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이번 글로 라이딩에 대해서 좀더 생각하면서 탈 수 있는 계기를 가지고 싶었습니다.


보드 접한지는 3시즌째인데 그냥 막데크로 막타왔습니다.


카빙이라는 것도 어느정도 할줄 알지만 카빙에대해 깊숙히는 모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칼럼도 많이 읽어봤구 이해하려고 노력했으나 읽는 도중에 이해를 잘 못하겠더라구요.


그래서 직접 여쭙니다.


그냥 막타는 것 보단 알고 타는게 아 내가 이렇게 타구있구나 라는걸 깨닫고 싶었습니다.


카빙의 종류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테크니컬 라이딩이라는 건 어떤걸까요?? 요새 테크니컬 라이딩 많이 타시는 것같아 칼럼 다읽어보았는데 역시나 이해가 안되는군요..


그리고 가장 궁금한건 이질문입니다. 이질문은 사진첨부에 대한 질문입니다.


라이딩할때 무릎을 굽혀주면서 프레스를 하는게 아닌가요?? 위의 사진은 무릎을 별로 굽히지도 않은 상태에서 엄청난 기울기 턴을 보여줍니다. 그게 좀 의아합니다. 말씀드렸다시피 라이딩에 대해 잘 모릅니다. 제가 잘못 알고있는 부분이 있더라면 가르쳐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혼랑

2016.11.19 12:44:33
*.34.167.68

누구나칼럼에서 Lunatrix님의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인클리네이션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앵귤레이션

보시면 조금 이해가 되실꺼 같아요-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3:05:02
*.130.80.183

정독해보겠습니다!

큐이이

2016.11.19 13:11:40
*.111.6.112

인클빼고타세요ㅎㅎ
앵귤로 인클은 결정되는거지
내가 인클을 결정하는게아닙니다
인클은 슬로프 속도 각도 앵귤 셋팅에등등등에따라
결정되는겁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3:24
*.7.51.72

아하 감사합니자!

엌.

2016.11.19 13:13:03
*.36.134.11

무릎을 굽히고 벽에 기대보세요 힐턴하듯이
그리고 무릎을 피시고 같은 높이로 기대보세요
어느것이 엣지각이 높은지 이해가 되실겁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4:02
*.7.51.72

안해봐도 이해가 되는 기분이네용..

하늘_92

2016.11.19 13:40:16
*.7.59.163

한줄의 글로 정리되면 좋겠네요ㅠㅠ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4:49
*.7.51.72

저도 노력해봤지만.. 최선이었네요 ㅠㅜ

지나가다가...

2016.11.19 13:42:15
*.33.160.94

역시나 힐턴이 고민이신군요...
저고 한참이나 고민했던 문제이고 이직도 고민중입니다...

우선 출발점을 잘 잡아야하는데요....

힐턴시.... 소위 말하는 다운이라는것의 정의부터 잘잡아야ㅜ한다고 생각됩니다...

다운, 프레스, 엥귤레이션, 플렉션.... 등등 여러 용어로 불리고 있는데요..
저는 슬면과 대크가 이루는 각을 엣지엥글이라 하고 예전에 불리던 다운이라는 것을 플렉션 이라 부르고는 있습니다

플랙션시 몸의 자세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한다면 우선 플랙션이 무었인가, 역활이 무었이며, 데크와 설면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민해보아야 답이 나올것 같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플랙션이 무엇이냐? 라는 것에 저는 많이 답답했습니다...
1. 단순히 낮아져 있는 자세를 말하는건지..
2. 몸이 낮아지는동안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사용하는것을 말하는건지....
3. 낮아진 직후 몸이 낮아지는 움직임이 멈추면서 발생하는 반작용 같은 에너지를 이용하는것을 말하는건지...
어떤것을 플랙션 (혹은 다운)이라 지칭하는것인지 모르겠더라구요...

사실...이 모든 것들이 턴에 각자의 역활을 하겠지만요

저같은 경우는 우선은 자세에 초점을 두고 생각했습니다.

몸을 뻣뻣하게 세운 후 기울이게 되면(일클리네이션) 데크와 설면에 각(엣지엥글)이 만들어지겠지요... 그러다 일정량이상 기울이면 (무게중심이 일정량이상 엣지에서 멀어지게 되면) 넘어집니다.
넘어지기 직전의 인클레이션에서의 엣지앵글을 생각해 보고가기에 플랙션을 줌면(관절을 접에주게되면) 좀 더 많은 엣지앵글을 만들수 있게 되지요...
이러한 이유로 다운(플랙션)의 역활 혹은 기능은 엣지엥글을
더 많이 만들수 있게해주는 작업이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낮아져있는 자세 자체(아까1번이라 지칭하였던 것은)는 턴하는 과정중 안정성에 기여를 할 수는 있겠으나 턴을 유발하는 요소라 볼수 없는게... 직활강하던 중 몸을 낮게해서 (혹은 앉아서 탄다한들)탄다한들 턴이되지 않겠지요...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힐턴시 무릅에 대해 화두를 주셨는데요...
기본적으로 토턴시에는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이 세관절 모두 엣지엥글을 세우는데 고움을 주는 방향으로 움직일수있습니다만..
힐턴시에는 무릅을 굽힐수록 엣지엥글이 감소하게 되지요..
앞에서 주저리주저리 떠들었던것이 요얘기를 하려고 했던겁니다...
위에 올려주셨던 사진 에서 나머지 그대로 두고 무릅을 굽힌다고 생각하고 봐보세요 엣지앵글(설면과 대크가 이루는 각) 이 감소하게 될것입니다...
또 저자세에서 고관절을 쭉펴서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면 무게중심이 데크와 너무 멀어져서 넘어지겠지요...

힐턴에서 저런자세가 나오는것은요.. (제생각에는)
무릅을 아예 뻣뻣하게 쫙 필수는 없겠지만..
최대한 펴서 엣지엥글의 감소를 막고...
하체부분을 체대한 눕히되 고관절을 접어서 무게중심이 데크에서 멀어지는것을 줄여서 넘어지않게 만드려고 하는것이라생각됩니다..


헥헥... 핸드폰으로 적으려니 힘드네요~~
필력도 달려서 ㅠㅠ

서로 얘기하면서하면 금방 끝날것을...^^;;

아둔하지만 나름 정리하고 이해한 만큼만 적어 봤습니다~~~
이게 정답이라는거는 아니고요..
아.. 제는 저렇게 생각하는구나.. 쯤으로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6:13
*.7.51.72

왘 이런 답글을 바란건 사실이었습니다. 정독하고 이해해서 잘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사인볼트와너트

2016.11.19 13:54:38
*.238.124.164

간단하게 무릎을 펴게되면 굽힌것보다 엣지각이 더 많이 서게됩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6:37
*.7.51.72

그런것 같군요!

우사인볼트와너트

2016.11.19 13:55:39
*.238.124.164

소위 말하는 테크니컬 라이딩은 린아웃 일거구요. 린위드,린인으로 라이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7:03
*.7.51.72

칼럼을 더 잘 읽어봐야겠어요유

지나가다가...

2016.11.19 13:59:45
*.33.160.94

아참 2. 3. 요소에 대해서도 얘기해보려면 너무 길어질까봐 살짝 넘어갔습니다..

말씀드린 것은 기본적으로 덕스탠스를 중심으로 한 것이고요
전향각(테크니컬라이딩)에서는 다른 요소가 더 강하게 작용할수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웨이트디비전 같은 문제인데요...다운을 할수옥 뒷발에 무게가 더 실릴수 있고 이것이 턴에 어떠한 여향을 주는지 등등요...
테크니컬라이딩은 못하고 안해봐서 이 부분에 대한 것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매너가사람을만든다

2016.11.19 15:17:36
*.7.51.72

증말 감사합니다!

우사인볼트와너트

2016.11.19 16:10:42
*.238.124.164

하나만 더 적을게요 다운프레스 라는것에 대해 너무 집착하지 마세요..

횡G를 데크에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에 집중하세요.

사람이 아무리 눌러도 중력가속도+횡G를 넘어설수 없습니다.


중요한건 내가 진행하는 속도와 그에따른 무게중심 (린인,린위드,린아웃)


재활은보드

2016.11.19 19:02:15
*.62.229.184

혹시 린인의 장점을 알수있을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