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글 보니깐 파이프에 대한 논쟁이 정말 뜨거워 졌는데, 제가 10 씨즌 이상 탔던

파이프 라이딩에 대해서 쉽게 받아들이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실력은 그다지 출중하지 않지만 그래도 꽤 오랜 짬밥이 있기때문에, 저의 노하우를 최대한

알기 쉽게 글로 남겨보겠습니다.



1. 일단 파이프의 카빙에 대해서......

카빙이 중요한 점은 드롭인 시 혹은 버텀에서 다음 월로 진입시 버텀에서 트렌지션과 월

진입각을 속도를 죽이지 않고 '쳐들어가기' 위함입니다. 일단 초보일 수록 진입각을

파이프 벽에 90도 즉 가능한 똑바로 쳐들어 가면서 연습 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이프 런닝 횟수도 많아 지지만, 많은 속도가 붙지 않아 좀더 편하게 파이프를

연마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론싸이드 백싸이드 양쪽 펌핑을 이용한 에어턴이

더 부드러워 졌음을 느낄때 이제 다음 레벨로 넘어가야죠.

  

2. 파이프 월의 진입각도  

      좀더 자신과 장비 그리고 파이프 벽을 믿게 되면, 진입각을 좀더 낮춰 주어

좀더 과감한 속도를 냅니다. 물론 파이프에서 트렌지션과 버티컬을 타는 각도도

45도에 가까워 지겠죠? 파이프의 진입각은 프로들도 50도~75 도 정도로 제각기 프로들의

파이프 스타일과 행하는 기술에 따라 틀리지만, 베이직 에어시 가장 높은 파이프 버티컬의

각도는 55~70도 정도 입니다. 너무 직각에 가까우면, 비거리가 너무 짧아져, 높은 에어와

안정된 랜딩이 어렵고 반대로 진입각이 너무 예리 하면 멀리 날라갈 수 는 있으나,

높이가 안나오고, 엣징이 트렌지션에서 부드럽게 감기지 않아 자칫 엿엣지로 이어져

큰 부상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열심히 타봐야 자신에게 걸 맞는 진입각돌를

알 수 있습니다. 프로들의 라이딩을 보고 자신이 평소에 올라가던 진입각을

친구에게 부탁해 비디오나 폰카로 찍어서 동영상으로 비교 해 보면 그 해답을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3. 펌핑 및 업다운...

트렌지션의 마법속에서 업다운 펌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버텀에서 받은 속도

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어떤이는 버텀에서 업을 하라고 하고 어떤이는 업을 하라고 하지만.....

제가 발견한 해답은 다운 입니다. 테리예 학슨이나 숀화이트나...시합때 비디오 보면,

버텀에서 마치 침팬지가 서있는 것처럼, 자세가 엄청 다운이 되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다운을 하는 이유는 최대한 예리하고 최속력의 카빙을 하기 위해서 입니다.

무릅은 서스펜션입니다. 서스펜션에는 스프링이 있는데 그 스프링을 굽혀 둬야지 펑핑을 할때

'뻥' 하고 뛰는 것이지요.

    아무리 속도가 있다고 해도, 멋진 진입각과 다운된 자세로 파이프 벽에 진입 했다고 해도

펌핑이 없으면, 그대로 파이프 벽 밖으로 드럽 아웃 되거나, 기대했던 높이가 안나옵니다.

펌핑은 파이프 트렌지션안에서 위치 에너지를 높이 바꿔주는 것뿐만 아니라,

속도 에너지도 바꿔 줍니다.

가령 시속 50 키로로 처들어오는 펑핑 좋은 라이더와 시속 80 키로로 처들어오는

펌핑 없는 라이더들을 파이프 라이딩 시켜볼때, 둘다 진입각이 똑같다는 조건하에 베이직 에어를 시켜보면,

전자의 라이더가 더 월등한 에어를 선보일 겁니다. 이유는 재대로 펌핑(업)을 할 줄 안다면,

데크의 모든 베이스가 트렌지션에서 쫙 말라 감겼을때. 트렌지션은 데크의 탄성과 무릅의

서스펜션이 트렌지션 안에서 속도를 순간적으로 확 높여주는 부스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펌핑은 파이프에서 아주 중요 합니다.  

펌핑을 제대로 하기 위해선 일단 버텀에서 제대로 다운 할 줄을 알아야 하는데...

허리를 숙이라는 것이 아니라 골반과 무릅을 굽혀야 합니다.

파이프 안에서 혼자 타는데 인사할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어떤 일이 있어도 파이프 안에서는

허리를 굽혀서는 안됩니다. 자세를 굽혔다가 트렌지션을 치닫고 올라갈때 펌핑은 시작됩니다.

근데 파이프의 펌핑은 킥커에서의 펌핑과 확실히 틀립니다.

   파이프에서의 펌핑은 파이프의 트렌지션에서 월에 따라 주욱~~하고 길게 이어집니다.

킥커의 뻥하면서 단 1초안에 일어나는 펌핑이 아니라, 좀더 시간과 깊이를 가지고 주욱~

하고 일어나면서 천천히 뻥 차주는 겁니다.  여러분들은 어렸을적 서서 그네를 타보신 적 있죠?

높이 올라가려면 무릅을 굽혔다가 절묘한 순간에  발을 쭉쭉 차주면 더 높이 높이 올라 가잔아요?

바로 그 느낌 입니다. 트렌지션 진입하기 전까지 다운을 해줬다가, 트렌지션에 정신없이

진입 하고 나면, 주욱 하고 펑핑을 해주는 겁니다.

그 펌핑의 강도는 파이프의 버트 각도와 기술에 따라 달라집니다.

파이프의 버트가 너무 말려 있을때 (over rotated)

펌핑이 너무 성급하고 강하면 랜딩시 립 안으로 떨어져 쇄골이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

파이프 초보들이 너무 자주 트렌지션을 해먹으면 그런 파이프가 종종 되기도 하지요.

반대로 파이프의 립이 너무 오픈되어 있으면(under rotated) 펌핑하고 난후 립 밖으로

튕겨나간 자신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파이프 라이딩 전, 자신이 첫 드롭인을

할 맘에 드는 프론사이드 벽과 백사이드 월을 엄선 해 두는 것이 중요 합니다.

제가 아무리 이론적으로 주저리 주저리 써도, 일단 파이프는 열심히 빡씨게 타야 하는 겁니다.

       씨즌방에서 술안주로 파이프는 이리 타야돼 저리 타야돼 하면서 초대된 꽃보더들 앞에서

어깨 우쭐하게 아는 척 장황하게 다 할 줄 아는척 설명만 하지말고, 당장 장비를 챙겨서

열심히 타야 한다는 겁니다.

파이프는 스노보딩의 꽃이죠. 그 꽃을 따려면 깡 도 중요하지만 엄청난 수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일단 글이 길어졌는데 두서 없는 글 끝까지 읽어 주신것 감사 하구요. 다른 질문은

리플로 기꺼이 받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더~!!!!!   파이프의 벽과 속도를 겁내지 말고,

자기 자신과 장비와 파이프를 믿으세요. 더 높이 립오버 하는 자신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엮인글 :

식스보더

2008.01.08 18:02:35
*.131.200.39

좋은 글이네요....
파이프 들이대보지만 어렵고 ....힘드네요...늘지도 않고 ㅋㅋㅋ
누가 그러던데요...
많이 타본놈을 잘탄다 ...ㅋㅋ

A.T.L

2008.01.08 18:07:02
*.106.225.124

ㅜㅜ 좋은 정보인거 같은데..

이래저래 이해가 안가서 아쉽네여.

언제쯤 다 이해할런지. ㅋ

초심-初心-

2008.01.08 18:10:20
*.16.202.2

오~~ 그네라~~ 좋은 팁입니다.

쉬뱅

2008.01.08 18:38:59
*.130.254.212

양지도 파이프 만들어줘 T.T

백사이드

2008.01.08 18:52:08
*.109.220.141

글은 잘 읽고 있습니다 감솨~~
근데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제가 프론트와 백사이드와 높이가 많이 다르거든요(레귤러) 여타 다른 초보분들도 제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을
종종 보고 합니다
백사이드 경우 자꾸 시선 처리가 안돼 립 끝까지 올라가더라도 역엣지를 걸리곤 합니다
그러나보니 자꾸 진입각을 세우곤 하죠 그래서 벽타기 수준으로 그쳐용
그런데 프론트는 높이가 나와 립오버를 하더라도 백사이드시 쫄라서 속도를 줄이거나 각을 세웁니다
백사이드시 쉽게 시선 처리를 하는 방법 없을까여??
자꾸 한쪽 파이프만 타는 생각이 드네요 ㅠ.ㅠ

Gatsby

2008.01.08 19:36:22
*.15.179.142

백사이드 님~
저도 똑같은 상황이었습니다. 지지난 시즌 까지는 요. 그렇지만 백사이드에 탁월하다는 여러 연습을 통해서 많이 좋아졌구요. 요즘은 백사이드 프론 사이드
높이 비슷하게 나온답니다.
백사이드는 유념해야 할 것이

첫째, 진입각이 프론 사이드 보다 5~10 도 정도 더 똑바로 올라가야 합니다.

둘째, 진입 각도는 백사이드 트렌지션 타기 전이 아니라, 프론사이드에서 랜딩후 바로 자세를 낮추어 백사이드 진입각을 맞추어야 합니다.

'ㄹ' 자 카빙에 가깝게 백사이드 월에 진입 하면서 자신에 맞는 각을 연습합시다.

셋째. 백사이드 월은 프론트보다 더 다운인 상태에서 진입 해야 합니다. 그래야 트렌지션을 더 부드럽게 탈 수 있지요.

트렌지션이 지나 버트를 향하게 되면 프론 사이드 보다 좀더 과감하게 펌핑을 줍니다.

넷째. 버트를 떠나 에어를 하게 되면, 문제는 시선처리 및 랜딩 준비 입니다. 시선과 어깨를 랜딩하는 방향을 보면서 비틀어 주듯이

떨구어 줍니다. 다소 부자연스럽더라도 이렇게 연습을 합시다. 몸에 익으면 백사이드 에어가 프론 사이드 보다 더 여유롭습니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백사이드 에어의 가장 확실한 훈련법은 프론 사이드 드롭인이 아니라 백사이드 드롭인 입니다. 한번이라도

백사이드 에어를 더 하게 되면 그만큼 백사이드 에어에 대해 불안감이 떨쳐 질겁니다. 노력밖에 없습니다.

백사이드

2008.01.08 20:00:55
*.109.220.141

Gatsby님 답변 감솨~~ ^^
역시 파이프는 많이 수밖에 없네여 ~
올해 성우에서 열심히 타야 겠네요 ~

펀보더

2008.01.08 20:06:58
*.51.112.167

스노우보딩의 꽃, 하프파이프를 언제나 들어가 보려나. 읽으면서 부럽기만 합니다.
펌핑은 고사하고 베이직 턴만이라도 해봤으면 좋으련만...
트랜지션 오를 때 다가오는 벽에 대한 공포와 토턴시에 직각으로 바닥을 보면서 앞으로 떨어질 것 같은
두려움을 극복 못해서, 파이프를 포기하고 나왔습니다.
그걸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개츠비

2008.01.08 20:54:32
*.15.179.142

펀보더님/
파이프에 대한 두려움은 첫째 속도 입니다. 속도를 동반한 카빙 연습 많이 해주세요. 그리고 파이프에서 월에서 떨어져봤자. 미끄럼질 입니다. 파이프는
트렌지션이라는 멋진 미끄럼틀이 있으니까요.

이미경

2008.01.08 21:23:45
*.54.76.79

잘읽었어요~정보 감사합니다^-^저도 백사이드가 부드럽지 못한데 열심히 연습해야겠네요^^립오버하는 그 날 까지...!!!

volcomsnow

2008.01.09 05:32:25
*.120.95.146

나중에 숙달되면 백사이드 립오버 높이가 더 많이 나옵니다..

숙달되고 난 후에 위에 쓰인것처럼 장비와 파이프를 특히 파이프를 믿는것이 굉장히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제발쓰리만.

2008.01.09 17:16:45
*.13.196.159

처음배울때 자빠져도 안아픈가염?

상디

2008.01.09 22:51:29
*.236.144.201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파이프 초보라 잘 안들이대는데.. 읽다보니 또 들이대고 싶어지는 군요..ㅎ~~

sef

2008.01.10 09:49:13
*.243.224.112

글 참 맛있게(?) 쓰십니다^^. 이론을 나열하기보단 실전경험이 묻어나오는 글이군요. 초보분들이나 좀타는데 더이상 진전이 안되서 좌절감에 빠진분들한테 많은 도움이 될듯 합니다.

므너

2008.01.13 04:29:05
*.233.240.38

파이프 들어오실때

라이딩 즉 카빙과 알리 제발 확실하게 하고 오세요.

그냥 들어 와봤자 립부터 한계 생깁니다.

파이프 라이딩 잘한 사람이 잘 뜨게 되어 있습니다.

와서 다른 사람한테 피해 주시거나 파이프 트랜지션 다 긁어 먹지 마시고

라이딩부터 확실히 하시고 각 만드는거 연습하고 오셧으면 합니다.


첨부터 잘한 사람 어딧냐고 반박하실 수 있으시지만

물론 타는 분은 타시지만 다른 분들께 피해 주실 수 있으십니다.

카빙과 알리. 이것만은 꼭 확실히 하시면 파이프 들어 오셔서두 금방 느실 겁니다.

언제나 기본을 충실히~~~

ROXY

2008.01.18 10:40:59
*.61.97.96

넘 멋진글이네여 그네를 타는 느낌 ^^ 그 느낌을 알수있을때까지 열심히 타봐야겠어여..~~
파이프 정말 스노보드의 꽃 맞는거같네요~~~!

ROXY

2008.01.18 10:41:13
*.61.97.96

추천누르구갑니당^^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0
24 장비 관련 프리스타일 데크의 사이드 컷 (킥커 vs 파이프) [2] Gatsby 2013-02-15 2 1603
23 장비 관련 신터드 vs 익스트루디드 베이스와 핫왁싱의 ... [4] Gatsby 2013-02-14 8 6302
22 장비 관련 단차현상에 카운터 펀치를 날리다. [11] Gatsby 2013-02-14 3 2304
21 장비 관련 정캠버, 리버스캠버, 플랫캠버, W캠버,M캠버... [16] Gatsby 2013-02-12 13 5301
20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4
19 기술(테크닉) 정캠 vs 역캠, 그리고 장단점 [23] Gatsby 2012-10-04 7 10653
18 파이프의 道 file [50] Gatsby 2012-01-12 43 6730
17 의학,부상,사고 플라보노이드 성분 많이 섭취 합시다. file [8] Gatsby 2011-01-12   6489
16 장비 관련 보드 선택에 대한 의견 [18] Gatsby 2010-11-12   3621
15 일반 성우 파이프에 좋은 데크 vs 대명 파이프에 ... [11] Gatsby 2010-02-09 39 4251
14 의학,부상,사고 무리한 덕풋, 무릅을 망가뜨립니다. file [85] Gatsby 2010-01-22 32 11417
13 기타 간단하고 영양가 만점인 시즌방 요리 [15] Gatsby 2009-09-01 111 5894
12 의학,부상,사고 슬로프 충돌 사고 예방의 처음과 끝 [13] Gatsby 2008-12-08 60 4045
11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5
10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인 or 레귤러? 가장 정확한 판별법 [55] Gatsby 2008-11-21 51 9186
9 기술(테크닉) 스탠스의 폭에 관하여. [15] Gatsby 2008-01-30 69 12722
8 기술(테크닉) 덕풋에서 벗어나서 레벨업 합시다. [42] Gatsby 2008-01-29 48 8992
» 기술(테크닉) (중복) 파이프 라이딩의 이해~~~ [17] Gatsby 2008-01-08 72 4263
6 기타 보더들의 씨즌가 [32] Gatsby 2007-11-23 52 7664
5 장비 관련 데크 길이의 유행은 돌고돌고? [24] Gatsby 2007-11-22 54 9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