이딩

2016.01.12 17:43:00
*.195.244.168

어렵당 ㄷㄷㄷ

TrustMe

2016.01.12 18:19:21
*.243.13.160

쉽게 쉽게 설명하려고 한건데... 망글이네요..ㅠ

뽀로리1

2016.01.12 17:52:48
*.226.151.244

오늘도 이렇게 이론은 쌓여만 가고....

상급가면 난

꺄아아아아앙흐아아아아어어어어엌으아아아아

하겠지.....ㅜㅜ

TrustMe

2016.01.12 18:18:48
*.243.13.160

슬턴을 하기 시작하면 경사는 상관없어지실텐데요...

지민군

2016.01.12 17:58:19
*.216.216.2

이것은...칼럼인가요?! ㅎ

TrustMe

2016.01.12 18:17:48
*.243.13.160

아니에요... 친구들한테 이렇게 설명해보려구요 하고 적어 놓은거에요...그렇다구요..

눈사이로막까

2016.01.12 18:05:41
*.37.40.85

제 기준에 누구나 칼럼이니 탑씅~!

TrustMe

2016.01.12 18:17:12
*.243.13.160

아..안돼요...

누칼에 어설프게 글남기면 나중에 낮뜨거운 상황이 발생하더라구요...

눈사이로막까

2016.01.12 18:19:36
*.37.40.85

헉 그그렇군요 ㅋ

돌지암주민

2016.01.12 18:10:02
*.170.39.49

할사이드 진입시 앞으로 던져버리면 100% 털리지 않던가요? 토사이드에 비해 무게이동의 시작점을 훨씬 뒷발에 가깝게 두고 들어가야 되던데요 ㅎㅎ

TrustMe

2016.01.12 18:16:00
*.243.13.160

힐에서도 역시 턴의 시작에서는 상체를 노즈쪽으로 던졌다가 바로 회수하는 방법으로 연습중입니다.

체중이 노즈에 쏠린채로 테일방향으로 이동을 못시켜주면 100% 털리더라구요.

20thcenturyboy

2016.01.13 00:17:15
*.77.118.88

적어주신 글과 이 리플을 보고나서 드는 생각이....

'전진 업'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TrustMe

2016.01.13 07:19:55
*.62.169.30

전체적인 개념을 지칭하는 용어가 있나보군요.

20thcenturyboy

2016.01.13 15:38:48
*.77.118.88

추천
1
비추천
0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document_srl=26799601&mid=Colum


찾아보니 누가 이미 프리스타일 보드에서의 적용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네요. 

'전진 업' 이라는 건 원래 스키에서 나오던 말입니다. 알파인보드에서도 그대로 쓰고 있고요. 개념은 동일합니다. 

보더/스키어의 무게 중심을 앞으로 옮겨 노즈를 눌러주면서 턴으로 진입하는 거죠. 슬로프의 컨디션에 따라 프레스의 양은 조절이 필요한데, 익숙해지면 전/중/후 프레스 운용이 매우 부드러워지죠. 그에 따라 드리프트앤 카빙, 나아가 스윙앤글라이드 등이 가능해집니다. 즉, 프리스타일 보드에서 말하는 슬라이딩(저는 슬라이딩보다는 '드리프트'가 더 맞지 않나 합니다만, 다들 그렇게 쓰므로...)과 카빙을 한 턴 안에서도 섞을 수가 있습니다. 


전진업은 스키든 보드든 프레스 운용에서 굉장히 유용한 무브먼트입니다. 엣지 체인지는 물론 턴 후반의 가속에서도 몹시 중요한 역할을 하죠.


TrustMe

2016.01.13 15:59:36
*.243.13.160

정보 감사합니다.


야수파님의 칼럼에 따르면 저는 전진업과 센터다운(다운언웨이티드)를 연습중인 것 같은데..맞나요?

스노보드는 모든것이 불확실하네요 ㅋ

20thcenturyboy

2016.01.13 16:49:32
*.77.118.88

굳이 센터 다운...이라고 해야 할까 싶지만 그게 이해가 쉽다면 그게 낫겠죠. 

야수파님의 칼럼은 이미 그런 언급을 한 글이 있어서 링크를 걸어봤습니다만, 저와 생각이 좀 다른 부분도 종종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전집 업을 하는 과정에서 bbp(스키/알파인보드 에서는 '뉴트럴 포지션'이라고 부릅니다.)가 생략된다고 기술한 부분입니다.  보드에서의 턴은 각 사이드에서의 포지션과 이를 옮겨가는 과정 - 즉, 무브먼트로 이루어지는데, 무브먼트의 중간에는 반드시 한순간이라도 bbp(뉴트럴포지션)이 나와야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월드컵 챔피언들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TrustMe

2016.01.13 16:56:55
*.243.13.160

센터다운이라고 적은 것은 제가 칼럼을 잘못 이해하고 적은 것 같습니다 .^^;;;

blacksnow

2016.01.12 18:29:30
*.231.145.198

저많은걸 1-2초마다 한번씩 해야된다는게 함정.... 

TrustMe

2016.01.12 21:24:17
*.234.120.158

맞습니다 바쁘죠 ㅋㅋ

moalboal

2016.01.12 19:36:28
*.235.227.236

저도 고각에서는 폴라인 방향으로 몸(?)을 던지는 전경진입이 옳지않나 생각합니다. 나머지 것들은 깊이 생각해보지 않은 것들인데 앵귤을 줄이는 것은 나중에 실전에서 해봐야 겠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자게에 묻히긴 아까운 글이네요.

TrustMe

2016.01.12 21:28:11
*.234.120.158

의견감사합니다^^

아마도 몸을 던지는 전경진입이 지금은 과감하고 격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나중에는 그렇게 하지 않고도 턴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며 그때는 전경진입보다 각을 세우는데 더 어렵고 중요한 이슈일 것이다 정도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

20thcenturyboy

2016.01.13 15:40:28
*.77.118.88

경헝 상, 전경으로 진입하지 못하면 카빙은 바이바이~ 더라고요.  

올시즌카빙정벅

2016.01.12 20:01:26
*.152.249.48

제 닉네임 처럼 카빙만 파는 사람한테는 어려운 부분이 많네요 ...

TrustMe

2016.01.12 21:29:02
*.234.120.158

급사에서 카빙!

하고싶습니다!!!

알려주세요~~

올시즌카빙정벅

2016.01.12 22:07:41
*.62.229.123

카빙만 판다고 했지 카빙을 한다고 안 했습니다 냐햐햐 ㅠㅠ

TrustMe

2016.01.12 22:24:03
*.234.120.158

못한다고도 하지 않으셨네요 ㅋㅋ

급사에서 카빙도 하고 싶어요 정말...

올시즌카빙정벅

2016.01.13 00:03:17
*.152.169.156

님 제가 님한테 잘못한게 뭡니까???ㅋㅋ

 

전 진짜 카빙을 정복 하고 싶습니다 ..만

 

카빙을 정벅 할려면 다시 태어나야 할꺼 같아요 ..

 

 

CABCA

2016.01.13 10:13:44
*.217.121.145

앵귤레이션 없이 인클리네이션만으로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이 가능하다고 보진 않습니다. 결국 슬라이딩 턴의 구분은 보드를 슬라이드 시키는 구간이 어디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 뿐인데 인클만으로 어드밴스드를 구사하기엔 프레스가 안되서 급사에서 그냥 털려버릴텐데요...


여하한, 요점은...그냥 턴의 종류와 정의에 집착하지 마시고 타세요...


어느 정도 타시면, 턴 종류 구분없이 슬로프 상황에 맞춰서 때로는 업 언웨이티드로, 때로는 다운 언웨이티드로..


그냥 즐기세요...굳이 스트레스 받아가면서 연습한다해서 턴이 완성되는 것도 아니고..ㅎㅎ


주제넘게 댓글 달아봤습니다. 안전보딩 하세요~~

TrustMe

2016.01.13 14:20:01
*.243.13.160

의견 감사합니다. ^^


앵귤없이 턴을 한다는것은 말씀하신대로 말이 안되는거구요..

앵귤을 지양한다고 했던 것은... 

이번 정리의 목적이 친구들에게 설명하려는 것이라서요..

같이 타는 친구들이 현재 상태가...무릎의 각도가 90도가까이 혹은 거의 주저 앉는 정도로 무릎이 너무 굽어지는 것 때문에 적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슬로프 상황에 맞춰서 즐겁게 라이딩하기 위해서 어드-슬라이딩턴은 꼭 필요한 스킬인 것 같아서 

친구들과 함께 스킬업을 도모하고자 하는 과정입니다. ^^


다시한번 댓글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302
199287 망했어요... 생각없이 지르다가.... file [40] 초보™ 2015-02-04   1904
199286 바인딩 나사가 싼게 아니었군요... [25] pepepo 2014-12-29   1904
199285 학동던전은 살아남기가 힘드네요 ㅠㅠ file [13] 무쌍직전영신류 2014-11-30   1904
199284 운동 후 야식...!!! (배고프신 분 클릭 ㄴㄴ) file [29] 야미야미 2014-10-14   1904
199283 하이원 워터월드 -20도 후기 [6] 우주청년 2023-01-25 4 1903
199282 온다....... file [6] 큰곰너구리 2022-10-07 2 1903
199281 골프를 치기 시작하면서 스노보드에 대한 새로운 고찰 [39] GATSBY 2022-03-11 6 1903
199280 곤지암 난민 웰팍으로 왔습니다 file [11] winkle 2021-12-03   1903
199279 x3시즌권 스마일카드는 2명꺼 결제가 가능한가요? [11] 라리로링 2021-10-11   1903
199278 데크 수령 했어요~ file [22] 핏츠 2020-11-23 5 1903
199277 붓아웃에 고통받던게 한심하네요 file [42] [구피]Van 2020-09-29   1903
199276 휘팍 임시 파크 일부 이용자들 Dog판이네요 [11] 해일로 2019-12-16 8 1903
199275 그림으로 배우는 갈란드와 숏턴 file [2] 레몽레인 2019-02-05 3 1903
199274 진심 헝그리보더 큰맘 스텀패드 장만했습니다!!! file [13] 꺼린 2018-11-27 3 1903
199273 저도 인증 AK! file [25] Ellumi 2018-09-28 12 1903
199272 여러분 오늘 고척동에서 file [17] SensBang 2017-03-13 8 1903
199271 부츠의.. 건조를 위해 만들었는데 좋네요 乃 file [14] 공랑붕어 2017-01-31 2 1903
199270 내일부터 제가 안보이면.. file [35] SensBang 2017-01-20 5 1903
199269 이번주 에덴 개장 할지도 모른다는 소식에 왁싱했습니다. file [36] FC-X 2016-12-04 5 1903
199268 뜻밖의 나눔... file [79] SensBang 2016-08-25 58 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