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wire님의 댓글을 보고 삘을 받았습니다... 이론얘기가 나온이상,

카빙을 물리학적인 이론으로 다루면 이런 경지까지 있다는 것은... 흥미로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문헌:http://www.bomberonline.com//articles/physics.cfm

그럼 물리학적으로 보는 카빙의 이론 갑니다!


----------------------------------------------------------------------------------


첫번째. g-force 입니다.

공식1) g-force = (속도)*(속도)/(카빙선의 반경) 로 결정됩니다.

즉, 속도가 높을수록, 카빙선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g-force 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둘째, 카빙선의 반경입니다.


공식2)

R=카빙선의 반경
C=보드의 회전반경
θ=인클러네이션시 만들어지는 엣지 각도

이것이 카빙선의 반경을 결정하는 공식입니다.
위의 공식을 변환하면 (과정은 생략),


공식3)

R=카빙선의 반경
C=보드의 회전반경
g=중력 가속도
V=카빙시 속도

이 공식이 나옵니다.


이 공식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보드의 회전반경이 늘어나면 카빙선의 반경이 늘어나고,
속력이 늘어나면 그만큼 카빙선의 회전반경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더 가봅시다.



앵귤레이션이 왜 중요한지는 아래의 공식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인클러네이션만 써서 엣지를 세울시의 공식은


공식 4)

V=카빙 속도
g=중력 가속도
R=카빙선의 회전반경
θ=인클러네이션시 엣지 각도



예를 들어봅시다. 12미터의 회전반경을 지닌 보드를 타는 보더가 초속 9미터의 속도로 카빙을 시작했습니다.

앵귤레이션이 없이 실제로 보드를 최대한 세울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가장 좁은 카빙선의 반경은 8.7미터, 인클러네이션의 각도는 43.5도이며,
더이상 각도를 주면 땅에 주저 앉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앵귤레이션을 주면 엣지각도를 더 줄수 있기 때문에 공식 1)을 응용한 다음과 같은 공식이 나옵니다:


공식 5)

R=카빙선의 반경
C=보드의 회전반경
θ=인클러네이션시 만들어지는 엣지 각도
δ=앵귤레이션시 더해지는 엣지 각도
θ + δ = 인클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이 합해져서 만들어지는 엣지 각도.



일단, 위의 스노우보더의 예를 들어 봅시다. 앵귤레이션을 써서 엣지 각도를 50도까지 끌어올린다고 가정할 때,
공식5)의 R을 공식4) 에 대입시켜,


공식6)


이 공식을 통하면 인클러네이션의 각도 θ는 46.9도로 나옵니다.
θ + δ = 인클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이 합해져서 만들어지는 엣지 각도이므로,
앵귤레이션만이 주는 각도 δ 는 3.1도입니다.


즉, 앵귤레이션을 주면, 인클러네이션을 한계 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빙선 반경도 같은 속도(초속 9미터)로 한다고 가정하면
R = 7.7미터란 값이 나옵니다.
간단히, 넘어지지 않고 좀 더 좁은 카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식1) g-force = (속도)*(속도)/(카빙선의 반경)

공식1에 의해, 몸에 가해지는 g-force 를 늘여 좀 더 롤러코스터나 번지점프에 좀 더 가까운 g-force (약 3G) 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운동 에너지가 g-force 로 변환되면서 속도가 줄어드는 양이 많아져 카빙을 연속적으로도 하고도 속력이 늘지 않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있는 것이지요. 실제로 9미터정도의 회전반경을 지닌 보드로 g-force 카빙을 하면 속력이 많이 줄어듭니다.



위의 최초의 사진은 알파인 레이서가 타는 모습입니다.

인클과 인클+앵귤의 차이점이 납니다.
빨간선은 인클 각도, 하얀선은 인클+앵귤의 각도로,
두 각도의 차이점이 앵귤레이션이 만들어 주는 각도 되겠습니다.

당연히, 몸의 기울기로만 이루어지는 인클로만 카빙시 이렇게 높은 엣지각은 불가능하겠죠.
앵귤레이션, 즉 라이더의 몸 안에서 무릎, 발목, 엉덩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각도를 주는 테크닉이 필요하죠.
위에서 두번째 사진을 보시면 몸 자체가 일직선이 아니고 각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무릎이 모아진 방향과 상체의 방향이 평행이 아니죠? 이걸 앵귤레이션이라 부릅니다.


----------------------------------------------------------------------------------


... 그런데, 이런 이론은 앵귤레이션이 왜 중요한지를 설명해 주긴 하지만,

이런다고 카빙이 더 잘되는 것은 아닌 거 같아요ㅠ.ㅜ; (아님, 저만인가요...)

실제로 익스카빙같이 동영상과 2페이지 정도의 팁만으로도 충분히 독학이 가능한 테크닉도 있는 것처럼요.

앵귤레이션을 준다고 의식한 테크닉이 아니라, 하체의 플렉션/익스텐션과 상체의 로테이션을 통해 자연히 인클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의 조합이 나오고,

이것은 단지 테크닉에서 나오는 결과일 뿐이라는 게 제 생각합니다.

압력이라면 전 단지 두가지의 테크닉만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두 다리에 무게를 같이 배분하는 것, 그리고 앞다리 -> 뒷다리로 무게를 점차 옮기는 고급적인 테크닉.

저야, 제 익스카빙에 필요한 "두 다리에 무게를 같이 배분하는" 테크닉만 익히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소드나 타 알파인 보드의 뛰어난 에지 그립력을 믿을 뿐...



제 생각에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하고 싶은 카빙스타일과 테크닉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프리보드로 하는 스피드 카빙과 딱딱한 하드부츠로 하는 g-force 카빙의 테크닉이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일반론적인 이론을 논하기 보다는,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테크닉을 찾아 중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게 실력향상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분은 다음중 어떤 카빙을 익히고 싶으십니까?

1) 프리보드/스피드카빙/하프/파크/트릭
2) 프리보드/g-force 카빙
3) 알파인보드/레이싱
3) 알파인보드/스피드카빙
4) 알파인보드/g-force 카빙
5) 알파인보드/익스트림카빙

(여기서 더 알고 계신 분이 있으면 고쳐 주세요^^;;;;)

각 테크닉마다 철학이 틀리므로, 일반적인 조언인 "로테이션은 하지마라!" 같은 이론은, 레이싱이나 스피드카빙, 일부 g-force 테크닉에는 옳지 않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운의 목적은 초급자들이 엣지를 세우는 방법이 그것 밖에 없기 때문" 란 이론은, 익스카빙에는 해당이 되지 않죠.

----------------------------------------------------------------------------------

제 결론은, 스노우보드는 몸으로 하는 스포츠다! 라는 것이고, 그 "이론"들 또한 좀 더 간단하면서도 실전적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겠죠.

제가 배운 익스카빙 또한 간단한 이론과 많은 실전을 통해 익혔고 (매주말마다, 휴가때마다 꼬박 갔다는...), 토턴을 연마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복잡한 이론이 아닌 "무릎을 더 굽혀서 엣지 체인지를 안전하게 하라" 라는 베타카버님의 멘트를 듣고 거기서 깨달음을 얻는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럼 이만 꾸벅~

그리고,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해 주세요^^;;;;
엮인글 :

가진것없는나

2009.01.05 18:02:54
*.233.38.66

수학공식 넘 어렵네요 ^^; 공식만 봐도 와~~~!!

결론은 몸으로 때우자로 보이는 1人

B/S45

2009.01.05 18:16:58
*.206.55.2

아하~ 이제 좀 이해가 가네요^----^











물론, 그림만 봤습니다.-_-;ㅋ
좋은 글이네요~!!

leeho730

2009.01.05 18:46:56
*.79.208.235

하하.. 저도 몸으로 때우는 방식이라...

사실, 위의 이론을 몰라도, 카빙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이론들은, 필수적인 테크닉과 팁에 관련된 핵심내용이 아닌 이상, 흥미로 알아두기만 하셔도 괜찮다는 것이 글의 핵심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제가 예전에 올린 "스피드 카빙과 g-force 카빙의 차이점" 글에서는 최대한 이론에 관한 언급은 자제했었다는... ^^ㅋ

나타

2009.01.05 19:17:08
*.87.60.93

넵..

제가 아직 학생이었다면 꼭 공부해보고 싶군요ㅎㅎㅎ

유프린스

2009.01.05 19:31:28
*.243.195.190

아하~ 이제 좀 이해가 가네요^----^











물론, 마지막한줄만 봤습니다.-_-;ㅋ
좋은 글이네요~!!

Agnito Paru

2009.01.05 19:50:02
*.252.157.48

즐길려고 타는 보드에 이런 수학적 공식 나오면..쩝..ㅋ
물론 도움이야 되겠지만..에고에고..

싼탉크로스

2009.01.05 20:08:20
*.44.128.135

물리학도인 저로선..... 시작은 이렇게 하지만 그저 노고에 박수를...ㅋ 전 귀찮아서 생각안해봤는데 쩝..ㅎ

미친스키

2009.01.05 20:55:15
*.176.12.188

중딩이후로 수학책 보기를 돌같이 한 저로서는.....갑자기 리호님이 미워진다능.....--ㅋ

Wired

2009.01.05 21:03:35
*.176.201.174

무척 흥미롭고 재미난 컬럼입니다.

저 역시 실전에 도움도 안되고, 복잡하고, 이론을 위한 이론은 오히려 독약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론은 가능하면 단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무게를 전중후로 이동한다라는 개념은 제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 언급조차도 하지 않습니다. 중경으로 타다보면 몸으로 느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타이밍, 코디네이션 등의 기초이론조차도 전 알지 못합니다. 그런 것들이 실전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습니다. 다만 앵귤레이션 하나만은 강조하지요. 진정한 가압의 시작이며 모든 상급기술이 그것으로 부터 시작된다고 보거든요. 저 역시 엣지는 척추로 누른다라는 베타카버님의 단순한 멘트로 앵귤레이션에 대한 개념을 잡았고 그것이 카빙의 시작이었으며, 알파인으로 전향까지 했습니다.

전 그 지긋지긋한 업다운논쟁-개인적으로 전 그걸 헝그리보더의 업다운매트릭스라고 부릅니다. 진정한 가압을 보지 못하게 만들고, 보딩의 기술발전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관념 시스템-을 불식 시키기 위해 그간 많은 댓글을 달아왔지만 결국 좀 지나 다시 여길 와보면 좌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가 말하고자 했던 것은 다운=가압이 아니라는 것이지 플렉션이 필요없다는 아니었습니다. 저 역시도 익스트림카빙을 추구하진 않지만 엣지전환은 플렉션을 사용해 벤딩으로 전환합니다. 오해가 있으셨거나 기분 상하셨다면 푸시길 바랍니다.

글 잘 보았고, 새로운 지식을 알려 주신 것에 감사 드립니다.

凸ㅡ_-

2009.01.05 21:16:15
*.138.144.20

컬럼 읽으면서 헛구역질 나오기는 첨이네요~

^^

2009.01.05 23:47:51
*.110.33.203

그림 두개면 충분하네요..ㅎㅎㅎ

차진연

2009.01.06 00:05:38
*.171.30.105

이런 이런게 이해가 가는 나는 뭐지?ㅎㅎ 망할 공돌이 인생이여..

헤즈멧

2009.01.06 01:10:20
*.50.139.156

군발 뽀더님, 대단하시네요...... 그렇다면 익스할때 앵글레이션이 필요할수도 있다는 얘기인가요? 약간 혼동되기도 합니다.

보내신 dvd 는 아직 안왔네요.....ㅠㅠ. 언제오려나......

가루

2009.01.06 09:55:23
*.140.0.242

와우,,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혹시나 필요할때 복사해가면 혼나련가요 -_-;;

일단 추천!! ㅎㅎ

leeho730

2009.01.06 14:08:09
*.79.208.235

다들 친절한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Wired님// 오해나 기분이 상했다뇨... 아닙니다.
전 단지 카빙을 이론으로 논한다면 이렇게도 갈 수가 있다는 것을 흥미위주로 풀어보려고 했던 거예요...
오해 마세요 ㅠ.ㅜ;;;

헤즈멧님// 그렇네요.. 30일날 부쳤는데.. 연휴가 끼어서 그런가 봐요...
전 익스는 잘 모르겠네요 ㅠ.ㅜ; 인클러네이션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테크닉이니까요...
아마 턴이 끌나거나 시작할 때쯤 앵귤이 가해지고 누울 때는 인클이 극대화되는게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Boogie

2009.01.07 00:02:51
*.197.207.130

먼저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이론적인 접근이야 말로 하려고 하는 모든이가 손쉽게 그리고 폭넓게 이해할수 있는 가장 최소한의 접근법이라고 생각하는 저로서는
더할 나위 없는 자료네요

사이드컷과 스피드와 엣지각의 관계를 명확히 밝힌 자료네요

마지막 부분 "무릎을 더 굽혀서 엣지 체인지를 안전하게 하라" 에서..
무릎을 굽히면 위 자료처럼 좋은 각을 만들어 내는 카빙이 가능하고 그 카빙은 안정적인 라이딩을 가져오기 때문에 엣지체인지가 한결 더 쉬워지죠
앵글레이션이 안전한 엣지 체인지를 위함인듯 오해 하시는 분이 있을꺼 같아 살짝 토시를 달아 봅니다.

글고 미천한 실력입니다만.. 토턴에서 "무릎을 더 굽혀서 엣지 체인지를 안전하게 하라" 였다면 힐턴에선 "설면에 주저앉아 다리를 최대한 펴서 엣지 체인지를 안전하게 하라" 라고 하나 보태고 싶습니다

Boogie

2009.01.07 00:05:51
*.197.207.130

혹시 프리보드 스피드 카빙에 관한 자료나 다이나믹 슬라이딩턴에 관한 자료 있으신분 혹시 계신가요?

제파

2009.01.07 00:54:49
*.97.253.105

이호님... 친구없죠?










농담입니다^^;;

leeho730

2009.01.08 02:19:53
*.79.208.235

Boogie님// 맞아요. 설면에 주저앉아 다리를 최대한 펴서 엣지 체인지를 안전하게 하는 것도 앵귤레이션이죠. 힙 관절을 이용하는 것이니까요.
그러므로, 힐사이드에서 카빙시 앉게 되는 것도 몸이 자동으로 앵귤레이션을 주기 때문이죠.

제파님// 저한테 그렇게 추파를 던지시면 곤란하다능~~ ^^;;

=SECRET=

2009.01.09 14:02:09
*.247.145.9

먼말입니까? --a

leeho730

2009.01.10 09:36:17
*.79.208.235

=SECRET=님//

제 글에 관해서라면... 그냥 몸을 기울기보다는 발목, 무릎, 엉덩이 관절을 이용하여 몸을 구부려 주어 앵귤레이션을 더해 준다면
엣지 각도가 늘어나고 보다 좁고 강력한 카빙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한테 그렇게 추파를 던지시면 곤란하다능~~ ^^;;" 에 관해서라면...
제파님께서 저한테 관심끌고 싶으니 저런 멘트를 날리신 게 아니겠슴까...? -_-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317 장비 튜닝 집에서 깔끔한 왁싱 받침 제작,,, (실패담) [7] 가루 2008-11-23 66 4909
316 장비 관련 제 리쉬코드입니다.. [9] 엉뎅아파 2007-02-04 66 5982
315 장비 튜닝 안전모로 초저렴 보드 헬멧 만들기...! [38] 홍치리 2008-11-24 67 8397
314 장비 관련 smith 고글 렌즈별 가시광선 투과율 [4] 환타_ 2005-09-13 67 4588
313 장비 관련 보드케리어 바람소리 제거방법 file [14] 스피드 2009-11-26 67 6080
312 기타 보드장...스키장...가는길에 인증샷?(2) [21] 김구라. 2010-01-26 67 5868
311 해외-장비구입 해외오더시 주의점 [14] 별책부록 2008-12-18 67 4735
310 기술(테크닉) 바인딩 묶는 순서랑 점프할때 주의할점좀요 ~~ [14] 영파토깽 2007-01-03 67 6515
309 장비 관련 비싼데크? 좋은데크? [27] 라메르-임채호 2016-01-29 67 8279
308 해외-장비구입 [이벤트] 해외 쇼핑몰 장비 구입후기 및 절차 [156] NBB 2003-09-24 67 6666
307 일반 [韓日Boarders] 내가 진정한 헝그리보더가 ... [10] 이원택 2001-11-19 67 3621
306 장비 관련 [RiderCrew] 보드의 상처치유법. [1] RiderCrew 2001-12-05 67 4584
305 초보를 위한 강좌 보다 안전한 보딩을 위한 조언 [21] 바카스™ 2008-12-12 67 5941
304 장비 관련 초보자 장비구입 방법 [10] 2008-11-08 67 6539
303 기술(테크닉) 보드용어정리 [18] 달팽 2007-01-29 67 7286
302 장비 관련 반다나+고글+안경 쓰시는분들.. 김서림 이야기. [15] 쌀군 2009-01-29 67 8832
301 초보를 위한 강좌 초.중급자를 위한 종류별 라이딩 영상과 약... [56] 핍^^ 2008-02-17 67 18082
» 기술(테크닉) 물리학적인 시점으로 다룬 카빙 [21] leeho730 2009-01-05 67 6682
299 장비 관련 장비구입요령(자게에서 옮겨왔습니다) [22] 2009-08-25 67 6155
298 기타 스노우보드 & 어학연수 - 휘슬러 [8] SHAWN.PARK 2009-09-01 68 5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