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묻고답하기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에 제가 올린 답변입니다.
그냥 넘어가기엔 공유했으면 하는 내용이라 이렇게 올려봅니다.
헝그리보더처음오픈했을때부터 지금까지 눈팅비로그인으로 유지해왔는데 첫번째 공식포스팅이군요.

게시물 전체를 긁어 왔습니다.

-----------------------------------------------------------------------------------------------------------------
:: 빠이프 고수님들께 질문~~  
A-black   2008-01-29 11:18:37, Hit : 137, Rec. : 0

성우에서 빠이프타는 보더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가끔 깍지만....
생초보분들이 타고 계시면 가끔 옆에 분들이 그럽니다.
"아...또 버티컬 깍고 있네.."
그런말 들은 초보들은 미안해서 더 들이되지 못하신다고 하네요...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초보빠이프사람들때문에 버티컬이 깍인다면.....빠이프타기가 힘든가요?
어떤점이 나쁜건가요????

감사합니다.  

IP : 211.219.166._  
-------------------------------------------------------------------
하뇽[강촌]달믄?
218.144.28._   무슨 문제가 생길까요...별문제 없을거 같은데 2008-01-29 11:19:32
-------------------------------------------------------------------  
흠.
211.123.2._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가끔 깍지만....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가끔 깍지만....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가끔 깍지만....
다름이 아니라 저도 가끔 깍지만....

전 깍기만 하는데.. 고수시군요 ㅜ_ㅜ; 2008-01-29 11:30:10
-------------------------------------------------------------------
론리보더
211.127.218._   트랜지션위쪽 립아래쪽의 공간이 깍이는 거죠
그럼 립오버하면서 데크가 립나갈때 말립니다;; ㄷㄷㄷ

그런데 잘타시는 분들이 스핀연습하면서 아마 더 깍아 먹을 겁니다.초보분들 보다 ㅋㅋㅋㅋ 2008-01-2911:35:22
-------------------------------------------------------------------  
매너
211.49.177._   파이프에 용기내서 들어오신 초보가 있다면 원포인트 해주시고 도와주시는게

더 보기 좋습니다. (^ ㅡ^)/ 2008-01-29 10:55:31
-------------------------------------------------------------------

kk
210.92.150._   누구나 초보시절을 겪습니다.
날때 부터 잘타는 사람은 아무도 없죠

차근 차근 체계적으로 연습하고 도전하는 사람들에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대부분의 초보 파이퍼들은 무턱대고 탈수 있을것같아 보이니까
일단은 들이대게 됩니다.

파이프의 벽은 엣지로 쉽게 깍여 나가기 때문에 립까지 베이스로 진입할 수 없는 초보자들은 십중 팔구
트랜지션이나 버티컬의 아랫부분을 엣지로 깍아내고 지나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파이프안쪽에 홈이 파이거나 트랜지션이 무너지거나
버티컬이 균일해 지지 않게 되죠

그 부근에서만 왔다갔다 하시는 분들에게는 사실 크게 느껴지지 않는 부분일 수도 있지만
립오버이상을 하시는 중상급자 라이더들에게는
아주 아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요소로 돌변합니다.

지면과 평행으로 점프하는 빅에어와는 다르게 86도에서 88도 사이로 거의 수직에 가까운 버티컬에서 점프하게 되는 하프파이프에서는
약간의 실수도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립에 걸리게 되는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를 이용하는 라이더들에게는 파이프의 그날 그날의 컨디션에 상당히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냥 조심히 무너진 부분 피해서 잘 타면 되지 않느냐라고 물으실수도 있지만
하프파이프는 어느정도 베이직이 익숙해지고 나면 "속도"가 전부라고 할정도로 빠른 속도로 어프로치 하게 됩니다.
그래서 파이프의 컨디션에따라 풀런을 하는 경우도 있고 원포인트로 하이드랍인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내 대부분리조트의 파이프 정비가 매일매일 이루어지지 않는것을 고려한다면
중상급자들에게는 갓 깍은 반질반질할 파이프가 최대한 오래 지속되었으면 하는 맘으로 타게 되겠죠
특히나 날씨가 따듯해서 금방금방 무너지는 파이프라면 더욱 민감해지구요
그렇게 금쪽같은 파이프를 난데없이 나타난 관광 초보가 무서운속도로 엣지를 세우고
버티컬을 깍아나가는 모습은 제살이 깍이는듯한 맘으로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 되는거죠..

초보자분들이 버티컬을 깍고 나가지 않고 어떻게 연습을 하느냐 라고 물으시는데
그건 체계적으로 첫시작 부터 파이프연습을 배우지 않으셔서 하시는 말씀입니다.

버티컬이나 트랜지션에 손상을 최소화 하고 파이프를 연습하는 가장 기본적인 첫번째 단계는
드릴 이라는 연습방법입니다.

힐사이드 드릴과 토사이드 드릴이 있는데요
쉽게 말하면 슬로프에서 라이딩을 처음배울떄 하는 펜듈럼(낙옆)을 하이프파이프 안에서 똑같이 하는것입니다.
드릴을 양방향으로 익숙하게 마치고 난 다음에 베이직 에어턴을 연습하시게 되면
파이프를 갉아먹는 일이 확실히 줄어들게되죠
그리고 립끝을 보며 올라가기를 연습하는 드릴단계를 거쳐야만 정확한 엣지컨트롤과 베이스를 버티컬에 붙이는
방법을 깨닫게 됩니다.

위에 첫번째 리플에 별 문제 없을것같은데 라고 하신분때문에
흠칫 놀라 장문의 리플을 달아봅니다.

한명의 초보가 별뜻없이 별일 있겠어 하며 갉아먹은 벽이
또다른 라이더의 무릎을 꺽어놓을수도 있습니다.

첨부터 차근 차근 도전 하세요.

2008-01-2911:58:42

-------------------------------------------------------------------
A-black
211.219.166._   ^___^
답변주심 모든분들 감사합니다..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08-01-29 18:30:18
--------------------------------------------------------------------------------------------------------------------------------------






엮인글 :

3333

2008.01.30 17:49:54
*.146.47.135

"아...또 버티컬 깍고 있네.."
-> 이런 분들 있으면 이렇게 물어보세요.
"그럼 댁은 파이프 처음 들어가서부터 버텀에서 칼카빙하고 버티컬에서 베이스로 립오버 하셨나봐요?"
라고요. ^^

kk

2008.01.30 18:00:09
*.92.150.204

3333 님 ..

초보가 버티컬을 깍는다고 뭐라하는 사람들이 왜 그렇게 얘기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한 칼럼이며
그렇게 싫은소리를 듣지 않고 체계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대안을 답변에 적어두었습니다.

좀 읽어나 보시고
안그러실거면 전세계 어느 파이프 가셔도 똑같은 소리를 듣게 되실겝니다.

3333

2008.01.30 18:25:34
*.146.47.135

kk님...
다 읽었습니다.
좋은 글입니다.
하지만, 개구리가 올챙이시절 모른다고... 잘탄다고 초보들한테 할 소리는 아니죠.
차라리 그렇게 타면 안된다고 조언을 해주거나 가르쳐 주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저두 파이프 6여년 타왔지만, 초보가 벽 긁어서 파이프 망가지는 경우는 거의 본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잘타는 사람들이 카빙으로 립오버 하거나 랜딩시 립에 걸려서 립이 무너지는 경우를 더 많이 봤죠.

3333

2008.01.30 18:29:23
*.146.47.135

그리고, 제가 너무 짧게 리플을 달아서 오해하셨나본대요.
제 글의 요지는...
'아~ 열라 못타는 것들이 파이프 들어와서는 다 다 망쳐놓네~' 라며 비아냥 거리고 텃새 부리는 양아치들에게
한 얘기였습니다. ^^;;

스펜서

2008.01.30 19:23:57
*.5.212.227

제 생각엔 우리나라 초보들은 x팔려서 그런건지 드릴(낙엽)부터 시작 안하고 에어턴 할 것처럼 들이대는게 문제 입니다.
kk님 이야기가 틀린게 아니죠. 저도 파이프 한번 타볼려고 이론 공부를 좀 했더니 그런 문제가 눈에 보이더군요.
제가 내년에 파이프 들어갈만한 충분한 라이딩실력이 되면 남들이 비웃던 말던 낙엽과 월턴만 한 시즌 계획중입니다.
뭐 일단 제가 늙어서 겁도 나고 실력 진전도 느릴것이므로 버텀에서 제대로 카빙하기 위해서 안전을 위해서 낙엽/월턴 신공을
쌓을려고 하는거죠. ㅎㅎ

에이전트™

2008.01.30 22:26:18
*.14.139.37

kk님 글에 많은 공감이 가는군요....

Gatsby

2008.01.30 22:31:02
*.15.179.142

96-97부터 파이프 타왔는데, 파이프 월 파괴의 주범은 초보겠지만 초보도 초보 나름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대명의 파이프는 파크 레인져들이

하루에도 몇번씩 파이프 초보들을 모아두고, 자세한 강습과 데몬을 선보여 줍니다. "천천히 내려오더라도 끝까지 주욱 타고 올라가면서 업을 하고

어깨와 시선을 돌려 에어턴 해라." 대부분 초보들에 적용되는 키포인트죠. 반면에 용호상박인 성우는 어떨까요? 파이프에만 파크레인져가 없습니다.

누군가 컨테이너 박스 안에는 있는데 파이프 클로징 할때만 내려옵니다. 때문에 대명은 기온이 성우보다 낮은데도 더욱 미끈한 트렌지션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제가 파크레인져도 아니고 강사도 아니지만, 혹시 주말에 성우에 오시는 분들, 파이프의 道를 쌓고 싶으신 분은 저에게 지체없이 질문 하시기 바랍니다.

비천한 실력이지만, 제 짬밥대로 모니터링 해드리고, 개선점을 가르쳐드리죠. 파이프란 곳은 레인져가 분위기를 주도하고, 상급이 초보들을 끌여올려주면

서, 초보들은 상급자 들에게 격려와 호응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남군

2008.01.31 09:50:44
*.224.143.190

Gatsby님에게 지체 없이 질문 하고 싶은데... -_-;
어느 분인지 찾을 수 있을지가 걱정입니다. (올해 파이프 입문한 초보입니다)
지인을 통해서라도 꼭 찾도록 하겠습니다 >_<

gatsby

2008.01.31 10:10:58
*.93.5.2

어떻게 생긴 사람이냐면요,,,,제 싸이월드에 사진 많습니다. 현재 라이드 데크에 데님바지, 테크나인 야구점퍼 입습니다.

jdlux

2008.01.31 11:26:39
*.78.29.77

가츠비님말씀을 들으니 함께 들이대고 싶은 맘이 절로 드네요.. 글쓰신 분의 맘도 이해는 가지만서도~~
기존의 초보님들(저도 초보.저도 한 3년정도 보딩하였지만 파크에서는 작아지는 맘은 어쩔수 없네요)
항상 라이딩 후에 파이프 한번 쳐다 봅니다, 아~~ 나도 언넝 저기 가야 하는데. 솔직히 한번도 드롭인 안해보신분들은 낙엽으로라도 파이프 들이대시는 분 보면 "야~ 용기 대단하다 부럽네"하고 그냥 내려갑니다.
이는 실력적인 면에서 부족한것두 있지만 기존의 고수 님들의 부담스런 눈치도 어느정도 많은 비중을 차지 하리라 봅니다, 초보님들은 기초를 잘 다지시고 고수 님들도 초보님들을 소실적 생각하시고 잘 도와 주시면 한 스키파크에 파이프 두군데 생길날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초보용 파이프 와 고수 파이프 ~

원쉰

2008.01.31 12:45:46
*.5.27.156

gatsby 님 안티가 많으셔서.. 안좋은 분인가 생각하기도 했었는데..
여기 리플 다신것 보고 다시 보게 됐습니다.
좋은 리플 감사드립니다..

남군

2008.01.31 13:49:54
*.224.143.190

gatsby// 아~ 저번 주말에 파이프에서 보니 계속 하이드랍 하시던 분이시군요.. ㅎㅎ 야구 점퍼라고 하니 알겠습니다.
근데 왜 거기서 하시는건지 ㅡ.ㅡ?? 궁금했습니다;; @_@
담에 가면 먼저 인사 드릴께요 ^^/

성우날치

2008.01.31 23:30:53
*.113.7.42

잘 읽었습니다.
kk님 글에 많은 공감 합니다.
저도 초보자 시절이 있어고 지금도 깍고 있어요.
힘내세요...^^

multi

2008.02.01 12:18:19
*.109.201.170

적어도 미국서는 아무도 아무말 않해요.. 모두 평등하죠..

깍인 하프파이프는 스키장쪽에서 알아서 할 일이고요.


multi

2008.02.01 12:21:15
*.109.201.170

저도 예전엔 스키어 였고.. 스키어 였을때 스노보더 보면 참 황당했습니다.
그 큰 판대기로 눈을 쓸어 버리는 걸 보면.. 가슴이 아팠죠..
지금도 수많은 스노보더들은 스키어보다 스키장을 더 황폐화 하고 있다고 봐도 거짓이 아닐겁니다.

그런데.. 뭐 어쩌라고요...ㅎㅎㅎㅎㅎ

하프파이프도 마찬가지 ㅋㅋㅋ

v에라이v

2008.02.01 15:25:00
*.174.202.116

그래도 성우에선 초보탄다고 늦게내려간다고 좀깍아묵는다고 딴지거는사람은
극히 드물자네요~
kk님글이고 gatsby 님이고 다들 지당한 말씀이지요~ㅋ

저도 보드2년차에 파이프 들이댓지만.. 드릴하는거 창피해서 월턴부터 햇는데 벽에 달라붙어있었는데용~ㅋ
요즘은 타는법을좀배워서 대충 월턴은 하는데.. 빽이 정말 어렵던데;;;;;
난언제 립오버해보나~ 다칠까바 못하겟어여 ㅋ

2008.02.01 15:48:03
*.47.218.21

이거뭐..같은 돈내고..

파이프 이용하는데..무슨 자기땅인것처럼 행동하는건지..

진자 이해가 안되네..그게 당신들 파이프요?? 스키장온 모든사람 파이프지..ㅉㅉㅉ

kk

2008.02.01 16:45:54
*.92.150.204

헐/님께서 조금 오해 하신모양입니다.

누가 자기땅인것처럼 행동한다는 말인가요

모두가 이용하는 파이프니만큼 서로에게 안전하고 좋은 방법으로 이용하자고 하는 논의들 입니다.

망가트려서 좋을것하나 없이 위험해지기만 하는 파이프를 보며 누구든 화낼수 있고 욕할 수있습니다.

그이유가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서로 갖게되는 오해를 좋은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는지를 적어둔 글입니다.

파이프에서 하이크업이나 제대로 해보시고 하시는 소린지 궁금하군요

그럼 다 같은돈내고 사용하면 사용할줄 모른다고 다 망가트려놔도 상관 없다는 말인가요.


아 내가 정말 이래서 글쓰기 싫다니까.... AAA+형.

초보자

2008.02.01 18:44:12
*.135.178.182

파이프 초보자가 문제가 아닌것 같습니다. 누가 첨 부터 립오버를 하고 날아다니나요..

다만 어떠한 기초개념이나 지식없이 막무가내로 뛰어들어가는 사람들이 문제지요..

어차피 그렇게 타봐야..재미도 못느낄것이고 잘못하면 한방에 가는건 당사자들이니..ㅋㅋ

사용할줄 모른다고 다망가트리려고 하는 사람들은 제발...사라져주세요

volcomsnow

2008.02.01 21:43:54
*.252.108.237

많은 분들이 파이프를 배우고 싶으신데 배울수 있는 경로가 한정되있기에 그냥 들이 대심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문제인거 같네요

참고로 게츠비님은 강신휘 프로라이더입니다..

똥싸계

2008.02.02 13:02:22
*.75.244.250

강신휘님은.....프로라이더가 아닙니다.

gatsby

2008.02.02 16:15:39
*.15.179.142

맞습니다. 저도 여타 보더들과 똑같은 직장인 주말 보더 입니다.

jdlux

2008.02.02 17:24:55
*.78.29.77

앗 가츠비님 강신휘 님이시군요.. ㅋㅋ 저는 싸이월드 간지 스노보드 동호회원인데, 강신휘님도 저희 동호회 이던데,ㅋㅋ 방갑습니다, 강신휘님 직접 뵌적은 없는데, 간지에 보면 속칭 왈탱사진 많습니다, 몸도 좋으시고

스크래치

2008.02.04 13:47:42
*.122.188.243

좋은 칼럼입니다.

드릴부터 연습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게 파이프를 연습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고, 둘 째 나중에 트릭을 보다 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고무신껌[춘천]

2008.02.06 18:50:19
*.38.190.171

올해 처음으로 대명 파이프 시간날때마다 들어가는데 레인저분들이 초보 모아놓고 데몬과 강습하는거 없는데요 -_-;

저빼놓고 서로서로 인사하는 쓸쓸한 상황에서 잘타는것 같은분들께 여쭤보며 타고 있습니다.

쌩초보인 제가봐도 대명 파이프는 관리 잘되는것 같지만 레인저분들이 초보들 모아놓고 알려주는건 없습니다. 거기서도 지 먹을건 지가 챙겨야 하는건 다른곳과 똑같음.

오징어

2008.02.10 03:40:45
*.113.189.24

냉혹한 말이지만

카빙만 좀 더 하시고 오시면

깍아 먹을 일도 그리 많지 않을텐데.....


쭈꾸미

2008.02.19 14:03:21
*.192.246.69

전에 강신휘님이랑 같이 왔던 외국인들 하이바도 안쓰고 파이프들어가서
다 뭉개놨더랬죠...슬로프에서 강습해야할 수준이던데..
좀 놀람..

마이클 쫄던

2008.03.04 09:18:57
*.51.135.88

스키장 쪽에서 빨리빨리 보강을 안해주니깐 이런 말이 나오겠조,,

sinX

2008.03.05 00:05:32
*.104.237.73

악!!! 엄청 썼던글 ㅡ.ㅡ 사라졌네요...

결론 짧게 말씀드리면 이건 고수가 보는 시각과 초보가 보는 시각의 문제가 아닙니다.

고수라면 초보에게 뒤에서 욕하지 말고 가장 기본적인 부분 가르쳐 주시면 문제 없습니다(kk님 칼럼처럼)

초보라면 초보답게... 공부를 하세요.. 무턱대고 들이밀어 다른 여러 파이프 유저분들에게 폐를 끼치지 마시구요..

그리고 위에 리플중에 헐님 리플이 좀 문제가 있는데.. 스키장 온 모든 사람들의 파이프라면 더욱 아끼셔야하는거 맞지요..

공공기물이라고 파손해도 되는겁니까?(자기것이 아니라서?)... 어떤 것이든 그걸 하기 위해 공부란게 필요한 겁니다.

무턱대고 사용하다가 망가지면 그거 자기꺼 아니라고 그냥 버립니까?..

저도 아직 파이프는 안들어갔지만 가장 기본적인 공부는 하고 들어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님 적어도 헝글이든 어디서든 좀 배울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가던지요..

대충 적다보니 글이 좀 그렇기는 합니다만.. 조금만 양보합시다..

그리고 레인져 분들께서는 관리라는게 초보가 슬롶 깍아내는것도 문제가 있는것이지요.. 이런 건 대명처럼 교육도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66
191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분에게 꼭 드리고 싶은 말씀.... [76] 김씨 2008-02-20 72 11236
1916 기술(테크닉) 널리 360 [54] 루키로컬 2008-02-19 78 14098
1915 초보를 위한 강좌 초.중급자를 위한 종류별 라이딩 영상과 약... [56] 핍^^ 2008-02-17 67 18085
1914 절약법 누구나 자기만의 데님 보드복 가질수 있다..... [36] 블루7 2008-02-17 93 10695
1913 초보를 위한 강좌 당신의 센터링은 안녕하십니까? [9] 3˚엣지 2008-02-17 97 9926
1912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셋팅 [22] BigZ 2008-02-14 105 14104
1911 기술(테크닉) 피벗팅/스티어링 그리고 슬라이딩턴... [39] Xenos! 2008-02-12 70 15397
1910 장비 튜닝 열혈보더를 위한....고글 김서림 방지 테이... [12] CodeH 2008-02-11 94 7125
1909 CASI CASI에서 소개하는 턴의 종류와 순서 [5] Xenos! 2008-02-11 105 8063
1908 기타 어느 게스트의 파란만장하고 재수없는 보딩 ... [61] JohnBird 2008-02-11 103 9594
1907 의학,부상,사고 시즌보험...제발 의무화 했으면 좋겠습니다.... [20] 노숙 2008-02-10 62 4836
1906 초보를 위한 강좌 심심해서 써본 제가 생각하는 라이딩스킬 습... [12] 날아라가스~!! 2008-02-08 81 7568
1905 기술(테크닉) 파이프 입문을 위한 하프파이프를 배우는 단... [29] volcomsnow 2008-02-08 151 11606
1904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을 배우는 순서 [43] 으악 2008-02-07 58 10823
1903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흰눈사이로 2008-02-06 52 6252
1902 기술(테크닉) 다이나믹 슬라이딩턴에 대한 독학적 고찰 [25] 허접보더 2008-02-05 48 7419
1901 기술(테크닉) 로테이션 [21] 2008-01-31 57 7579
1900 기술(테크닉) 스탠스의 폭에 관하여. [15] Gatsby 2008-01-30 69 12724
»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에 처음 입문 하시는분들께.. [29] kk 2008-01-30 31 6860
1898 기술(테크닉) 압력의 조절과 두가지의 상반된 턴 [4] 으악 2008-01-30 60 4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