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수축에 따른 세가지 운동양식

1. 등장성(isotonic) 운동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저항)가 일정한 상태로,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운동. 중력 물체를 지탱하고자 할 때 힘은 중력고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물체의 무게가 클수록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중력을 극복함에 따라 근육은 길이가 변하면서 수축한다.
1)구심성 수축 - 중력을 이기고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하는 경우
2)원심성 수축 - 중력은 이기지 못하나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수축이 이루어지는 경우

2. 등속성(isokinetic) 운동
관절각이 동일한 속도로 운동하는 수축. 특별히 고안된 장비를 이용(사이벡스, 미니 짐 등)하기 때문에 움직임의 속도가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훈련자가 가능한 최대 속도로 동작을 수행할 때 동작의 전 범위에 걸쳐서 근장력이 최대가 되고 움직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해 후 재활 훈련에 많이 이용된다.

3. 등척성(isometric) 운동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정적인 근수축이다. 이 운동에서는 고정된 봉이나 벽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저항력으로 사용한다. 쉽게 움직이지 않는 벽을 미는 행위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등척성 운동은 시간 소요가 적고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어느 장소에서나 행할수 있고 근통증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각 근수축 비교>

                                등장성       등척성       등속성
근력 증가율                나쁨          좋음          뛰어남
지구력 증가율             나쁨          좋음          뛰어남
운동 시간                   뛰어남       나쁨          좋음
특수한 동작 적응력      나쁨          좋음          뛰어남
근육통이 최소화          좋음          나쁨          뛰어남
  
4. 스노보드와 근수축 운동양식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이 주로 사용되며, 업 언 웨이트나 다운 언 웨이트가 모두 적용된다. 특히 다운 언웨이트 때 원심성운동 후 구심성운동이 일어나는(발을 몸밖으로 밀었다가 접어주는 동작)운동장면, 이때 가장 큰 힘을 낸다(추후 자세히 설명).

엮인글 :

배반의장미

2010.01.19 22:58:01
*.205.131.122

문박사님 글 다 읽어봤습니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십몇년전에 예과때 생리학시간에 배웠던 적이 있는데도 잘 이해가 가질 안습니다. ㅠㅠ

문박사

2010.01.20 13:20:02
*.202.162.30

배반의 장미님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라이딩시 질적인 측면에서 나름 중요한 부분인데 이 녀석은 인기가 좀 떨어지네요

소담

2010.01.22 17:07:47
*.232.201.88

아......어렵다..........ㅠ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