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결론,

자신의 근력을 통한 스티어링을 통한 데크 휨의 정도를 넘어선 하드한 데크로는 숏? 카빙이 불가능하다.


쪼금만 프레스가 가해 져도 휘어져버리는 데크는 카빙시 프레스에 의한 휨과 에지,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탄성과 리바운딩?을 가져오기 힘들 것이겠지만,

  너무 하드한 데크는 턴시 스티어링과 업 웨이팅으로 눈속으로 엣지를 박아 골반과 무릅으로 눈을 파듯이 돌리는 카빙 턴을 만들기에 쫌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위 숏 카빙은 다운 언 웨이팅과 스티어링 사용을 전제한, 특히 중상급에서소 속도 control과 관련되어 말하는 것입니다.>
  <특히 데크의 엣지그립력과 몸무게 및 웨이팅 기술에 의한 데크 눈 속으로 파묻기와, 강한 무릅 골반 스티어링을 통한 데크 휘어 턴 하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

프레스는 결국 속도에 따라 턴시 원심력에 의해 결정 될 것입니다.
빨리 가다가 과격하게 턴의 반경을 줄 일 수록 프레스(원심력)는 엄청 날 것입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숏 카빙을 하기 위해선, 엣지 체인징과 인클레이션? 엥귤레이션, 무릅(전신) 스티어링과 업 웨이팅을 해서 데크를 눈속에 박으며 휘어놓아야 합니다. 특히 무릅 상체운동 스트어링으로 세로방향 뿐만 아닌 가로방향으로까지 휘어 데크를 턴의 중심쪽으로 밀어붙여? 야 할 겁니다.

근데, 하드할 수록 좋다는 것이, 엣지 그립력과 흔들림이 덜하는 속성(더 있겠지만 일단 무시)을 빼곤, 숏턴시 일정이상 프레스로 데크를 세로방향으로 휘고, 스티어링으로 데크를 비틀듯이 가로방향으로 까지 휘어야 할텐데,,,

그렇다면, 속도를 주다가 턴으로 데크를 휜다고 한들, 그것은 프레스에 의해 데크가 만드는 턴 반경을 따라가는 셈이고, 그것만으로 자신이 느끼기에 충분한 숏 컷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그 이상을 휘기 위해서 자신의 몸의 힘?(주로 스티어링과 순간 업웨이팅이 될 것 같은데,) 혹은 움직임? 으로 휘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 데크에 원하는 숏 컷을 만들기 위한 추가 휨을 주기에 자신의 힘이 이 미치지 않는다면, 결국 그 데크는 나한테 너무 하드하다고 할만하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닐까요?

   속도에 따른 프레스로 인한 휨 만으로는 극히 하드한 데크로 상급 코스에서 충분한 턴을 만들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추가 휨성을 자신의 힘?으로 만드는 것인지, 특정 몸의 움직임과 몸의 중심의 급격한 쏠림에 의한 프레스 중심의 위치 변화로 만드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너무 하드한 데크는(많이들 카빙 머쉰, 속도를 내다 카빙 턴을 주면 리바운딩이 엄청나 무름 스티어링 조차 얼떨결에 되는) 숏 카빙을 하기에는 특히 상급 슬로프에서는 무리가 아닌 것인지 생각됩니다.

   결국 자신의 몸무게와, 스티어링으로 추가로 보드를 휠 수 있는 근력을 벗어난 너무 하드한 데크로는 숏 카빙은 불가능하거나 너무 힘들다. 그러니 너무 하드한 데크는 오히려 이런 CONTROL 부분에선 안 좋으니, 데크를 바꿔야 한다. 는 결론이 나옵니다.
물론 삶아서 푹푹 죽은 콩나물 마냥 너무 쉽게 휘는 소프트 데크는 아니어야 겠지만요.

   위에서 말한 추가휨(맥락상 어떤 움직이나 데크의 활동을 말씀하시는지 아시리가 생각하고)이 몸무게 혹은 근력과 관계가 없는 것이라면, 몸의 중심점의 율동만으로 가능하다는 말이 나오는데, 그것은 힘들 것 같습니다.

   제가 틀릴 수도 있으니, 이 칼럼에대한 고수님의 평도 듣고 싶네요.

   특히 하드한 데크로 몸무게도 별고 안나가는데 맘껏 다운 언 웨이팅과 파워풀한 무릅? 스티어링을 통해 숏 카빙을 구사하면서, 턴의 초반부터 눈속으로 데크를 파묻어(이게 맞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결국엔 턴 후반부엔 눈을 파버리는 듯한 공격적인 턴을 구사하는 고수님께. (중)상급슬로프 역시 가능해야함.  


   P.S 끝에 고수의 의견을 부탁했지만, 거 빼면 그냥 칼럼이라고 얘기할 수 있으니, 이곳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진짜 무지막지한 하드한 데크를 뜻하는 것이 아닌, 라이딩용이으로 무척 하드한데, 그러나 그걸로는
         미들턴 카빙은 가능할 지언정 위에서 말하는 숏 카빙이 힘들지 않냐는 것입니다.  
엮인글 :

울라라

2009.11.17 12:22:46
*.125.73.236

상체의 스티어링보다 보드에 빠른 전달을 위해 하체 스티어린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상체의 뒤틀림으로 보드에 회전을 전하면 조금의 딜레이 시간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하체로 스티어링을 하면 바로 보드에 전달이 되지요..
하체 스티어링 때문에 보드에 힘이 전해지면 되는 것이지요... 그 휨정도는 보드의 플렉스에 따라 다를 뿐입니다..
완벽한 카빙은 없습니다... 눈의 설질 경사도 속도 라이터의 하체힘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순간 순간 약간의 슬라이딩과
카빙이 가능하면 비로서 즐거운 라이딩이 아닌가 합니다...

카빙턴과 슬라이딩 턴의 차이를 다른턴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슬라이딩턴의 자세에서 엑지를 조금 더주고.. 선행되는 스티어링을 조금만 덜 주면 그것이 바로 카빙턴입니다...
결국 처음 배운 너비스턴의 자세에서 모든 턴의 시작과 끝이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volcomsnow

2009.11.17 12:37:53
*.120.95.192

그래서 데크의 한계체중 범위를 만든게 아닌가요,...?

진광마

2009.11.17 15:08:32
*.218.236.121

카빙은 본질적으로 다리를 오므리는 무릎 스티어링으로 하는게 아니라 몸의 체중과 속도가 데크에 가해지는 힘으로 휘게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하드한 데크여도 일반적인 몸무게를 가진 사람이 카빙을 하면 휠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한계체중이라는게 있는 것이고
본 칼럼의 내용대로라면 데크의 적정 무게에 미치지 못하는 가벼운 몸무게의 사람이 엄청 하드하고 긴 데크를 사용하였을 때나 나올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데크의 최소요구 체중이 150이상은 보통 48kg에서 부터 시작하니까 일반인이라면 데크의 최소요구 몸무게보다
적게 나갈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50kg의 체중을 가지고 153 이상의 데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요...
카빙시 하중은 노즈 => 허리 => 테일로 이동되기 때문에 무릎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속도나 몸무게에 의해서 충분히 휩니다.
만약 반대로 한계체중을 초과한 상태라면 데크가 과도하게 휘기 때문에 슬립이 날 확률도 높아지고 라이딩 자체가 상당히 불안정해지겠죠.

좋아!

2009.11.17 17:56:11
*.189.124.101

그래도 오랜만에 기술적인 칼럼인것 같아 반갑네요. 정말 시즌은 시즌인가 봅니다.

고고씽~!

2009.11.17 18:13:47
*.205.14.143

데크 기준으로 한계체중을 초과해 라이딩을 할시는 데크가 정말로 쪼개지나여???

leeho730

2009.11.17 20:15:34
*.23.218.211

고수는 아니지만서도...

글쓴이의 의견에는 100% 동감합니다.

하드한 데크는 레이스 카빙에는 유리할지 몰라도, 프리카브 등에는 별로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보드 구부리기 너무 힘들어요 ㅠ.ㅜ;

플렉스는... 데크 사용자의 실력, 몸무게, 스타일, 설질에 따라 바뀌죠.

실력이 좋거나 몸무게가 높거나 설질이 좋으면 좀 더 딱딱해도 되고,

실력이 별로거나 (저처럼 -_-ㅋ) 몸무게가 가볍거나 강설이면 부드러운 게 좋겠죠.

너무 소프트하면 숏카빙시 너무 휘어버려서... 속력이 낮을때는 괜찮겠으나 속력이 붙으면 곤란하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역시 뭐든지 적당한 게 가장 좋은거 같습니다 ^^;

람보르

2009.11.17 20:39:02
*.109.153.93

")") 역학적으로 봐도.. 한계체중을 한번만 넘는다고 쪼개질 일은 없을겁니다.

한계체중을 넘는 체중을 꾸준히 지속적으로 가해줫을때 쪼개지게 될겁니다.;;;

Ricky

2009.11.17 22:46:06
*.130.22.119

아.. 좋은글 감사합니다~ ^^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아무리 몸안의 내력과 몸밖의 외력을 사용한다고 해도 컨트롤능력에서 벗어나는 딱딱한 데크는 사용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적당한 보드가 최고입니다~ㅎㅎ

대장곰보더

2009.11.18 00:20:20
*.117.29.17

일단 고수는 아니지만 한마디 하고 가겠습니다.
스키에서 일반적으로 숏턴이란 상체를 계곡쪽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무릎을 기준으로 턴이 그려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물론 탑컨트롤과 테일컨트롤에 의한 방법은 차이가 있지만요.
그것도 최근에는 유행이란게 바뀌어 골반을 기준으로 좀더 스케일이 큰 숏턴으로 바뀌었습니다.
보드에서도 마찬가지 인것 같습니다.
숏턴이나 모든 턴에서와 마찬가지로 데크 혹은 플레이트를 눌러 거기서 오는 탄력을 크로스 언더를 통해 다음턴에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거기서 오는 리바운딩에 실린 힘을 다음턴으로 좀더 쉽게 가져갈수있고, 그 힘으로 인해 더 많은 가압을 주게되면, 데크나 플레이트 역시 휘게 할수 있습니다.
글쓴이분이 쓰신글에서 업언웨이팅과 스티어링외에 고관절을 쓰는 방법을 병행한다면 조금더 쉽게 숏턴을 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자기 근력을 넘어설정도의 하드한 데크는 이제껏 타보지 못한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만한 데크가 있다면 분명 사용하기 힘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급경사에서의 카빙을 말씀하셨는데 급경사에서 턴호를 조금 줄인다면 카빙을 하면서 충분히 내려올수 있습니다. 물론 이건 글쓴이님이 말하신 자기가 컨트롤 하면서 내려오는 숏턴에는 포함되지 않겠죠.
회전에 유리하다는 스키 역시 급경사에서는 카빙숏턴이 완벽하게 안됩니다 슬립이 생긴다는 말이죠.
그래서 스키 레벨 테스트를 볼때에도 카빙숏턴은 준경사에서 보는거죠.

Boogie

2009.11.18 00:43:38
*.197.207.75

저역시 라이더 스펙과 사용목적에 맞는 보드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허나 제 생각엔 하드한 녀석으로 숏카빙을 하고자 한다면 몇가지 기술적인 방법이 좀더 필요 하지 않을까 싶네요

제가 생각하는건

1. 스탠스 폭의 차이가 하나 입니다
스탠스 폭이 넓기 보다는 폭이 좁을수록 (지나치게 무한정 좁은게 좋다고 말하는것이 아님) 프레스의 가압점이 보드의 중심으로 모이게 되고
보드의 휘어짐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부작용으로는 라이딩시 무릎이 흔들리고 앵글레이션이 약간 줄어든다는것이 있네요

2. 포지셔닝 기술의 구사가 있을거 같네요
보드의 휘어짐이 아닌 뒤틀림은 스티어링, 로테이션이 과도 할수록 잘 이루어지는데
일단 무릎이 아파요 ㅠ.ㅠ
그리고 하드한 데크일수록 뒤틀림은 적게 되더군요
주지하시다 시피 뒤틀림이 클수록 턴의 시작이 안정적으로 되는 느낌이 있는데요
로테이션,스티어링의 한계를 보완해주는것이 포지셔닝인거 같습니다.
턴 시작부에서 무척이나 엣지가 잘 박히더군요

3. 타임앤 코디네이션
횡g(원심력) 를 많이 이용할수록 숏턴이 더욱 잘 되어지는데
턴의 정점에서 언웨이트 턴의 특성상 점프를 뛰는 느낌이 있습니다 (엣지 체인징 타이밍을 더욱 빠르게 가져 가려면 필요 불가결 한듯 싶습니다)
즉 횡g + 점프 반발력이 더해질경우
무지하게 보드가 휘어집니다..
이때 턴이 터지기 일수인데.. 위에 두가지가 클리어 되고 (충분한 엣지 그립력 확보가 선결).. 비시즌에 스키니진따위는 거침없이 포기한 불타는 스쿼드 운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ㅠ.ㅠ

고수도 아닌데 어줍잖은 글솜씨로 설명하려니.. 많이 실력이 달리네요
제가 좀 .. 언웨이트로 미칠듯한 에어투 카브를 즐기는걸 조아 하는지라..
그냥 습자지적인 생각을 정리 해보았습니다..

에디게레로

2009.11.18 09:21:01
*.196.247.204

저도 고수는 아니지만 초보분들께서 한번쯤 읽어봤으면 싶은 글이고 리플들 입니다.
무턱대고 사는 데크들과 폼만을 중요시 하면서 충분한 보드의 이해력 없이 상급라인을 타려고 하는 분들에게
한번쯤 읽어봤으면 싶네요~

보드

2009.11.18 10:05:41
*.76.115.35

이론적으로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마지막에 적으신 무지막지한, 말도 안되게 하드한 데크가 아니고 라이딩용으로 나온것으로 한정을 한다면,
한계체중에 안가더라도 속도와 원심력, 순간적으로 눌러주는(다운) 힘으로 숏카빙이 충분합니다.

수월하게 되느냐 안되느냐 차이지, 안되는건 없습니다.

PS
진광마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일반적인 조건이라면 카빙시에 일어나느 속도와 원심력만으로 하드하든 안하든 다 휘어집니다.
말도안되게 하드하고 긴 보드를, 특히나 몸무게가 가벼운 보더가 탄다면 칼럼 주제에 걸맞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리라 봅니다.

1234

2009.11.18 11:32:22
*.171.199.253

진광마님~~ 오랜만에 보이시네요~~ㅎㅎ

진광마

2009.11.18 17:32:05
*.218.236.121

") 제가 요즘 사업확장으로 좀 바빠가지고 자주 못들어와요. 그래도 꾸준히 글은 읽고 가끔 리플도 남겼었는데 ^^;;

1234

2009.11.18 17:44:09
*.171.199.253

'') 진광마님.ㅋ 00년 부터 헝글 쭉 보면서 그래도 기억나는 닉네임이 몇몇 있었는데 그중에 한분이 안보이시다가 보이시길래 반가워서 그랬어요,,ㅎㅎㅎ

제가 헝글 을 요즘 별로 안하다 보니 ,ㅎ ㅎ 방갑습니다~~ *^^*

스크래치

2009.11.18 18:45:37
*.230.66.130

마치 길고 딱딱한 알파인 보드로는 알리 못친다는 논리와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데크이 특성상 체중이동과 작은 힘 만으로 그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만..

┓푸른바다┏

2009.11.20 09:32:26
*.207.214.59

데크의 하드함보다는 데크의 길이와 관련이 있는듯.
하드한 데크라도 길이의 차이에 의해서 숏카빙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알파인보드는 슬라럼데크와 대회전데크를 구분해서 타죠.. 물론 재질은 다르겠지만.
데크가 길수록 직진성에 유리하고
데크가 짧을수록 턴에 유리하겠죠.

카릴

2009.11.20 11:47:39
*.94.110.213

대장곰보더님. 탑컨트롤과 테일컨트롤의 효과를 쪼금만 말씀해주세요. 들으니까 턴 시기에따라 둘을 섞어쓰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탑컨트롤로 턴반경을 축소한다고 생각했습니다.(체중은 뒷발에. 물론 몸동작과 연결이 되어있겠지만요.)
크로스언더가 뭔지 몰라 찾아봤습니다. 이런 숨어있는 비밀이 있었군요. 머리를 텅 맞은 느낌..
리바운딩과 크로스언더, 무릅스티어링 업 웨이팅, 탑컨트롤과 테일컨트롤이 하나로 묶이는 느낌입니다.
대장곰보더님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leeho730님. ricky님. 많이 뵌 분네요. 이곳에서 ㅋ. 특히 leeho730님의 크로스언더 글은 오아시스였습니다. 지금의 제겐 숨어있는 비밀을 풀수 있는ㅋ

WIRED님 첨언 부탁드려요.-

비로거

2009.11.22 08:17:52
*.137.100.52

제목에 답변을 달자면 가능합니다.

헌데 상당히 하드한 데크로 숏카빙을 구사하면 강한 프레스후에 돌아오는 강한 리바운드로 에어투카브가 되기 쉽습니다.

하드한데크는 다루기 어렵고 하체힘을 많이 필요로 하지만 일단 힘과 실력으로 제압할수 있게되면 그것만큼 재밌고 강력한게 없지요.

플라잉권

2009.11.24 00:07:02
*.224.142.68

상급데크를 사보려고 했는데 다시 한번 생각하게하는 글이네요..^^
예전 극강으로 하드하다는 데크를 한번 탔다가 좌절을 느낀적이 생각나네요..(데크이름이 바탈레온 모시기였는데..생각이 안나네요..)
길이는 152 데크로 제키와 맞았는데 제몸부게 다리힘을 생각못했네요..(제스펙은 참고로 173에 59입니다)
그때 당시 탈때 글쓴분께서 언급하신 현상과 똑같았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ooo

2009.11.24 08:28:39
*.193.53.93

아.. 대충타면 되지,, 마일리지 쌓이면, 다 해결 되는 일입니다..

꼭 오타쿠같아..ㅋㅋ 하드하건 소프트하건 적응하고 타는 거죠..ㅋㅋ

피아

2009.12.11 22:13:37
*.114.247.152

아직 글 읽기 전인데 제목만 보고 일단 동감합니다. ㅎㅎ 긴데크 타보신 분들은 아실꺼에요~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