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2013년 이후로 스키장에 못갔다가 임신 계획하기 전에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신랑이랑 하이원 시즌권을 구매했습니다. ^^


신랑은 보드 2-3번 타본 운동 신경이 아주 좋은 초보이고, 저는 08년부터 4-5시즌 탔어요.

제 실력은 데크의 완벽한 컨트롤은 안되나 완만한 코스에서 카빙라인은 보이긴 하나,

상급코스에서는 업다운이 잘 안되어 카빙라인은 온데간데 없어지는 ㅠㅠ 실력입니다.


나중에 애기낳으면 스키장에서 보드는 위험해서 스키를 가르쳐 주고 싶은데...

지금이라도 전향해서 스키를 타야될지 고민입니다. 미리 연습?ㅎㅎ


신랑은 스키도 2-3번 타봐서 스키나 보드나 지금 배우기 시작하면 다 똑같을 것 같고,

저는 스키는 한번도 안타고 오로지 보드로 입문해서 라이딩이 재미있어서... 라이딩만 했어요;;;


보드 중급 실력이면 스키도 중급으로 타려면 보통의 운동신경으로는 몇 시즌 타야 탈만할까요?


사실 2013년에 제 보드 장비도 업그레이드 다 하고, 신랑도 풀셋으로 사줘서 써먹지도 못하고 ,, 애물단지 마냥 창고에 있는데.ㅠ

아깝기도 하지만,,, 라이딩만 할꺼면 스키가 나을 것 깉기도 하고,,,뭔가 더 늦기 전에 전향을 해야되나 고민입니다....


지금 저희 상황이라고 하면,,, 이번 시즌,, 스키를 배우는 것이 맞을까요?

스키를 배우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하면... 강사는 어떻게 구하고, 얼마나 (몇시간? 몇일) 배워야

혼자 스키타며 독학 할 수 있는 실력이 될까요?


참고로, 젤 친한친구 부부가 하이원 베이스인데 스키어로 스키 자격증이 있을 정도로 잘 타는데

지인 찬스를 이용한다고 할때.. 오랜 시간을 부탁하긴 미안하고 기본만 가르쳐 달라고 하고  저희부부는 독학해도 될지..

고민이네요.


두서없는 글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진심으로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엮인글 :

샤를sb

2016.10.05 13:30:28
*.92.249.50

(여러 질문 중에 제 경험으로 알려드릴 수 있는 내용입니다.)


보드 중급 실력이면 스키도 중급으로 타려면 보통의 운동신경으로는 몇 시즌 타야 탈만할까요?

 =>보드를 타면 스키가 눈에 미끄러지는 느낌이 있어서 조금 좋기는 합니다.

     중급의 정의가 좀 애매하기는 하지만 두발 붙혀서 팰럴럴턴으로 롱턴, 미들턴으로 본다고 하면

     강습 받으면서 한 시즌이면 가능합니다.

      (숏턴은 진도는 나갈 수 있으나 어려우실 것 같구요)

까만콩♬

2016.10.06 12:23:40
*.241.147.41

휘팍만 다녀서.. 휘팍 호크 정도의 슬롭에서 자유롭게 탈 수 있는 수준을 중급이라고 혼자? 생각해보았습니다.

ㅎㅎ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jjum4

2016.10.05 14:06:49
*.125.253.10

저도 애가 어려서 스키를 태워야 할 것 같아서, 작년에 스키로 임시 전향 했습니다.


보드를 타셨기 때문에 중심에 서고, 밟을 줄 알고, 속도에 두려움이 없기 때문에 금방 배우실 겁니다.


저는 정기적으로 시간을 내기 어려워서 비정기적으로 웰xx리 근처 렌탈샵 사설강습을 이용했고, 잘 네고 하면 1:1 기준, 3시간 10만원에 강습 받았습니다.


보드를 많이 타셨기 때문에, 3시간 이면 기초 보겐에서 슈템까지 가능하고, 두 번 정도 강습 받으시면 기초페럴렐까지 가실 수 있으실 듯 합니다.


여기까지가 보드로 치면 베이직턴 이라 할 수 있죠... 지속적인 강습이 필요한 시점이구요...


여기까지 배우시고 친구 부부를 쫓아 다니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전담 강습보다는 못하겠지만, 원포인트 만으로도 자세 교정 받으면서 중급까지는 타실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런데, 급사 가면 얘기가 또 달라지고, 이게 또 나름 독특한 매력이 있어서 욕심이 생기더라구요....


타시다 보면 아시겠지만, 스키라는게 완전 자세에 살고 죽더라구요..


저는 시간적으로 많이 힘들지만 무리해서라도 시즌강습 신청 했습니다...쿠헷헷~

까만콩♬

2016.10.06 12:25:39
*.241.147.41

정성어린 답변에 감삳릡니다.

하이원 시즌권을 구매했는데... 음... 인근 경기도권 스키장에서 강사에게 2-3번 1:2 강습을 초반에 받고 하이원 가서는

연습을 하는 것으로 신랑과 얘기되었습니다. ^^


하이원에서 몇번 연습해보고,,, 친구 부부 커플(평일스키어) 한두번 보게되면 가끔 원포인트나 해달라고 할께요.. 


그런데... 스키강사 1:1 3시간 10만원은.. 어떻게 구해볼 수 있을까요? ㅠㅜ그리고 시즌 강습은 무엇인가요?


jjum4

2016.10.06 15:19:03
*.125.253.10

시즌 강습은, 각 스키장 마다 자리 잡고 있는 데몬스트레에터들이 시즌 스키스쿨을 엽니다.

보통 1회 3~4시간, 주 1회, 2개월과정으로 스쿨을 열고, 강사 수준에 따라 100~150만 정도 합니다.

하이원 스키스쿨은 잘 모르겠지만,

 http://www.drspark.net/index.php?mid=lesson&document_srl=3083327 이런 식입니다.

하이원도 있을겁니다.

사설 시즌강습도 알아보면 많이 있을 거에요...ㅎ

jjum4

2016.10.05 14:09:55
*.125.253.10

아.. 추가로, 부츠는 꼭 사셔야 합니다....


렌탈은 전혀 힘을 받을 수가 없어서, 맛보기로라도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중고로 샀다가, 중고로 팔더라도 부츠는 구매 하세요~


스키계의 헝글은 http://www.drspark.net/ 입니다...ㅎ

까만콩♬

2016.10.06 12:26:56
*.241.147.41

앗.  스키계의 헝글에서 ㅋㅋㅋ 많이 알아볼께요.

부츠는 중고로 알아볼께용.ㅎㅎㅎ 친구가 스키는 한시즌 빌려준다고 해서.ㅋㅋㅋ 부담 덜었네요

달다구리

2016.10.05 14:19:39
*.150.142.148

프리스키랑 보드 둘다 타는데(지금은 거의 프리스키만)

처음 시작할때 강사님한테 2시간 정도 A자 강습받고 시작했어요~ 그 뒤론 그냥 알아서 독학으로...

발전이 없을땐 또 강사님한테 강습받는 식으로 했고요~ 

까만콩♬

2016.10.06 12:27:41
*.241.147.41

강사분께 전일로 2-3번 강습받고 하이원에서 분노스키를 타도록 하겠습니다. 분노의 독학스키가 되겠네요. 흑흑

저 답답해서 어떻게 버틸지.ㅠㅠ

소태동비둘기

2016.10.05 14:19:44
*.16.40.226

강습은 강사에게. 잘타는 사람과 강사는 다릅니다. 수백번 강습하다보면 이사람은 어떤점이 문제인지 , 어떤방식으로 설명해줘야 하는지 감이 오거든요. 특히 어린아이나 여성입문자 강습은 비교적 까다로워서 단순히 가르치는 것 외에 추위나 배고픔같은 체력적인 부분, 잦은 실패로 인한 상실감 극복, 칭찬, 흥미 등의 감정, 정신적인 부분들도 신경써야 합니다. 많은 커플들이 스키장와서 싸우는 것 처럼 강습의 방법이 부족하다면 아이에게는 안좋은 추억이 될 수도 있습니다

까만콩♬

2016.10.06 12:29:22
*.241.147.41

ㅋㅋㅋ 맞습니다. 신랑이 테니스는 전국 동호인 탑 수준인데... 저도 신랑이 아닌 코치에게 레슨받고 있습니다.ㅋㅋㅋㅋ

더불어,, 저희 부부도 강사 섭외?해서 기초는 배우기로 했습니다!

본문에 애를 가르친다고 했는데... 잘못 썼데요. 애기랑 같이 타고 싶은것이고...

티칭코치에게 강습을 요청해야겠지요? 좋은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

소태동비둘기

2016.10.06 13:51:22
*.16.40.226

저희누나도 작년부터 첫째 준비중이라 누나생각나네요. 작성자분도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힣힣

소태동비둘기

2016.10.05 14:24:42
*.16.40.226

한가지 더하자면 아이들에게 "좋은" 강사는 스키장에 또 오게 만드는 강사입니다.

연구형

2016.10.05 15:15:30
*.111.2.124

저는 반대로 스키타다가 보드로 넘어왔는대요 보통 다른분들도 어느쪽으로 넘어가던 눈적응력들이 있으셔서 크게 고생안하시고 즐기실수있는 수준이 되시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초보기준으로 스키가 조금더 편했던것 같습니다 ㅎㅎ

까만콩♬

2016.10.06 12:30:01
*.241.147.41

신랑이 특히나 더 재미붙였으면 좋겠어요. 겨울 시즌은 스키장 가고, 봄, 여름, 가을은 테니스 치면 딱인데요..

한겨울까지 테니스만 치려고 하니..ㅠㅠ

RedMonkey

2016.10.05 15:19:09
*.6.48.109

스키만 타다가 보더로 전향한 1인입니다. 기본적으로 깊숙히 파고들기전 기본적인 감을 익히기에는 스키가 보드보다 쉽습니다. 보드 중급정도시면 스키 한시즌만 타도 충분히 중급코스까지 타실수 있을것 같아요. A자로 내려오는 연습만 충실히 하면 거기서 엣징감각은 보드보다 쉽기때문에 금방 적응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넘어지는 법부터 배우시고 일어나는 법 이렇게 배우시고 슬로프에서 부츠 탈거나 끼우는 방법을(스키플레이트가 떨어져나갈 경우 등) 익히시는 것도 중요하구요. 또한 스키는 제동능력이 중요합니다. 속도제어가 어려우면 보드는 자빠지면 되지만 스키는 자빠져도 진행방향으로 딸려내려가는 위험도 커요. 스키 초보분들은 S턴의 시작은 A자에서 시작하는 방법이 가장 배우기 빠른 방법입니다. 턴을 하면서 안쪽발을 서서히 바깥쪽 발로 당기면서 각도를 줄이는 방법이용 ㅋㅋ 결론은 한시즌만 충분히 연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드나 스키나 기본이 중요합니다 건투를 빕니다.

까만콩♬

2016.10.06 12:31:40
*.241.147.41

감사합니다. 저는 보드가 두 발이 묶여 있어서 넘어질때 너무 무섭더라구요. 공포감이..

근데 스키는 다리가 찢어져서(?) 덜 다칠 것 같았는데 그것도 아니군요..ㅠㅠ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강사님 섭외하여 기초 배우려고 합니다.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 

Dodongtak

2016.10.05 18:05:30
*.39.58.172

보드타다 프리스키한시즌타다가 다시 보드로 넘어왔는데...

프리스키를 보드실력까지 끌어올릴려면 한두시즌 허비해야하고 생각보다 프리스키가 재미없어서 다시 보드로 넘어왔습니다. 저는 비시즌에 어글 강습을 받고 입문했었고, 프리스키는 기초강습만 받고 혼자 독학했는데 크게 어렵지는 않았어요..

일단 완벽히 멈출줄만 알면 크게 문제되는것은 없드라구요 ㅎㅎ


그리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레져라는것이 즐거워야지 뭐에 억매이면 안된다고생각합니다.

시즌오픈하면 스키도 경험해보시고 보드와 어떤것이 더재밌고 즐거운지 생각해보세요

본인이 원하는것을 하면 될것 같습니다.


아이는 그때가서 생각을....흠흠흠

스키강사에게 맞기는것이 제일 좋은생각인것 같아요 저는...

까만콩♬

2016.10.06 12:33:45
*.241.147.41

제가 보드를 타도 라이딩만 하니까.. 어느순간 재미가 없어지는데 다른것은 흥미도 없고..

차라리 스키를 배웠으면 더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이왕 신랑도 처음부터 배우기 때문에 같이 전향하는게 좋을 것 같아서요~~


정말 어릴때는? 불타오르게 스키장 제집 처럼 들락날락 거렸는데... 어느순간 ... 재미없어져서.ㅎㅎㅎ

스키에 재미붙여 어릴때의 열정을 다시 느껴보고 싶네요^^

똥싸는꼬마

2016.10.06 11:06:48
*.41.197.253

저희 신랑 보드 10년타고, 스키로 2년전 전향했습니다.

아이가 보드 재미없다고 스키를 타니 부모중 한명은 스키를 타야할것 같아서요!!

전 아직도 보더이긴 하지만.. 시즌 초와 시즌 말에는 스키를 탑니다.

우선 저처럼 스키를 경험해 보시고, 보드를 탈지 스키를 탈지 결정 하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타기 위해 스키를 배우실려고 한다면 프리스키보단 인터스키를 타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런데.... 너무 일찍 고민하시는것 같아요!!

아직 아이도 없으시고, 아이 낳아도 5~6년은 못 타실텐데요.....^^


까만콩♬

2016.10.06 12:21:50
*.241.147.41

조언 감사합니다! 신랑은 스키나, 보드나 완전 초짜라서...뭘 타게 해야될지? 고민되서...

보드 몇번 배웠다가 또 스티 타게 되면 힘들 것 같아서 미리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

보드 장비는 냅둬야겠네요.. 혹시나.ㅎㅎ


callsign

2016.10.06 15:41:54
*.148.206.119

아이를 5살에 스키 입문시켰습니다. 그뒤엔 아빠가 보드타니 애들이 다시 보드타겠다고...(그동안 시간과 돈이...ㅠㅠ)

제가 스키를 배운건 똑같은 이유에서였습니다. 2시즌동안 틈틈이 강습받아가며 타니 스키레벨1은 패스할 실력이라 하더군요.

그런데 미리 고민이세요. 타고싶은거 타시다가 나중에 애가 타고싶어하면 하네스 정도 잡아줄 실력만 되시면 됩니다.^^

그라우스

2016.10.07 23:14:06
*.36.130.201

프리스키 추천드려요 인터말고...
매번 바인딩 묶느라 궁디가 마를날이 없으셨죠? 스키타니 엉덩이가 안시려워서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434
6084 가사도우미 [16] mr.kim_ 2015-12-21 1974
6083 시급계산 부탁드려요.. [8] 마트조져볼까 2016-04-27 1974
» 스키와 보드 둘다 타시는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23] 까만콩♬ 2016-10-05 1974
6081 친한 여자와 친구가 결혼합니다. 호칭이 어떻게 되나요? [29] 돌연사 2017-10-11 1974
6080 클럽 자주가시는 분들 질문좀 드릴게요 [10] 유령보드 2010-11-13 1975
6079 평상복(회사,친구들만남,데이트) 으로 무리일까요? 솔직히 창피해요? file [30] 슈슈님ⓥm~ 2011-08-23 1975
6078 사람 얼굴 타투 잘하는데 어디 없을까요? [8] 타투 2016-04-25 1975
6077 [일본만화]재미있는 만화 추천 좀 부탁드려요 [21] 만화 2017-04-15 1975
6076 이전에 헬스남 관심잇다구 글올렸는데요ㅜㅜㅜ [34] 안뇨옹 2018-11-09 1975
6075 GV80 vs 6GT [15] 앙살가비 2020-06-21 1975
6074 나이키 에어맥스 신발 에어 터졌는데요. [10] kim, yangkee 2011-11-24 1976
6073 남자분들께. 질문이있어여!! 19금 [14] 이야기 2013-08-06 1976
6072 33살 뭐 먹고 살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14] 자살특공대 2014-12-19 1976
6071 재벌 2세, 3세들은 창업주보다 능력이 부족할까요...? [10] ...? 2016-05-06 1976
6070 코인 빨래방 이용해 보신분 계신가요? [5] 간지스머프 2016-05-24 1976
6069 보통 중고등학교때 [25] 궁그미 2016-06-01 1976
6068 와이파이 싱글 이건 뭐예요? [3] BINGO 2011-07-14 1977
6067 suv 차량 의견좀 주세요.!!! [22] 1120 2012-02-15 1977
6066 썬팅새거했는데 후방에 먼지 ㅠ file [4] 보드짱~! 2016-02-20 1977
6065 중고 냉난방기어때요?? [4] 보드짱~! 2016-04-11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