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에서 많은 분들이 작은 킥커를 타시다가 큰 킥커를 타시고자 하실때
도움이 되시라고 적어봅니다

일단 작은 킥커에서 베이직이 되신다는 가정하에..

일단 먼저 첨에 하셔야할것이 갭이 어느정도 되는지 파악하는 일입니다..
그러면 일단 사람들이 안탈때 립 옆으로 가셔서 립이 시작되는곳에서 부터 랜딩존까지
걸음걸이로 걸어봅니다.. 한발 두발 세발 네발 다섯발 여섯발 일곱발 여덟발...
마음속으로 몇미터되겠다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립위에서 서서 랜딩존을 바라보고 눈으로도 확인하시면 더 좋습니다.
참고로 일본 프로들은 립위에서 눈을 뭉쳐서 랜딩존까지 던져서 날라가는 포물선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그 날라가는 포물선이 자신이 날라기는 포물선과 일치한답니다..

첨타실땐 어느정도 속도가 어느정도 거리로 날라가는지 감이 잘 안옵니다.
그래서 첨엔 혼자 들이대시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어디서 부터 타는지 잘 보셨다가
거기서 부터 어프로치를 시작 합니다..(물론 개인보드의 속도에 따라 약간 달라지기도 합니다..)

자세는 최대한 낮춘 자세에서 립이 다가오면 다리를 펴주시는데 이때는 작은 킥커 타실떄와 같습니다

큰 킥커는 작은 킥커와는 달리 립이 길기 때문에 오히려 타이밍 잡이는 더 수월합니다..

립이 끝날 무렵이면 아까 립위에서 봤던 광경이 눈에 보입니다.. 절대 갭을 봐선 안됩니다..
타기전에 립위에서 랜딩을 보고 안보고 차이가 큽니다..
립끝에 가기 전까지는 그 뒤가 절대 안보이니까요.. 사전에 립위에서 랜딩을 안보고 뛰면
많이 당황하여서 중심을 잃는 경우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착지후 랜딩존 시작부분에 너무 가까이 떨어졌거나 너무 멀리 날라가면
다음번 진입시에 어프로치 위치를 좀더 위나 좀더 아래로 바꿔서 뛰시면 됩니다

이떄 오전과 오후에는 날씨차이로인해 온도가 변하여 눈의 속도가 변하기 떄문에
온도차이도 감안을 하셔서 어프로치 위치를 잡아야 합니다..

혹시라도 어프로치 위치가 낮아서 속도가 안날땐 언제든 립을 벗어나기전에 정지해야 합니다




엮인글 :

스노보더

2007.01.18 13:04:40
*.113.5.45

"너무 가까이 떨어졌거나 너무 멀리 날라가면" 덩치큰 킥커에서는 이미 GG -_-;;;;;;;;;;;;;;;;;;;;;;;;;;;
농담이구요. 립위에서서 랜딩존을 본다는 것. 참고하겠습니다. 더 큰거 시도해볼 때 해봐야겠군요.

volcomsnow

2007.01.18 13:09:39
*.120.95.200

랜딩존이 많이 길었을경우를 예로 들어서 말씀드린것입니다~^^ 적당히 가운데 떨어지도록 하는게 좋겠지요~~

시라유키

2007.01.18 13:34:14
*.15.199.118

잘봤습니다~, 저도 아직 립위에 서서 본적이 없네요..생각해보니까
한번 봐야겠습니다^^

론리보더 ~ ♪

2007.01.18 13:58:10
*.127.218.162

눈을 뭉쳐서 던진다고 그게 보더가 날라가는 궤적이 될 순 없습니다.
같은 각도 같은 속도로 던져가 비슷한 궤적이 나오겠죠...

다만 날라가는 시간이랑 이미지를 잡는데는 도움이 될 듯 하네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JESUS

2007.01.18 13:59:19
*.216.254.196

무섭더라구요.....ㅜㅜ

Double M

2007.01.18 14:48:31
*.76.230.182

좋은글 감사합니다... 근데 립을 벗어나 몸이 공중에 떴을때 랜딩존을 바라봐도 되는지요?
아님 더 멀리 봐야하는건지.... 요즘 몸이 뜨면 자꾸 랜딩존이 시야에 들어오네요.
그렇다고 노즈부터 떨어지진 않지만요

volcomsnow

2007.01.18 14:55:01
*.120.95.200

사실 뜨자마자 랜딩을 보시는것보다 뜨고 나서 랜딩을 보시는게 좋습니다

3B클럽

2007.01.18 14:56:09
*.244.221.1

몸이 앞으로 기울면 너무 가까이보는거니까
그렇지 않다면 적당히 잘 보고 있는게 아닐까요

론리보더 ~ ♪

2007.01.18 15:38:27
*.127.218.162

제 경우엔 최고정점에서 부터 랜딩봅니다~

톡톡

2007.01.18 16:14:26
*.255.37.153

립위에서 랜딩존을 보는거와 갭에서 랜딩존을 보시는건 다 좋은데...뒤에 어프로치하는사람있는지부터 확인하시고 가시기바랍니다..
뒤에 사람이 있다면..신호로 보내고 나서 가보세요..
괜히 립이나 갭에 있다가 키커 뛰실려고 준비하시는분들한테 욕무지먹습니다..ㅡㅡ#
서있는사람이나. 키커를 뚜는사람 둘다 위험하니깐 그부분은 민감해지더라구요..

Jenny K.

2007.01.18 21:59:47
*.46.176.179

글 잘 읽었습니다 뭐 저도 비디오에서 배운 내용인데요
다른 사람이 시작하는 위치에서 출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옆에서 그 사람 뛸 때 양해를 구하고 같은 속도를 맞춰서 키커 옆으로 지나가는 방법이 있어요
비디오에서는 shadowing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러면 어느 정도로 진입하면 어떻게 날아가는지 알 수 있게 되더라구요
참고하세요^-^

보헤

2007.01.19 03:47:28
*.125.220.66

예 잘봤습니다 마지막분 리플도 도움이 많이 되네요^^

사악돌이

2007.01.19 04:23:07
*.187.11.22

시선은 멀리 멀리 멀리...하다가 떨어지는 때부터 랜딩존 봅니다. 조금 시선처리가 빠르면 슈퍼맨이 되기도...ㅎㅎ 하지만 주구장창 뛰다보면 암 생각이 없어지죠~ ㅠ0ㅠ 다리짧고 팔 긴데 왜 그랩이 안 잡힐까.....결론 = 허리가 길다!!

상디

2007.01.19 07:26:13
*.236.144.201

사악돌이님.. 허걱 나와같은 체형 ㅋㅋ OTL....

영파간판

2007.01.19 19:40:06
*.254.198.10

저두 언젠간 뛸수있겠죠 ㅠ

무장보더

2007.01.20 23:23:05
*.78.192.182

단순하면서도 정말 중요한 부분이네요~ 감사합니다~
시도할 엄두가 안났지만 저도한번 립위에 올라가서 한번 봐야겠어요~

1113

2007.01.21 22:20:50
*.230.34.55

립을보고 진입하고 립을 벗어나면서는 시선은 정면을 바라봅니다. 만약 랜딩을 보면 데크는 박힙니다. 데크가 정점까지 올라가고난후 떨어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랜딩존이 보이게 됩니다.

Coookie_

2007.01.22 20:27:56
*.121.105.145

온도가 올라가는 한낮에는 같은 위치에서 출발하더라도 속도차이가 꽤 나더라구요....

아무생각없이 뛰다가 너클에 걸릴뻔 했죠... 조심하세요 온도변화, 특히 따뜻한날... 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7
3277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8) 왕초보 ... RiderCrew~* 2001-10-29 96 4510
3276 장비 튜닝 소프트부츠 라이딩(카빙)을 위한 바인딩 튜... [25] leeho730 2009-02-11 96 10531
3275 CASI 어드밴스 슬라이딩턴 연습을 하기 위해 필요... [8] 하이뷰 2008-02-20 96 9419
3274 초보를 위한 강좌 리바운딩에 대한 이해 (엑박 클릭하면 뜸니다) [14] 3˚엣지 2008-02-21 95 8593
3273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스티커 제작. 작지만 중요한 부분. [13] Rushine 2008-10-20 95 11020
3272 기술(테크닉) 누군가를 강습해줘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20] 고타나 2009-01-15 94 9867
3271 장비 튜닝 열혈보더를 위한....고글 김서림 방지 테이... [12] CodeH 2008-02-11 94 7122
3270 일반 [v(o)z 홀맨] 연탄길 여섯번째 이야기.. [4] 김태경 2001-12-07 93 2287
3269 장비 관련 헝그리보더의 진수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 [63] 자게졸치사빤스 2008-06-28 93 11613
3268 절약법 누구나 자기만의 데님 보드복 가질수 있다..... [36] 블루7 2008-02-17 93 10695
3267 해외-장비구입 구매대행 이것은 꼭 알고하자. [22] 어화둥둥 2009-08-21 93 7990
3266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기... file [58] Lunatrix 2010-02-10 93 20135
326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7) 왕초보 ... RiderCrew~* 2001-10-29 92 5274
3264 기타 * 장터에 사진여러장 올리기* [4] 시티헌터 2007-12-04 92 2974
3263 장비 구입 보드복을 질러보자! [40] 2009-09-15 91 17671
3262 의학,부상,사고 무릎 슬개대퇴 증후군, 슬개골연화증과 보드... [24] 스크래치 2009-08-01 91 8027
» 기술(테크닉) 빅에어 뛰는법!! [18] volcomsnow 2007-01-18 91 6881
3260 기타 일하다가 심심해서 만들어본... [33] jussi乃 2008-07-03 91 8470
3259 기술(테크닉) [jayson]spin 트릭.. 180, 360, 540, 720, 9... [5] 오종선[jayson] 2002-01-15 90 10021
3258 초보를 위한 강좌 지빙의 이해 -그림편- [29] 초심-初心- 2007-12-16 90 8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