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도색하시면서 참고가 될만한 사진을 올려야 하는데... 이점 아쉽게 생각합니다...
글로 제가 아는바를 다 전달하려 하다보니 글이 길어지고 지루해지네요...이점 죄송...큭!

8.라인도색(유광)
1) 1,2칼럼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색은 밝은색부터 어두운 색으로 칠하시는 것이 정석입니다.
  다시한번 설명드리면, 검정베이스에 흰색라인을 원하시면, 베이스도색전에 흰색을 먼저칠하시고,
  건조후 흰색부분을 원하시는 라인으로 마스킹후 그위에 검정색 베이스도색을 올리셔야 합니다.
  검정색도색후엔 마스킹을 때어내시면, 흰색라인이 생기겠죠^^
  하지만 사진의 경우엔 원래 하이바에 라인만 넣는 경우이기 때문에 마스킹후 흰색을 칠해준
  겁니다(밑칠작업이라고 합니다). 이경우 흰색서페이서를 올리시면 라인도색완료후
  마스킹 제거시 마스킹테이프와 도색된 부분간의 큰 단차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이 경우엔 흰색 스프레이를 사용하였습니다.
   흰색스프레이를 사용하였으나, 색이 고르지 못한것을 사진상으로 확인하실수 있을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밝은색에서 어두운색으로 칠하셔야 하는겁니다.^^
  만약 실수로 어두운 베이스를 먼저올리셨다면 사진처럼 작업하시면 됩니다.
2) 흰색 밑칠이 끝나면, 밑칠이 건조된후 그위에 올리고자 하는 라인색을 올리시면 됩니다.
  라인작업시 주의할 사항은 두껍게 올리지 마시란 겁니다. 라인은 라인색이 올바르게
  나올정도에서 최대한 얇게 뿌려주시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물론 두껍게 칠하시고 단차작업을
  빡시게 하셔도 됩니다만...좀 편하게 해야 안되겠습니까? 일하는것도 아닌데...
  제대로 작업하신분이라면 밑칠작업없이 바로 라인색을 올리시면 됩니다만!!!
  빨간색 베이스위에 노란색을 칠하면 어캐될까요? 두껍게 뿌리지 않는 이상 주황색과 노란색이
  공존하는 이상한 색이 나올겁니다. 따라서 이경우엔 밑칠이 필요하게 됩니다.
  명도와 채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려니...손아프네요...그냥 황색,핑크,레드,블루,그린,
  형광계통의 색은 반드시 밑칠후 작업하시길 권장합니다. (블루계열은 명/채도가 낮아도 칠하기
  힘든색중 하나입니다.)

9.라인도색(무광)
1)무광의 경우 더 쉽겠죠^^ 무광의 경우 마스킹한 부분에 전체적으로 슬쩍,슬쩍 여러번 덧입히시는
  방법으로 칠하시는게 얇게 칠하실수 있습니다. 만약 스프레이 웍이 좀 느셨다면, 2~3번만
  칠하시는게 더 좋은 표면을 얻을수 있습니다. 무광의 경우 좀 덜칠해도 크게 티가 나지 않는다
  는 장점이 있죠...유광의 경우 빛의 반사로 색의 분명함이 보이지만,무광은 대충 칠해도 잘
  티가 나지 않죠. 우리눈은 빛에 반사된 사물을 보는것이란건 모두 아실겁니다. 이 차이입니다.
  무광이란 빛을 반사가 적다는 거죠...따라서 너무 많이 떡칠하는것보다 얇게 칠하실것을 추천
  합니다. 또한 건조시엔 용제(희석제)로 인해 약간 알록 달록해 보일지 모르나,
  완전건조후에 거의 티가 나지 않는것이 무광의 특징입니다.
  무광의 경우엔 단차수정이 유광보다 좀 어려운점이 있기때문에...피막을 두껍게 칠하시면
  차후 단차수정에 애를 먹을수 있습니다.

10.단차수정
1)유광 : 유광의 단차수정은 컴바운드와 겸해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 완전건조(1~2일)후
   마스킹테이프를 제거하고, 마스킹면과 도색면간의 단차부분에 2000방사포로 물사포질을
   실시합니다. 보통사포질의 경우 대상면과 90도로 하는것이 효과적이지만, 이경우 대상면을
   따라서 물사포질을 실시하세요...2000방사포로 단차를 모두 제거하겠다는 생각으로 빡세게
   미시면, 도색 다 까지겠죠? 적당히 하세요. 그후 컴바운드를 사용해서 남아있는 단차를 제거
   하세요...단차가 전부 없어지면 밑색이 드러납니다. 적당히 컴바운드하시길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일반 차량용 컴바운드는 제일 고운것이 1000방이상입니다. 절대
    차량용 컴바운드는 비추합니다. 물론 광택용 컴바운드 1000방/2000방짜리(3M)은 가능합니다.
    광택집 사장님이 아닌이상 없으시겠죠...ㅡㅡ;)
2)무광 : 전 무광의 경우에는 단차수정을 비추합니다. 이유는 무광의 경우 약간 거친표면을
    가짐으로 해서 빛을 난반사하여 무광으로 보이게 하는것입니다. 이경우 그위에 컴바운드나
    사포로 연마를 하시게 되면 표면이 일률적으로 연마되어, 연마한 부분만 반광으로 보이게
    될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흉할정도로 단차가 질경우 단차부위에만 2000방사포로 살짝 연마
    하시길 바랍니다. 약간의 단차만 진 정도라면 그냥 넘어가시길...마감작업후 단차수정을
    하셔도 무광은 무관합니다.

11.전체수정
:마감제가 올라가기에 앞서 컴바운딩후 세척및 미비한 부분(색까짐,색흐름등)을 다시한번
  확인하시고, 수정합니다. 색까짐의 경우 붓등으로 찍어바르지 마시고 그부위를 2000방 사포로
  고르게 연마한뒤 다시 도색하시길 추천합니다. 그래야 깨끗한 표면을 얻으실수 있습니다.

12.마감제.(클리어,코팅)
1)유광 : 유광의 경우엔 반드시 마감제를 올리시길 추천드립니다. 피막강도및 더욱 탁월한
   광택을 느끼실수 있습니다. 마감제는 군제사의 SUPER CLEAR(유광)을 추천합니다. 캔당
   7700원입니다. 비싸지만 그만큼의 가치를 합니다. 동일한 회사의 TOP COAT와
   SUPER CLEAR UV CUT의 경우 비추합니다. (참고로 TOP COAT는 제대로 모형용입니다. 비행기와
   전차쪽에 많이 쓰입니다. 만약 샾에서 UV CUT을 추천하신다면 사기꾼일지도 모릅니다.
   UV CUT즉 자외선 변색을 피하기위해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CLEAR란 말인데...변색은
   안될지 몰라도, 자외선을 받으면 후에 서리가 낀다는...ㅡㅡ; 군제사에서도 이런 문제로 인해
   현재 생산을 중단했다는 얘기를 들은 기억이...암튼 비추합니다. 절대로!!!)
    유광마감제는 유광도료와 같은 방법으로 스프레이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바로 먼지입니다. 도색작업시에는 먼지가 도료에 묻혀 티가 좀 덜나지만, 마감작업시에는
   작은 먼지도 눈에 확 띄기때문에 완성도를 떨어뜨립니다. 유광도색시도 말씀드렸지만,
   주변을 분무기로 뿌려주시길 바랍니다. 먼지가 좀 가라앉습니다. 너무 많이 뿌리면 주변
   습도가 상승하여 마감작업시 서리가 내릴 수 있으니, 적당히 뿌리세요.
    유광마감제의 건조시간은 보통 3~7일정도입니다. 오래둘수록 좋습니다.
   유광작업후 미흡한 단차수정및 표면처리(컴바운딩)후 다시 마감제를 올려 광을 더
   좋게 할수도 있습니다.만 선택은 헝글님들의 몫입니다.
   보통 마감제를 2번정도 올립니다. 저역시도 2번정도 올리나,
   첫 마감작업이 만족스러우시다면 굳이 2번올리실 필요는 없습니다.
2)무광 : 무광 클리어는 너무 많이 뿌리시게 되면 표면이 우둘두둘해 질수 있으니, 유광도색을
    하듯 전체적으로 한번정도 뿌려주시고, 건조시간은 하루면 충분합니다. 마감작업후
    도드라진 라인에 단차수정을 실시합니다. 2000방사포로 단차라인만 살살 밀어주시면 됩니다.
    그후 그부위에만 다시 클리어를 올리시면 작업완료입니다.
    무광의 경우 클리어를 안 올리셔도 무방하나, 강도문제가 발생할수 있기에 무광 클리어를
    추천합니다. 또한 무광의 경우에도 우둘두둘한 표면이 싫으시다면 반광클리어도 괜찮습니다.
    (일반적으로 무광헬멧이라고 판매하는것도 정확히는 반광입니다.)
    
13.마무리.
1)유광 : 완전건조후 차량용 왁스등으로 한번 광을 내어주시면, 더 좋습니다.
   차량용 왁스에는 자외선 차단제밑 유막코팅제가 들어있어, 자주 발라주시면 흰색의 경우
   약간의 변색을 막으실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외선 변색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은 없습니다.
   차량용 왁스로 그 속도를 좀 더디게 하는것 뿐이죠...
2)무광 : 무광의 경우에는 특별히 마무리랄것 없습니다. 반광을 올리셨으면 헝겊으로 한번
   쭉 닦아주세요...

여기까지가 도색의 과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다음에는 도색에 대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엮인글 :

햄톨이

2007.09.03 19:52:45
*.155.17.42

칼럼 감사합니다 ^^*

리얼뛰케

2007.09.03 22:50:01
*.232.109.157

잘봤습니다. 많은 도움됐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46
3396 기술(테크닉) 에지전환 & 힐턴에 대한 소고 [36] KOON™ 2005-12-21 217 15303
3395 기술(테크닉) 전향각으로 카빙하기.. [55] 유로카빙 2006-12-22 184 29956
3394 기술(테크닉) 푸쉬풀턴의 이해를 위한 역학적 접근 [27] Swiss보다 2007-01-17 182 5969
3393 기타 UCC 사이트 동영상 링크 방법 / 동영상자료... [6] ∪² 2008-02-21 174 9453
3392 해외원정 [코미][위슬러연재#2] - 잠자리와 먹거리 문제 [2] 김종원 2001-10-24 169 5930
3391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비로거. 2014-01-10 162 12625
3390 일반 이제는 더 이상 샵에 속고 살지 않아야겠습... [140] 유유자적 2008-10-12 160 18661
3389 장비 튜닝 바지...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32] 나불나불㉿ 2009-09-24 158 17221
3388 기술(테크닉) 파이프 입문을 위한 하프파이프를 배우는 단... [29] volcomsnow 2008-02-08 151 11599
3387 기술(테크닉) 지빙에 대한 고찰~~~ 지빙시 몸의 중심(보드... [27] volcomsnow 2007-07-10 149 7476
3386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56
338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3) 왕초보... RiderCrew~* 2001-10-29 141 8123
3384 절약법 아직도 비싼 홀덴 구입이 고민이세요? 그럼 ... [32] 결눈이쁜보더 2008-03-01 139 13219
3383 해외원정 [헝그리의 뉴질랜드 원정기] - 첫번째이야기 [7] 김규만 2001-10-29 137 5612
3382 장비 관련 데크사이즈(길이) 선택 및 한계중량에 관하여 [10] Great One 2009-04-07 137 8887
3381 일반 [re] 힘내세요 sky 2001-11-19 135 3480
3380 장비 관련 버튼 "스피드 존 부츠" 끈 바꾸는 방법! [8] 결눈이쁜보더 2008-02-21 135 8725
3379 기타 약간 편하게 스티커 파기위한 도구?;; 입니다; [10] 떵근ⓔ 2008-03-17 134 7499
3378 장비 관련 보드장비 처음 구매에 관해서 - 선택 [13] 곰팅이 2009-04-09 132 6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