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K-20161003-221582.jpg



   
'요즘 젊은 것들의 사표'를 보면 관리자급들이 요즘 신입사원들을 못마땅해하는 장면들이 나오더라구요..

실제로 예전에는 밤새워 일하고 집에 못 가도 야근, 회식, 출장 다니고 회사와 업무에 집중하는 사람이 많았던 것 같은데

요즘도 그런 사람이 있겠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개인과 가정에 중점을 두는 쪽으로 바뀐 것 같습니다..

무엇이 그렇게 개인 의식을 바꾸었을까요?


예전에는 상급자의 지시에 복종하는 상명하복 군대식 문화가 강했지만

지금은 자유화,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강제력이 약해졌기 때문인 측면도 있을 텐데


그것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열심히 한다고 자기 월급이 오르는 것도 아님에도

자발적이고 정말 능동적으로 일하는 직원들도 많았던 것 같은데


예전 사람들이 지금 사람들보다 공적 의무에 대한 개인의 책임감이나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 강했던 것일까요?

예전 사람들이 개인과 심지어 가정까지 일정 부분 포기/희생하면서까지 열심히 일하게 만든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예전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지금도 없었을까요...?

다른 나라는 확실히 우리 나라와는 다를까요...?

아니면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은 것일까요...?


삼촌1호

2016.10.03 11:49:03
*.74.155.147

이전에는 흔히 일반적인 직장은 대부분 "평생직장" 개념이었기 때문에 그의식이 현재의 임원급들에게 남아있지 않나 싶습니다.  실제 2~30년 근속한 사람은 정년퇴직시 집한채를 따로 만들어 나온다든가, 퇴직시에는 회사차원에서 좋은 프로젝트를 준다던가, 사회전반적으로도 근속직원에 대한 포상도 두둑했고, 제가 신입사원때에도 회사란 모쪼로 무조건 참고 지내다 보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있을것 이란 의식이 있었고, 직원뿐만이 아니라 회사차원에서도 그러한 가치를 크게 생각했었기 때문에 직원도들도 그렇게 생각 했었던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회사에 무조건적인 맞춤이 미덕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그런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요즘도 간혹 계시는것 아닐까 싶어요

O2-1

2016.10.03 15:44:48
*.67.4.223

사회는 개인에게 예전보다 더 많은 걸 요구하고, 더 적은 걸 내 줍니다.

엊그제 영국에서 조사한 걸 보니, 10년전의 영국의 30대가 가진 재산에 비해 현재 영국의 30대가 가진 재산이 반밖에 되질 않는다더군요.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여기 밴쿠버도 빈부격차 심합니다. 여기서도 밥 굶고 학교 간는 애들이 그렇게 많은 줄 몰랐습니다. 나름 북유럽 가까운 복지 시스템을 가진 살만한 나라에서 말에요.


암튼, 삶은 더 팍팍해 져갑니다.

반면 정보접근성은 대폭성장해서 누구나, 모든 걸 알게 되었지요. 한국에서 뭐 빠지게 일하느니 외국가서 살면 어떠 어떠하다더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외 많은 걸 알게 된 요즘, 예전처럼 마냥 열심히 일할 수만은 없게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흐엉흐엉

2016.10.03 15:52:19
*.223.19.33

성장성과 희망의 차이인것같아요.. 옛날엔 내가 이만큼 일하면 '회사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그런희망이 없죠...
게다가 회사에 부장,임원으로 남아계시는 분들은 이미 그렇게 일하고 보상을 받은 사람들이니 더하겠죠.. ㅋ

돈까스와김치찌개

2016.10.03 21:13:23
*.62.229.140

삼촌1호님 말씀의.....공감이..갑니다.

음란구리

2016.10.03 21:19:55
*.192.69.163

요새 젊은사람들은 더 영리해지고 , 기업은 직원을 소모품 추ㅏ급합니다.
호봉제대신 , 능력우ㅏ주의 연봉제 , 계약직 ,임시직 , 미래가 암울한 파견직 ,하청업체 소속근로 등등.. 끈기있게 일하는 사람은 두ㅏ쳐지는 사람취급받는 문화입니다.

몇몇 일자리빼고는 회사와 같이 커가는 경우는 찾아볼 수 없고 , 저렴한 노동력을 찾는 회사와 조금이라도 유리한 조건을 찾아다니는 근로자가 일자리를 찾아다니는 세상입니다.

예전에는 박봉이라고 무시하던 공무원이 이제는 평생직장이라고 안기직업이 되었습니다.

예전처럼 어찌어찌 취직한 첫직장을 숙명처럼 받아들이고 한우물파는 사람은 보기힘들수밖에 없겠지요.

자이언트뉴비

2016.10.04 08:13:14
*.247.149.239

나름 간판있는 10대 기업에 제조업에 종사 하는데


5년간 기본급 15만원 정도 올랐네요.


통상임금이니 뭐니 회사에서는 우회할수있는 방법 총동원해서 법만 지키면 되는거고


돈받고 일하는 근로자들은 전혀 오른거 같지 않은 월급받으면서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이 개같은 사회....


 내가 이정도인데 이름없는 중소기업들은 더 형편없겠지요.


요즘 애들은 끈기가 없다고?


진짜 주둥이를 확....


사람이 말이야 먹고 살만하고 걱정이 없어야 회사에서도 생산성도 높아지고 하는거지 에휴...

헤크만

2016.10.04 08:28:31
*.246.72.107

그때와 시간이 흐르고 세상도 변화하는데
그 옛날 조뺑이쳤던 그분들만 생각이 안바뀌네요.
파릇파릇한 부하직원들은 완전 다른생각인데...

ㅁ.ㅁ

2016.10.04 14:17:02
*.111.195.128

추천
1
비추천
0

일단 영상짤 꼰데님이 과장쯤 달고 있을때 제가 사회생활 시작한거 같은데요.... 흠.. 그때 분위기 썰좀 풀어 드립니다. 



80년대 학번입니다. 대학들어가기 많이 힘들었습니다. 대학 들어가기 힘든게 아마 80년대 학번 그리고 90년대 초반 학번(베이비 부머 세대 피크침)이 가장 심했던거 같습니다. 일단 대학을 들어 가면 취업과 관련되어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대학은 취업 예비군을 길러내는곳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또 기업에서 그런걸 요구하지도 않았습니다. 보통 취업을 위해 준비하는 공부는 영어순회(아주 기본적인 영문법), 보케브러리 22,000(대충) 그리고 상식책 하나 구입해 공부하거나 고등학교때 국사책으로 준비하는게 보통이었습니다. 취업 준비는 보통 3학년 2학기때부터 합니다. 그렇다도 매일 도서관에 살거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공부를 좀 하거나 그랬던분은 사시나 고시를 보았고 또 그러다 낭인이되는 분도 계시고 현실적으로 7급을 보시는분들도 좀 있었습니다. 제 기억으로 7급은 대부분은 합격했던거 같습니다. 9급이나 교사쪽은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전혀 없다고 보시면 맞았을겁니다. 그리고 이때 부터 은행에서 대학생 공채가 시작된거 같습니다. 


이정도 공부로 큰 문제가 없으면 취업은 대충 되던 시절입니다. 학사경고 2회에 선동렬급 방어율을 기록하던 저 역시 무리없이 취업을 했으니깐요. 그리고 대학에는 전과자가 무척이나 많이 있었습니다. 경찰서에서 몇일씩 구류살고 오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있었습니다. 특히 80년대 초반 학번과 중반 학번은 실질적인 전과자가 많았습니다. 부끄러워 하거나 하지는 않았고 징역살고 나오면 학교에서 잘 대해주었습니다. 그러다가 제적을 당하신분들고 있는데 80년대 후반에 다시 복적이 허용되어 제 큰 누님도 복학해서 졸업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공장이나 농촌으로 들어가신분들도 많았고요. 영영 학교로 다시 돌아오지 않은분들도 있었습니다. 다들 이런분들에게 부채의식같은 뭐 그런게 좀있었습니다. 나 대신 저렇게 되었다 뭐그런...... 물론 그 와중에도 일신의 영달만을 쫓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들이 기업에 들어가게 되면 기업과 개인은 동일시되던 분위기였습니다. 선진국의 제품을 모방해 싸게 제조하면 잘 팔리던 시절이라 회사에서 죽어라 열심히 일하길 원했고 또 그렇게 하면 회사에서 개인의 미래를 보장해주던 시절입니다. 상여금은 당연시 되던 시절이고 대부분 추석과 설에 급여의 500% 이상을 받던 시절입니다. 누구네가 1200% 받았네 어쨌네 하면서 부러움을 샀던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산업구조에서 개인의 능력은 사실 기업에게 부담거리가 됩니다. 그냥 시키는거 열심히 하고 모나지 않았으면 되었던겁니다. 그런데 그러다가 문제의 IMF라는게 오게 됩니다. 


잘 기억나지 않는 분들도 계시지만 IMF는 산업 전반의 구조조정뿐만 아니라 사회 그리고 가정의 구조조정까지 요구했습니다. 그 결과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자살하고 거리로 내몰리고 가정이 파괘되고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됩니다. 뭐 실로 말로 표현이 않되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각 개인들은 깨닭게 됩니다. 기업이 개인의 미래를 담보해주지 못한다는것을요. 4-50이 되면 이미 나가서 알아서 살아가야될일을 걱정하게 되고 정년까지 근무한다는건 그냥 희망사항이 되어 버리는 것이 되었습니다. 이게 포인트인거 같습니다. 제 또래들이 아마 회사에서 여러분이 말하는 그 꼰데들의 한축이 되어 있는데요. 사실 그들도 살아 남으려고 같은 월급쟁이인데도 완장질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애들 끈기"라는 표현은 싸게 사람을 부릴려는 또 다른 표현이라는것을 모를이는 없을겁니다. 



lindt

2016.10.05 23:24:07
*.50.175.213

삼촌1호님하고 ㅁ.ㅁ 님 말씀이 맞는 것 같네요


예전에는 평생직장이었다보니 회사에서 지지고볶고 힘들어도 끈기 있게 버티면 계속 갈 수는 있었지만


이젠 회사에서 열심히 살아도 능력 없으면 아랫사람들한테 치이고 나이 먹고 나가야 하는 상황도 비일비재하다보니


그걸 지켜보며 자란 세대가 회사 하나에 목숨 안걸죠..


많이 배우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457
39126 이거 보시면 무슨 이름이 생각 나세요? file [39] 하이원광식이형 2016-12-05 1707
39125 20초반 애들 잘 다루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8] 나도한땐스... 2015-04-08 1707
39124 소개팅녀가 바쁘다는데 쉴드치는거죠? [15] 비로거할래요 2013-12-16 1707
39123 남성에 말못할 문제가 있어요(18금) [28] 자포자기 2011-11-03 1707
39122 아파트 구매 관련 문의드립니다. (전세권, 근저당 설정 매물) [4] 無간지보더 2011-03-25 1707
39121 아웃백 메뉴 추천 좀 해주세욧 [6] +_+~ 2010-12-17 1707
39120 슬로프 추돌사고로 형사고소한다는데요... [25] 대명 2019-02-19 1706
39119 인대 회복에 좋은 주사나 약 추천좀욤 ㅠㅠ [19] 미스타촤 2017-12-02 1706
39118 여친몬 부부이신분들 스키장 몇회 출격 하세요 ? [35] 1년차발목골절 2016-11-02 1706
39117 블로그에 링크 걸기. [3] 흐음 2014-02-24 1706
39116 스포츠카 유지비는 얼마나 들어갈까요?? [6] +_+ 2012-05-05 1706
39115 기가차는 세입자...이게 맞는법인가요? [14] 호구된 집주인 2011-12-06 1706
39114 Q. 폭스바겐 딜러 또는 골프 & 제타 잘 아시는분들 대답좀 부탁드려요~ [7] ㅇㅇㅇㅇ 2011-07-23 1706
39113 GIVENCHY(지방시) 판도라 백을 사려고 하는데요. [1] hare 2011-03-31 1706
39112 부자들은 전화로 닭을 시키나요? [18] 유산슬 2010-11-27 1706
39111 모바일 접속 헝글과 아이폰으로 웹캠 볼 수 있는 곳 없나요? [12] 1111 2010-11-09 1706
39110 사회초년생 신차 및 중고차 추천 [20] JMT 2019-10-01 1705
39109 컴퓨터 도사님들 i7 6700 vs i7 7700 구제품 vs 신제품 [7] 007 2017-05-13 1705
39108 다들 평균 출퇴근 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27] 나애리_931022 2017-01-13 1705
39107 야밤에 급궁금해서.... [12] 쓰노보딩 2016-11-21 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