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저는 지난 2월에 퇴사하였고 현대 재취업을 위한 구직준비중입니다.

 

패션 영업쪽이고 경력은 현재 8년차입니다.

 

다행히 그동안 꾸준히 저축해 놓은 덕분에 돈은 많이 모았고 현재도 실업급여를 수급중이라서

경제적인 어려움은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미혼 / 빚없음)

 

그래서 한달 여행후 천천히 구직준비중인데..

 

 

처음에는 나름 경력관리를 잘했다고 생각해서 시시한 곳은 쳐다도 안보고

대기업 이나 글로벌 외국계 위주로 진행하고 있었는데 대기업은 인맥이나 내정자 위주로 움직이고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는

그런 기회가 별로 없네요.

 

 

약 3개월 넘어가고 여름이라 비수기 되니까 인력채용이 확실이 없다는게 느껴지고

그나마 진행하던 글로벌 외국계 1곳과 국내 대기업 1곳도 채용 대기상태가 되었네요.

 

 

이렇게 가다가는 분명 여름 넘기고 9월이후 까지 기다려야 하고 그 이후에도 자리가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겠죠.

지금도 계속적으로 구직활동중인데 느낀 것은 회사를 나오고 보니 정말 인원채용하는 곳이 많이 없더라구요.

 

채용을 하더라도 저의 경력과 연차 연봉 등등의 조건을 맞추면 그나마도 횟수가 많이 없구요.

그렇다고 연봉만 낮춰서 간다고 해도 그것도 쉬운게 아니더라구요.채용사의 희망 직급 직무 나이 연봉과 일치하지 않을경우에는

연봉을 낮추어 갈수만도 없는 상황이라서요.

 

그래서 현재 계속 기다리던중 외국계 글로벌 브랜드의 원하던 일자리가 나왔는데, 적당한 근무 시간과 적당한 연봉,

기존에는 매일 야근에 주말내내 근무했는데 연봉은 약 2백 정도 적지만 주5일 칼퇴근이더군요.

 

그러나 단점은 파견계약직이라는 점입니다. 지금 제 생각으로는 일단 파견계약직으로 들어가서 업무 감각도 익히고

외국계 회사를 경험하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자, 그러면서 좋은 기회가 생기면 천천히 준비해 보자 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그냥 놀면서 언제까지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이고 심심하기도 하구요..

 

다만 파견계약직 자체가 경력으로 인정 받기 힘들기 때문에 이력서에서는 과감히 뺄 각오는 되어있습니다.

경력이아닌 경험과 돈과 업무감각유지 요 3가지입니다. (현재 파견계약직 1년 이후 회사에서는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높다고

하지만 믿지 않습니다. 1년 계약도 원래 일하시던 분의 출산휴가로 대체 파견직 투입하는 것입니다.)

 

회사에서 계약파견직을 채용하는 것이 정규직 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언제든 교체 할수 있는 유동성 떄문이라고 한다면

저 역시 이 회사를 필요한 만큼 일하고 더 좋은 기회가 생기면 언제든 뜰수 있는 부담없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 기회가

주어지는 일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야 하겠죠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인데, 답은 알고 있지만 막상 상황이 닥치니까 용기가 안나고 자꾸

겁이나네요. 일단 제가 가장 신뢰하는 선배 2명과 헝글 선배님들의 이야기를 들은후 결정할 예정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탁탁탁탁

2016.06.15 17:03:07
*.30.108.1

현업에 파견 계약직이더라도 종사하면서 기회를 보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고 건승하세요~~~

자이언트뉴비

2016.06.16 08:14:13
*.247.149.239

외국계면 그나마 좀더 정규직 전환이 확률이 있지 않나요?


한국에서 현지화 하면 그게 그건가....


외국계 글로벌회사면 거기서 쌓을수 있는 인맥이 중요할거 같아요.


지금보다 재취업에 조금이나마 더 좋은 기회가 있지 않을까요?


지극히 제 생각입니다 ㅠㅠ 건승하세요!!

달다구리

2016.06.16 09:44:23
*.150.142.148

출산 휴가 파견직이면 그분이 출산휴가에서 돌아오느냐 마느냐가 관건인것 같은데요.?


경력 좋으시고 관리 잘 하셨으니 이력서 올려두시면 헤드헌터들 전화도 많이 올 것 같습니다~

돈 문제가 없으시다면 넉넉히 맘 잡고 기다려보세요! 

경기가 안 좋기는 한데, 또 기다리다보면 기회가 되더라구요.


저도 8년차인데 5개월 꽉 채워서 놀고 준비해서 외국계로 이직했는데, 우여곡절이 많았답니다 ㅠㅠ

맨탈리스트

2016.06.19 03:56:33
*.224.114.2

한국은 직장의 이직이 유연한 곳이 아니라서 다니면서 이직을 해야지

퇴직후 찾으면... 들어갈 수 있는 곳도 들어가기 어려워 집니다.


특히 장기간 실업상태는 구직할때 추가적인 핸디캡입니다.


그리고 한국에 있는 외국계 기업도 노무관리는 국내방식으로 하는 곳이 많습니다.

근로 계약이 local 법인과의 근로계약이고, 경영진이나 일부 임원은 본사 계약인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구직기간이 장기화 되어 감을 잃거나 이력서상 핸디캡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말랑말랑☆

2016.06.21 08:02:52
*.62.16.136

외국계 다니고 있는데요, 저희 회사에서 파견 계약직을 쓰는 경우는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누구나 아시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대체..
1년 3개월 꽉 채워서 휴가와 휴직 쓰시는 분들이 많아서
1년 6개월 정도 파견직으로 대체 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는 우리는 일이 많아서 힘들어 죽겠는데
글로벌쪽 본사에서 이해를 안해줍니다..
나라마다 상황이 다른데도 그걸 아무리 설명해도
자기네들 기준으로만 생각하죠.
인원이 부족하다고 해도 정직원 TO를 안내줘서 그때 파견직 으로 해결합니다.

전자의 경우 육아휴직 중 복귀하지 않은 분이 있어서
바로 정직원 되신분이 있었구요
(물론 원래 있던 분이 복귀했다면 계약 끝나고 다른 직장 찾으셨겠죠...)

후자의 분도 계약된 2년 내내 본사에 지속적으로 읍소 해서
그분도 정직원 됐답니다..

물론 회사마다 분위기가 다르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401
37140 아파트 청약 질문 드립니다. [2] 초보파이퍼 2016-06-18 1385
37139 금융관련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아닥 2016-06-18 1313
37138 스키 장비를 얼마에 팔면 좋을까요? [3] 리카짱 2016-06-18 1138
37137 스노보드 캐리어?(루프 말구요) [2] 더치베어 2016-06-18 1143
37136 성수기 뱅기 타러갈때 소요시간 [3] 아싸아조쿠나 2016-06-18 1076
37135 아래아한글 파일이 안 열리는데 어떻게 하면 내용을 볼 수 있을지요...? file [3] ...? 2016-06-17 1079
37134 영어회화공부방법 [16] 영어 2016-06-17 2000
37133 아파트공사현장 소음 어떻게 해야할까요?ㅠ file [19] 힘드렁ㅠㅠ 2016-06-17 2512
37132 워크래프트 스토리 아시는 분... [7] 쫑앤쭈 2016-06-16 1205
37131 애인문제.........진심어린 조언을 구합니다 [47] 진지남 2016-06-16 4546
37130 남자 헬스장갑 추천해주세요 [4] 이단뒷발차기 2016-06-16 7470
37129 영맨한분 추천드려요. [4] -DC- 2016-06-15 1387
37128 술집장사를 하려고 하는데~ [18] 정말하고 2016-06-15 3909
37127 한글 차트어렵네요.ㅠㅠ 도와주세요. [1] 컴맹 2016-06-15 2148
» 회사 그만둔 후 구직활동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5] 구직중 2016-06-15 2369
37125 글램핑장 추천바랍니다. [3] 가자가자 2016-06-15 3002
37124 이 보드 이름이 뭐에요...? file [6] 슝슝 2016-06-15 1717
37123 잘생긴 남자의 서빙은 매출 20% 이상의 상승요인이 된다는것에... [35] 스팬서 2016-06-15 5820
37122 중고차 사고싶은데.. [6] 궁금 2016-06-15 1352
37121 나이들수록 잠이 주는 이유는 회복대상 피로가 줄어서일지요...? [5] nexon 2016-06-14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