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게시판 이용안내]
아시아경제 기사 프린트하기

[국제일반]

스위스, 월300만원 주는 ‘기본소득’ 도입…

‘삶의 질 개선 vs 노동의욕 감소’ 찬반논쟁

2016060212065323785_1.jpg
스위스 기본소득 도입 국민투표 포스터.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재원 인턴기자] 스위스가 기본소득 제도 도입을 놓고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재원 마련 방안과 더불어 삶의 질 개선이냐, 노동의욕 감소냐를 두고 찬반논쟁이 한창이다.

스위스는 성인에게 한화 300만원(2500 스위스프랑)을, 어린이와 청소년 등 미성년자에게 78만원(650 스위스프랑)의 기본소득 지급 방안을 놓고 오는 5일(현지시각)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이번 투표에서 이 안이 가결되면 스위스는 기본소득을 조건 없이 지급하는 세계 첫 국가가 된다. 또 기본소득보다 적은 수입의 근로자는 부족한 금액을 추가로 제공받으며, 수입이 없는 실업자는 기본소득을 모두 받게 된다.

국민투표 실시를 앞둔 가운데 스위스 사회 내부에서는 기본소득 도입을 놓고 이 제도가 한층 발전된 복지 정책으로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과 반대로 노동 의욕을 떨어뜨리는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맞서고 있다.

스위스의 지식인 모임 등 찬성하는 쪽에서는 모든 이에게 품격 있는 삶을 보장해야 한다는 원칙을 충족시키고 기술 발전에 따른 실업자들의 복지를 보장할 수 있다는 논리를 주장한다. 현재 스위스에는 최저임금 제도가 없다.

하지만 최근 스위스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이 제도 도입에 대항 우려의 입장에 목소리가 조금 더 실려 있다. 스위스 한 여론조사 업체에 따르면 국민의 64%가 우려를, 33%가 찬성을, 그리고 3%는 아직 미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의회에서도 재원 조달을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기본소득 제도가 도입되면 한화 250조원(2080 스위스프랑)이 필요할 전망인데 세금을 늘리는 것 외에 방안이 없다는 주장이다.

반면 자금 충당이 가능하다고 보는 쪽에서는 현재 복지에 들어가는 비용을 이전하는 등 기존 구조의 변화를 통해 재원 조달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스위스는 인구 800만명의 국가로 8만8120달러(2014년 세계은행 자료)의 1인당 국민소득(GNI)을 기록하고 있다.




김재원 인턴기자 iamjaewon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엮인글 :

20thcenturyboy

2016.06.02 13:55:23
*.216.148.130

기본소득 제도는 달리 보면 복지 재원을 재분배하겠다는 정책입니다.
개별 복지 제도 유지보다는 포괄적 복지 제도로 가겠다는 것이기도 한데, 본문에도 나와 있듯이 이 경우 다른 복지제도를 축소하여 그 재원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죠.

한편으로는.....
생산활동을 기계가 대체하면서, 기계가 대신한 노동 - 즉 기계의 경제활동으로 생산된 부를 소비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사람의 일자리를 기계가 빼았았으면, 기계의 생산물을 소비하는 인간의 소득을 무엇으로든 대체해야 하는 거지요. 인공지능의 발달로 지식노동 영역 마저도 기계가 대체할 것이라 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계의 생산 대체에 대해서 혹자는 21세기 판 러다이트 운동이 벌어질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도 합니다. 실제의 발생 가능성은 그렇다 치고 개연성이 있는 주장이긴 하죠.

lindt

2016.06.03 02:02:06
*.50.175.213

스위스가 수십년 안에 무너지는 모습을 보겠네요

제가 잘 이해한건지는 모르겠지만 300만원 이상 버는 사람은 돈을 안받고 300만원 미만으로 버는 사람은 300만원으로부터의

차액을 지급받으며 돈을 아예 안버는 사람은 300만원을 전부 지급받는다는거같은데.. 딱 300정도 버는사람은 일 하고 싶은

마음이 싹 사라지지 않을까요? 300은 모두가 공평하게 받고 나서 일하는사람은 더 버는거면 모르겠지만..

300 미만으로 버는 사람들은 그냥 일 안하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래서는 나라가 멈춰버릴텐데..

얼마전에 펀글에 올라왔던 일 하나도 안하고 편하게 먹고 사는 복지국가 백수가 생각나네요 일 왜하냐고 했던..

Hate

2016.06.03 09:36:28
*.244.221.1

직접 시행해봐야지 어떻게 될지 알것같은데요...
엄청난 삶의 변화를 가져올 정책이라고 보여집니다

스위스는 물가가 쎈편이니 300만원이 어느정도 체감되는 금액인지 모르겠지만서도...
바보들이 아닌이상 다른 사회적 장치가 없이 그냥 300만원 주겠다는건 아니겠죠~

그래도 혹시나
제가 어릴때부터 저런 정책이 있었다면, 좀더 여유롭게 저의 장래를 찾았겠지만
지금당장 저런 정책이 제게 이루어진다면
놀고 먹을것 같네요 ㅎㅎㅎㅎ

아 그리고 독일에 유명한 놀고먹는 백수는... 그때 기사가 나간이후로 국민들이 분노하고, 나라에서 지정하여
현재는 일하고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ㅋㅋㅋ

자이언트뉴비

2016.06.03 10:54:07
*.247.149.239

현재 일하고 있는 일의 강도를 좀 더 낮춰서 소득을 좀 줄이더라도 300만원 때문에

삶의 질이 상승한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부럽기도 하구요.

저게 통과 된다면 파트타임 근로 조금만 하면서 추가로 300만원이니까...

뭐 스위스가 미래에 망하던 안망하던 일단은 삶의 질이 상승하니 부럽네요... 결과는 지켜봐야겠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펀글게시판 이용안내] [13] RukA 2017-08-17 65556 9
44901 리얼 마구 (2) [6] CABCA 2010-12-28 2418  
44900 최고의 챔스 결승전 [12] 드림™ 2010-12-28 2312  
44899 달마과장. 레전드 [14] 드림™ 2010-12-28 3888  
44898 뉴데일리의 무리수.. file [8] 따랑이_뼈 ... 2010-12-29 2797  
44897 무리수 돋는 광고 [7] 드림™ 2010-12-29 1983  
44896 - 최인호의《인연》중에서 - kukihaus 2010-12-29 722  
44895 무너지는 교육 현상 - 이대로가 좋습니까? [19] 하늘그리기 2010-12-29 1656  
44894 오늘자 이말년 막장웹툰 [4] 닭맨 2010-12-29 2075  
44893 이공계 기피현상 - 이대로 좋을까요?? [15] 하늘그리기 2010-12-29 2157  
44892 야 길라임.jpg file [13] _리얼뛰케 2010-12-29 3756  
44891 스키초보 앞사람 치었다면 100% 배상책임... [3] 宿主 2010-12-29 1647  
44890 (bgm)기다리고있습니다... [4] 돌아오세요 2010-12-29 1235  
44889 무서운 화장실........ file [7] 동풍낙엽. 2010-12-29 2666  
44888 데쓰노트.......... file [10] 동풍낙엽. 2010-12-29 2491  
44887 中모터쇼 의도된 실수? … [9] 겨털 2010-12-29 4030  
44886 노부부 [18] 드림™ 2010-12-29 2723  
44885 2010년 유투브에서 가장 많이 공유된 영상이라고 합니다. [6] emagic 2010-12-29 2643  
44884 오래만에 재탕 한번 해보요...스픈머더~~~ [1] eli 2010-12-29 1411  
44883 스픈머더 그후 이야기.... [1] eli 2010-12-29 1487  
44882 車사고 자기부담금 최대 10배 인상 [8] 2010-12-29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