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빙의 대유행으로 덕풋 스탠스가 아직도 유행이지요.

많은 보더들이 스탠스를 +15, -12 혹은 발레 하듯이

+15, -15 정도 까지 하는데, 립슬라이딩 같은 지빙 기술에는

유용하지만, 카빙시 뒷 무릅이 안따라와서 힐사이드 카빙에

아주 쥐약입니다. 토 턴할때는 무릅 굽히기가 쉬워서

다소 편할 수도 있겠지만, 지나친 덕풋은 당신의 실력향상에

큰 악영향을 줍니다. 특히 파이프에서 아주 취약하죠.

참고로 테리예 학슨은 +24,+9 이고 숀화이트는 파이프

탈땐 +21,+6 입니다. 성우에서 파이프 함께 타는 동생, 형님들

덕풋으로 백사이드 트렌지션에서 버벅데는거 제 조언으로

하루만에 립오버를 합니다.

100 % 지빙이나 100% 스위치 라이딩에 심취 할분이 아니시라면,

레귤러 스탠스로 돌아오세요. 한번에 다시 돌아오기 힘드시면

일단 뒷발 각도를 -6 도 정도로 맞춰보면서 적응하시기 바랍니다.

엮인글 :

트리커♡

2008.01.29 14:15:36
*.108.178.253

급 땡기는데요.....

뽀더

2008.01.29 14:48:26
*.224.147.58

작년시즌 x game 보니깐 숀 12 -3 도 하고 타던데...;;;

청산가리

2008.01.29 15:11:24
*.226.109.170

18 +3 이지만 백사이드 트랜지션에서 버벅거리는 1人

진뉴

2008.01.29 16:08:28
*.197.135.195

but 지빙, 스위치 0% 하실분 레귤러로... ^^

태권도로 골반이 벌어져서 레귤러 절대못하는 1인... ^^

불꽃보더

2008.01.29 16:14:42
*.179.205.235

저번시즌까지 레귤러로 타다가 이번시즌에 덕풋으로 바꺼서 트릭연습중인데.. 급격히 카빙이 안된다고 느끼고 있었는데.. 혹시 덕풋의 영향이 있는건가 싶은데요.. 다시 레귤러로 돌아가야되는건가...

☜아노리우스☞

2008.01.29 17:04:03
*.183.209.69

지금 +15 -15 로. 깔짝 펌핑과 라이딩 하는데......음..
이전엔 +18 -9 였거든요.. 근데 둔해서 그런지.. 같은거 같아요.. 물론 카빙은 할줄 모르지만....ㅡ.ㅡ;;

불테리예

2008.01.29 18:04:35
*.126.187.107

바인딩 앵글 바꿔보는거 좋지요.

근데 중요한건 무릎에 편해야된다는거


이지시비

2008.01.29 18:22:22
*.176.130.26

예전 15,-12 에서 18,-6 바꾼후 라이딩이 한결 수월해 졌습니다..카징의 심도도 싶어지는거 같고 하지만 뭔가 약간 모자란 느낌 입니다. 더 전향으로 바꿔야 할까요?

레이619

2008.01.29 18:48:18
*.204.129.99

전 +21, +12...파이프는 타본적없습니다 ㅡ.ㅡ

이민우

2008.01.29 19:46:33
*.234.4.110

나 +17 -14인디 미친놈인듯;;

이민우

2008.01.29 19:46:46
*.234.4.110

바꿔야 겟네ㅇㅇㅇㅇ

ㅁ.ㅁ

2008.01.29 20:04:48
*.30.140.23

무지 공감합니다......

m3

2008.01.29 20:53:02
*.131.138.58

그런가요?
전원래 15 ,0 도 쓰다가
지금은 +21 -15인데 백사이드 잘되던데요..
음 다시 가면 더 뜰수 있을것인가..

날아라가스~!!

2008.01.29 22:48:04
*.200.108.174

레귤러 스탠스??? 뭔 말이에요 이건? 개츠비님의 의견에 반하는 의견은 아니고, 하프는 탈줄도 모르지만, 라이딩 100%인 저도 +21도에 -12도를 씁니다. 9시즌쨰 연구하고 느낀 각이 이건데요? 근데 진짜 레귤러 스탠스가 뭐에요? 그럼 구피로 타는 사람들은!?

3333

2008.01.29 23:35:22
*.0.50.117

홍타쿠님...??
누구한테 하는 말씀인지???
통 이해가 안되는데요...

2008.01.30 00:41:16
*.238.214.228

처음 배울때 +15 -0
1시즌 뒤.. +15 -6
2시즌 뒤.. +18 -9
3시즌 뒤.. +18 -9
4시즌 뒤.. +21 -12
5시즌 현재.. +18 -9

셋팅도 중요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에 맞게 벌린 각이라고 생각해요.
심한 팔자걸음 사람도 처음 보드 배울때 기본셋팅으로 잘만 탑니다.
각도 무릅에 무리가 안갈정도.. 그리고 자신에 어깨폭.. 컨트롤 가능한 폭..

펀보더

2008.01.30 01:27:02
*.51.112.34

스탠스앵글에 대한 주제가 논쟁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아마도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서, 각자의 개인적인 신체적인 구조에 따라서,
뭐라도 딱히 정답이 정해지지 않는 것이 스탠스앵글인 것 같습니다.

그렇더라도, 저는 라이딩을 위주로 할 것이면, 덕은 약간 불리한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고속의 카빙을 즐길거라면, 뒷발도 스티어링과 프레싱을 가하는데 충분히 활용이 되어야 하는데,
덕인 경우에는 앞발이 최대로 취할 수 있는 스티어링과 프레싱의 강도에 비해
뒷발은 현격히 기능의 차이를 가질수 밖에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니, 극한의 상황에 다다르면, 앞발에만 너무 크게 의존하게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고속카빙이 아니라면, 글세요.. 덕스탠스도 뭐 그리 큰 문제는 아닐거라는 생각입니다.
다만, 깊은 덕스탠스는 어느쪽으로 진행하든지간에,
뒷발의 용도를 무게만 떠받히는 지지대로서만 사용하고, 그외에는
거의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이 아닌지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단, 경험상으로는 뒷발차기할 때는 잘 차지는 것 같았습니다.
스티어링과 프레싱에는 뒷발이 별로 쓸모가 없어진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예전에 +21, -21까지도 해봤을 때의 느낌입니다.
지금은 +15, -6인데, 점차적으로 덕을 줄여나갈려고 노력중입니다.

아무튼, 라이딩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gatsby

2008.01.30 08:31:44
*.93.5.2

홍타구 난독증 있으신감? 성배형 칼럼 제대로 읽어 보셨수?

"보딩을 하다가 다친 사람들을 하루에도 수십명씩 봐야 하니까요.

이 곳의 의사가 무릅통증을 호소하는 저희 캠퍼들에게 대뜸 점쟁이도 아닌데,

스노우보드 타시나요?, 혹시 덕 스텐스하시나요? 라고 묻더라구요.

그리고는 스텐스를 좀 바꿔보라고 권유하더라구요.

그래서 스텐스를 고치고 운동요법을 병행해서 캠프를 무사히 마치고 무릅까지 좋아져

돌아간 캠퍼들이 몇 명 있습니다.

그러니 본인이 덕 스텐스를 할 때는 무릅에 무리가 안가는 선에서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


초딩도 아니고, 가나다라 한글 막 배웠다고, 유치원이 정치권 싸움에 끼어드는 격이니 원~~

나도 소시적 성배형에게 스탠스 조언 받고 지금까지도 바인딩 스탠스 너비와 각도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 하고 있수. 어이가 없으시면, 엄마 젖이라도 더 먹고, 부서진 바인딩이나 고쳐서

슬라롬 한번이라도 더 하슈~

fwds

2008.01.30 08:44:45
*.244.197.254

라이딩에 레귤러 스텐스가 강한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죠.

덕 스탠스 자체가 트릭을 위한 것이고, 트릭을 얻는 대신 좀더 완벽한 라이딩을 일부 포기하는겁니다.

저도 레귤러 스텐스에 강한 유혹을 느끼는데,

저 같은 경우는 어차피 지금 라이딩 잘 안되는게 슬럼프에 제 게으름 탓이라 걍 타고는 있습니다.

한편으론 레귤러로 탈바엔 그냥 알파인으로 갈까도 생각도 해봤구요. ^^

Gatsby님 강모프로님으로 알고 있는데, 좋은 칼럼 계속 부탁드립니다.

A.M.

2008.01.30 09:42:18
*.179.151.144

+20 / -15 난 돌아이셋팅인가 -_-;;;

부채도사

2008.01.30 10:11:10
*.40.172.130

덕으로 몇년타니.. 점점 무릅이 안좋아지네요.. 아무래도 다시 돌아가야 할 것 같아요..이제 좀 적응했는데..ㅜㅜ

자유인

2008.01.30 11:47:29
*.138.223.123

레귤러 스탠스라함은 앞발,뒷발 둘다 각이 +로 되어야 하는 건가요?

저는 레귤러이지만 페이키 연습을 위해서 +9, -15로 타고 있는데요. 오른쪽 무릎이 아파서 찾은 각도가 이겁니다.
저같은 경우는 요정도 각도로 했을때 레귤러, 구피 둘다 무난하게 가능하더라고요.

leeho730

2008.01.30 14:20:47
*.114.167.151

맘대로 타세여~
어차피 프리란 것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에 프리죠.

확실히 백사이드쪽의 안정성엔 덕 스탠스보단 포워드 스탠스가 안정적이고,
과도한 덕스탠스가 무릎에 안 좋긴 하지만,
프리란 이상 굳이 포워드/덕 스탠스중 하나에 목매달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전 프리스타일로는 15/-15, 프리라이딩은 18/0 알파인은 53/47.5 이렇게 세팅하는데,
상당히 만족합니다.

사반다맨

2008.01.30 14:41:59
*.109.218.33

Gatsby 님 스탠스 넓이에 관련된 칼럼도 듣고싶습니다~ㅎㅎ

보다못해

2008.01.30 15:38:20
*.152.7.213

레귤러-덕 스탠스와 레귤러-구피 타입을 헷겔리는 분들을 위해...

1. 레귤러-구피 타입 : 미끄러질때 왼팔 방향이 편하면 레귤러, 오른팔 방향이 편하면 구피

2. 레귤러-스탠스: 진행방향을 향하는 스탠스
레귤러 타입일때, 왼발 발가락이 왼쪽을 향하고, 오른발 발가락이 왼쪽 ~ 정면을 향하게,
구피 타입일때, 오른발 발가락이 오른쪽을 향하고, 왼발 발가락이 오른쪽 ~ 정면을 향하게 하는 스탠스
표기방식 : 레귤러타입 기준- 왼발 +15, 오른발 0~+6 도, 구피타입 기준- 오른발 +15, 왼발 0~+6

3. 덕-스탠스: 뒤집어진 八 자 모양의 스탠스 (도날드~덕 처럼 ...)
레귤러 타입일때, 왼발 발가락이 왼쪽을 향하고, 오른발 발가락이 오른쪽을 향하게,
구피 타입일때, 오른발 발가락이 오른쪽을 향하고, 왼발 발가락이 왼쪽을 향하게 하는 스탠스
표기방식 : 레귤러타입 기준- 왼발 +15, 오른발 -6 도, 구피타입기준- 오른발 +15, 왼발 -6

4. 페이키 : 레귤러타입이든, 구피타입이든 기본 진행 반대 방향으로의 라이딩.

5. 스위치 : 레귤러타입이든, 구피타입이든 기본 진행 반대 방향으로의 라이딩 하기위해 방향 전환을 하는 행위.

따라서 스위치가 잦고 페이키라이딩이 많아지는 프리스타일,지빙에선 덕 스탠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기본방향으로 깊은 카빙을 즐기는 프리라이딩엔 레귤러 스탠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이런 용어를 잘 모르는 분들에게,

"레귤러스탠스로 작살 라이딩!" , "덕스탠스로 쩍벌지빙간지!"

이렇게 딱 정해서 말하는것 보다...

"남들은 이러,저러하게 타는걸 선호하는데 당신은 그중 어떤게 맞습니까?
열심히 타보시고 당신의 스타일에 맞는 스탠스를 찾아가세요..."

라고 말해주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leeho730

2008.01.30 15:56:16
*.114.167.151

위의 분께:

저... 레귤러/구피 스탠스는 왼발이 앞에 있는지 오른발이 앞에 있는지를 놓고 구분하는 용어구요,

각도를 놓고 구분하는 용어는 크게 알파인,포워드,덕,플랫 스탠스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ㅇ,.ㅇ;

위키백과: target=_blank>http://en.wikipedia.org/wiki/Snowboard

스노우보딩포럼: 덕스탠스 vs. 포워드 스탠스 http://www.snowboardingforum.com/tips-tricks-instructors/2598-duck-vs-forward-stance.html

그렇군요

2008.01.30 16:05:09
*.152.7.213

올려놓고서, 댓글을 읽다보니 틀린걸 알게 되었는데,
비번을 잊어버린 3초 기억력이라... 수정 못하고 걍 놔둡니다. ^^;;
흔히들 사용하는 레귤러라는 용어가 서로 다른것을 가르키는것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써본겁니다.
레귤러 스탠스보단 포워드 스탠스가 더 정확한 표현이 되겠군요.
아울러, 스탠스의 폭(양발간격)이 미치는 영향도 서술해 주실 분 안계세요?

3333

2008.01.30 16:29:07
*.146.47.135

위에분 하나더요...
스위치는 구피가 레귤러 스탠스로, 레귤러가 구피 스탠스로 타는걸 말합니다.
페이키는 반대방향으로 라이딩하는 거구요.
페이키로 방향전환을 하는 행위를 스위치라고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의외로 꽤 많군요.

피아

2008.01.30 20:00:05
*.187.44.44

3333님... 님의 말씀은 스위치가 페이키랑 같은 용어라는 건가요?

춤에서도 스위치라는 용어가 있고... 여기저기 스위치라는 용어가 많은데-
영어단어라서 그냥 이래저래 많은 의미가 있을 것 같지만..
스위치라는 단어의 느낌은
전환하다.. 라는.. 행위적인 느낌입니다.. 동사요...

바꾸는 행위를 스위치로 쓰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leeho730

2008.01.30 21:26:03
*.114.167.151

... 페이키나 스윗치는 사실 그게 그거라는... ㅇ,.ㅇㅋ
... 라고 말해도, 사실 스노우보드에선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정해진 용어는 없습니다.

.....

2008.01.30 21:58:12
*.203.83.208

전향각만 아니면 스탠스 58~60만 맞춰주면 어떤각으로 타도 별 상관은 없는데....너무 얽메여서 보드를 타시네요..

3333

2008.01.31 08:35:22
*.0.50.117

피아님... 스위치와 페이키는 다릅니다.
스위치는 원래 레귤러스탠스인 사람이 구피스탠스로 세팅해서 타는걸 말합니다.
페이키는 원래 레귤러스탠스인 사람이 구피처럼 보이게 타는 경우죠.
하지만, 스노보드에서는 혼용되서 사용되고 있고요.
가령, 레귤러가 백사이드 원에리를 했다... 그럼 그사람은 구피처럼 반대스탠스로 내려가겠죠. 그게 페이키라이딩이 되죠.
페이키라이딩중에 다시 백사이드 원에리를 했다... 그럼 스위치 백사이드 원에리가 됩니다.

잘못알고 있는 사람들이 알려줘서 그걸 듣고 전파된거 같은데.... 적어도, 바꾸는 행위를 스위치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스위치는 스탠스의 개념입니다. 내 원래 스탠스의 반대스탠스를 스위치스탠스라고 하죠.

스위치..

2008.01.31 11:55:04
*.152.7.213

3333님이 올려주신 의견을 한참 들여다 보니,
스위치와 스위치스탠스 에 대한 혼동이 생겨서 자료를 찾아봤답니다.
딱 떨어지게 스위치에 대한 정의가 있는게 아니듯 한데... 조금 더 정의를 할 필요가 있을거 같군요.

일단 3333님의 의견을 정리하건데,
(포워드스탠스든 구피스탠스든) 정방향으로 타는사람이 반대방향으로 진행을 페이키.
레귤러로 타는 사람이 구피스탠스로 세팅 또는 구피가 레귤러로 세팅 후에 타는것이 스위치라고 하시는건데요,

그렇다면...이 말씀은 이해가 안가네요.
"페이키라이딩중에 다시 백사이드 원에리를 했다... 그럼 스위치 백사이드 원에리가 됩니다."

페이키 라이딩중에 백사이드 원에리를 날면서 허공에서 바인딩을 분리해 다른 스탠스로 세팅 하여 ~~~@#$%

....

다만, 스케이트보드라면 그게 가능할 수도 있겠단 생각도 드네요.
진행중에 노즈가 테일이 되고, 레귤러 스탠스가 구피스탠스로 전환이 가능하겠군요.
발만 땟다가 스탠스를 바꿔서 올려놓기만 하면 되니까요.

스위치를 꼭 스탠스에 국한해서 봐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바인딩으로 양발이 특정 스탠스에 고정된 스노보드에선
스위치란 용어 자체가 불가능할 수 도 있겠단 생각도 듭니다.

찾아본 다른 용어들 중에 웨이크보드에서 스위치스탠스로 시작하는 기술들도 있었는데,
대략의 내용은 페이키 상태에서 기술을 시전하여 레귤러나 다시 페이키 상태로 끝나는 기술들을 지칭하더군요.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스위치란 용어는...
진행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전환 행위에 대한 의미가 더 강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떠신가요?

3333

2008.01.31 12:15:30
*.146.47.135

위에분...
엄밀히 따지자면 발이 묶여있는 스노우보드나 웨이키보드에선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라이딩중에 스위치로 타려면 바인딩 세팅을 다시할수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위에 글처럼 혼용된다고 표현한것은...
페이키는 보통 라이딩이나 기술이 이루어진 후에 붙더군요.
가령 내가 레귤러인데 보드를 180도 돌려서 테일이 진행방향으로 향해 라이딩을 한다치면,
페이키라이딩이라고 하고요.
지빙의 경우 백사이드 보드슬라이드후에 구피로 착지를 한다면,
백사이드 보드슬라이드 페이키아웃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스위치는(위에서 말한것처럼 스노우보드에선 불가능하긴 하지만) 기술이 들어갈때 붙더군요.
가령, 페이키라이딩중에 로데오를 돌렸다치면, 스위치 로데오로 불립니다.(페이키 로데오가 원래 맞지만..)
그리고,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드를 돌리는건 스위치기술을 하기위한 동작일 뿐이지,
그 돌리는 동작자체의 이름이 스위치는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그렇군여

2008.01.31 13:24:11
*.152.7.213

이견이 조금 있긴하지만, 문맥상 의미가 제 머리속에서 그려지는것과 그리 크게 다르지 않네요.
확정된 무언가가 있는게 아니라면 "틀렸다" 라고 하기보다 "의견이 다르다" 가 더 낫지 않을까 싶구요,
위의 글이 제 처음글 밑에 있었다면 훨~씬 더 나이쓰 했을듯! ^^

그냥

2008.02.02 22:38:46
*.238.109.158

그냥 편하게 바꾸는 걸 스위치라고 합시다.

이런

2008.02.02 23:10:39
*.30.203.173

그냥님... 리플좀 보고 리플을 다시지.... -_-;;;

호홋

2008.02.05 21:20:51
*.192.166.244

15 15
12 12
15 12
현재 15 9로 바꾸었습니다.

게츠비님
저번에 곤돌라안에서 조언해주신거 고마워요. 진짜 그렇게 하고있어요.
15 6을 향해서 갑니다. ㅋㅋ

완전 덕은 무릎돌아가고 위험하다는 이야기 많이 들었습니다.
게츠비님이 우연히 초반에 성우에서 말씀해주셔서 실천에 옮겨봤고요.
머 이제 조금씩 적응해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스위치 라이딩(페이키)때문에 덕을 유지해서 덕이 참 편했거든요.
근데 사실... 스탠스도 넓고 각도도 완전 덕이어서 여자임에도 타는 폼이 영... 거시기했습니다.
각도 바꿨으니 좀 바뀌지 않았을까 생각되네요.

잘타기 위해서 각도를 바꾼게 아니었습니다.

보드의 목적은 잘타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산을 안전하게 내려오기 위한것이라 생각합니다.

보드를 타면서 더 많은 스릴을 느끼면서도 더 많은 모험을 즐기면서도,
안전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경험자의 말에 귀기울이는 것도 더 즐겁게 즐기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쉽네요. 게츠비님께 파이프를 배우기로 다짐받았는데(!!)
성우 안갑니다..!!! ㅜㅜ

성우말고 다른곳 어디든 뵐 수 있기를!!
대명 파이프 그립지않으세요? ㅋㅋ 전 요즘 대명도 떠돌아다녀요~

오징어

2008.02.10 03:35:33
*.113.189.24

덕스탠스카 파이프에서 안좋다고 느껴질 때:

1. 프론트 뒷 무릅을 앞바인딩으로 구겨 너어야 후경을 주며 열린 상태로 하늘을 볼 수 있는데

밖으로 빠지니 토 에지가 많이 써진다. 결국 높이 다 잡아 먹음.


2. 백사이드를 뛰고 나서 뒷 다리를 구겨 넣으며 랜딩을 해야 하는데

벌려 있으니 힐에지가 써지며 랜딩이 된다. 결국 프론트 높이 다 잡아 먹음

3. 알리 높이가 뒷다리가 벌려지면 벌려 질 수록 낮아 질 수 밖에 없음.






좋은 점:

스위치나 스핀시 좀 편하다. 그리고 팝이 +일때보다 조금 빠르게 쳐지니 쉽다.



꽃보다보드

2008.02.20 22:03:28
*.170.111.208

오징어... 초고수의 냄새가 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0
24 장비 관련 프리스타일 데크의 사이드 컷 (킥커 vs 파이프) [2] Gatsby 2013-02-15 2 1603
23 장비 관련 신터드 vs 익스트루디드 베이스와 핫왁싱의 ... [4] Gatsby 2013-02-14 8 6302
22 장비 관련 단차현상에 카운터 펀치를 날리다. [11] Gatsby 2013-02-14 3 2304
21 장비 관련 정캠버, 리버스캠버, 플랫캠버, W캠버,M캠버... [16] Gatsby 2013-02-12 13 5301
20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4
19 기술(테크닉) 정캠 vs 역캠, 그리고 장단점 [23] Gatsby 2012-10-04 7 10653
18 파이프의 道 file [50] Gatsby 2012-01-12 43 6730
17 의학,부상,사고 플라보노이드 성분 많이 섭취 합시다. file [8] Gatsby 2011-01-12   6489
16 장비 관련 보드 선택에 대한 의견 [18] Gatsby 2010-11-12   3621
15 일반 성우 파이프에 좋은 데크 vs 대명 파이프에 ... [11] Gatsby 2010-02-09 39 4251
14 의학,부상,사고 무리한 덕풋, 무릅을 망가뜨립니다. file [85] Gatsby 2010-01-22 32 11417
13 기타 간단하고 영양가 만점인 시즌방 요리 [15] Gatsby 2009-09-01 111 5894
12 의학,부상,사고 슬로프 충돌 사고 예방의 처음과 끝 [13] Gatsby 2008-12-08 60 4045
11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5
10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인 or 레귤러? 가장 정확한 판별법 [55] Gatsby 2008-11-21 51 9186
9 기술(테크닉) 스탠스의 폭에 관하여. [15] Gatsby 2008-01-30 69 12722
» 기술(테크닉) 덕풋에서 벗어나서 레벨업 합시다. [42] Gatsby 2008-01-29 48 8992
7 기술(테크닉) (중복) 파이프 라이딩의 이해~~~ [17] Gatsby 2008-01-08 72 4263
6 기타 보더들의 씨즌가 [32] Gatsby 2007-11-23 52 7664
5 장비 관련 데크 길이의 유행은 돌고돌고? [24] Gatsby 2007-11-22 54 9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