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스킹을 함에 있어서 부상을 막아 줄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보호장치는 바인딩이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시는 스텝인 바인딩(salomon,tyrolia,atomic,head,maker등등)이 쓰시게 될텐데

그와 조금은 다른 턴테이블 바인딩(올해부터 부활한 look과 rossignol의 fks시리즈들!)도 있습니다.

스텝인 바인딩은 레일을 통해 부츠의 아웃쉘 조절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볍습니다.

턴테이블바인딩은 지지점이 많아 갑작스러운 힘에도 좀더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지만 무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그 바인딩에서 조절하게 되는 딘이란 무엇이냐?

딘은 바인딩에서 부츠를 탈거시키는 수치를 이야기합니다.

각 브랜드 마다 아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것도 표준화로 인해 대동소이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일단 물리적인 딘 수치의 결정은 체중과 신장이 기본이 되겠지만 부츠 사이즈 또한 딘수치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외국의 친구들은 리얼센터냐 백워드 마운팅이냐 따라서 딘 수치도 조금은 다를수 있다고 하는데 그렇게까지 적용할 필요는 없을듯 합니다.

거기에 스킹 실력에 따라 조금씩 +하거나 -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피스테를 내려오는 스킹과는 다른 프리스타일 스킹에서는

표준치의 딘수치보다는 좀더 높은 수치로 셋팅해서 타는 스키어들이 대부분일것입니다.

 

딘을 조절할때는 항상 부츠를 걸어서 조절하고 앞바인딩과 뒷바인딩의 딘은 항상 같게 셋팅해주세요.

바인딩이란 장치는 앞바인딩과 뒷 바인딩의 균등한 장력으로 작동하는 장치입니다. 

앞뒤가 다를경우엔 특정 방향, 불특정한 힘, 물리를 역행한 관성-_-에 의해서 너무나 쉽게 또는 말도 안되게 분리가 안되서

부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저는 170쪼금 안되는 키에 70키로 쪼금 넘는 체중-_- 그리고 286-296정도의 아웃쉘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킹경력은 거의 20년에 가까운데 프리스킹은 8년차 정도 됐네요-_-

2002년부터 줄곳 11정도를 유지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물론 그것보다 더 높았던 적도 있는데 지금은 보통 11정도 놓고 타요.

키커에서 off상태에서 스키가 빠진다면 안빠지는것 보다 더 큰 위험을 초래할수 있더군요-_-

물론 딘 수치가 높은 만큼 넘어졌을때 다칠 가능성도 높긴한데 안다치면서 넘어지는 방법을 배우니 부상의 위험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아무튼 딘수치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꽤 많으신데

저는 남/녀 비기너라면 자기 체중을 반올림해서 앞자리 수 정도를, 어드밴스수준이라면 체중의 반올림+1~2정도의 수를 추천합니다.

보통 여느 파크의 메인키커에서 스핀을 시도하실 정도라면 10정도는 되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나중에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간간히 올릴께요.

 

더 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 http://www.newskibum.com으로!

ㅎㅎㅎ성우프리스키스쿨에 오시면 awsm코치 구창범프로에게 티칭을 받을수 있어요 ㅎㅎ

엮인글 :

_리얼뛰케

2010.12.03 08:34:15
*.154.232.102

추천 한 방!

ⓢami-ⓨo★

2010.12.03 08:39:48
*.180.216.65

또하나 딘 측정할때 신경쓰셔야 될건...

 

바인딩이 턴테이블 바인딩이냐 스텝인 바인딩(우리가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바인딩) 이냐에 따러서 딘치수가 틀려집니다.

 

FKS(로시뇰) 라는 올드 바인딩이 새롭게 제작이되서

 

 프리스키시장에 나오면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신줄 알고 있습니다.

 

프리스키의 턴테이블 바인딩은 모글스키를 주력으로 해서 나왔던 모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백컨트리용으로 사용하는건 거의 못 봤던거 같습니다. 바인딩의 성능상 잘 안맞는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 이유는 뒷뭉치가 좌우로 돌아가기 때문에 슬립이나거나 체중이 과도하게 밀렸을때 부츠 이탈보다는

 

부츠를 조금 더 잡아주는 방식의 바인딩이죠.

(초급자분들은 조금 피하셔야 될 바인딩인거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아직 프리스키에서는 이 바인딩의 치수를 어떻게 측정해서 쓰는지는 모르겠지만

 

인터스키를 봤을때는 이 턴테이블 바인딩의 매력을 느끼려면 스텝인 바인딩보다 딘치수를

 

1~2 높게 사용해야 매력을 배로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_^

 

Song_imfreeskier

2010.12.06 12:02:10
*.98.75.66

DIN=독일공업규격

이며, 스키바인딩에 나오는 수치는 모두 동일합니다.

그리고 DIN이 제대로 맞게 작동 하는지를 측정 하는것이 칼리브레이터( 버몬트 칼리브래이터 등등)입니다. 현재는 대한민국에 칼리브레이터가 있는곳이 어디에 있는지...

아마 은승표박사님이 계시는 스포메디 코리아 정형외과에 예전엔 있었으나...지금은 모르겠네요^^

 

그리고, "스텝인 보다 1-2 정도 높게 사용해야 매력을 배로 느낄 수 있다?"  저의 사용소감으로는 같은 DIN적용해도 충분 하다 라는 의견 입니다.

 

턴테이블 바인딩을 사용하는 이유중 가장큰 이유는 이른이탈을 막는다 라는 장점을 보고 사용하였습니다. 그렇기에 다른 바인딩 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하면 더 안풀리게 될 수 도 있다는 의견이구요~^^

 

(초보자가 피하여야 할 바인딩에는 같은 의견...좀 잘 잡아주는 장점!)

 

참, 프리스킹시(프리스타일 & 백컨츄리) 턴테이블 바인딩 정말 많이 사용했습니다. 모글 쪽도 사용을 많이 하였지만~

Rossignol사의 프리스키 원조모델격(백컨츄리 부분)인 밴딧(BANDIT) 시리즈가 자장 좋은 예시죠~

 

 

이동은_바닐라맨

2010.12.07 19:59:20
*.217.38.51

BANDIT 진짜 오랜만에 듣는 이름이네요 ㅎㅎ

턴테이블 바인딩이 이른이탈을 막는군요.. 몰랐습니다. 예전에 정형외과 갈 일이 있어서 은승표 선생님께 문의하니 DIN을 아무리 높여도 이른이탈을 막지는 못한다고 너무 높게 두고 탈 필요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런데 턴테이블은 구조적으로 틀리니 그게 해결되는거군요..

T.K.

2010.12.03 09:15:33
*.32.78.239

좋은 글 추천하고 갑니다.

ⓢami-ⓨo★

2010.12.03 09:32:15
*.180.216.65

저도 추천!! ^_^

요이땅

2010.12.03 09:57:20
*.205.38.218

좋은 글들 자주 부탁 드려용ㅎㅎㅎ

 

내일 성우 갑니돠~

호자

2010.12.03 10:54:16
*.64.212.80

멋쟁이!!

AJ2010

2010.12.03 11:04:41
*.113.7.24

와우!!정말 좋은정보네요!! 조금더 추가하자면 딘칫수 설정할때 자신의 다리 근력에 맞추어 셋팅하시는것도 추천 드립니다!! 더블골드 님 좋으정보 감사합니다!!!^^

Indyman

2010.12.03 11:11:44
*.105.37.56

좋은글 많이 배우고 갑니다. ㅊㅊ

쏭여사

2010.12.03 12:47:52
*.140.152.229

꼼꼼히 읽어봤어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다이렉트

2010.12.03 12:48:49
*.181.150.6

저는 7로 맞춰서 사용하고 있는데,  잘 읽었습니다.

앞뒤 똑같이 맞춰져 있는지 확인해야 겠네요.

Step uP™

2010.12.03 16:51:16
*.94.41.89

좋은글 감사합니다. ^^

김거미

2010.12.03 18:24:10
*.87.117.73

영웅씨는 모르는게 없나봐욧 ^^

http://newskibum.com/zbxe/

KAZUMO

2010.12.03 18:28:41
*.166.10.88

부츠장착 후 딘조절 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여,..?

부츠 장착 하지않고 딘조절 하면 잘못 되는것이라도..?

급 궁굼하네여..^^

더블골드

2010.12.03 21:11:09
*.130.127.80

바인딩은 부츠가 물려있을상태(on이라고 표기할께요)에서 작동하게 됩니다.

말씀드린대로 앞 뒷뭉치의 스프링이 부츠를 미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부츠on이 아닌 상태에서 딘조절을 하면 스프링이 수축해있는 상태라 조절나사가 잘 돌아가지 않을뿐더러

무리를 주게 됩니다. 그래서 부츠를 장착한 상태(스프링의 입장에선 탄력을 받을수 있는 상태)에서 조절하게 됩니다.

 

디테일한거 하나 말씀드리면 높이 조절이 되는 바인딩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살로몬 계열의 바인딩이 그러했는데요

그런 바인딩은 높이의 조절도 아주! 중요합니다. 높이또한 한계치에서 이탈을 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거든요.

 

 

이동은_바닐라맨

2010.12.03 21:20:53
*.76.16.94

참고로 이 높이 조절되는 살로몬 계열의 바인딩이라는 것이 이 게시물 위에 PIO님이 쓰신 글에 나오는 S914 시리즈 같은 겁니다. Spheric~  마침 사진까지 첨부가 되어 있어서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Song_imfreeskier

2010.12.06 12:09:44
*.98.75.66

부가적으로 한가지 더 말씀을 드리자면, DIN조절 하는것 만큼 중요한 바인딩과 부츠를 마출때의 전압 조절 또한 잘하여야 합니다.

전압(전체압력:바인딩이 부츠를 물고(누르고)있는 힘)을 잘 못 설정할 시 엔....아무리 DIN을 높여두 이른이탈과 비정상적인 이탈이 있을 수 있으며[부츠와 바인딩의 유격이 있는경우], 또는 DIN을 아무리 낮추어도 이탈불가 또는 정확한 이탈시점에서 이탈불가[부츠와 바인딩유격없이 너무 빡빡하게 설정해둔경우]

 

입니다.

 

그럼 참고 바랍니다.

더블골드

2010.12.03 21:17:14
*.130.127.80

아 그리고 딘의 수치는 자동차  RPM의 Redzone과 같습니다.

 

15까지라고 적혀있지만 15로 높고 쓰면 불안한, 그런 물건입니다.

물론 잘 작동할테고 그만큼 사용할수도 있는 물건이지만 15짜리라면 맥시멈 13-14정도.

12가 한계치라면 10-11정도 사용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스프링이 주가 되는 물건입니다. 한계치 언더로 사용하심이 오랫동안, 잘 사용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장기간 보관하실때는 딘을 최소값으로 풀어서 보관해주시는것도 잊지 말아주세요: )

이동은_바닐라맨

2010.12.03 21:23:20
*.76.16.94

아참 예전에 박순백 칼럼에서 이렇게 장기간 보관시에 풀어서 보관하느냐 마느냐 토론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인터스키 게시판) 제가 내린 결론은 1년에 한두번이라도 가는 사람이라면 그냥 놔두셔도 된다는; 2년 넘게 보관하실 거면 푸는게 좋겠지만요. 스프링 수명때문에 그런 건데요. 10년 넘게 쓰실 것 아니면 ㅎㅎ

이동은_바닐라맨

2010.12.03 21:18:12
*.76.16.94

추천
1
비추천
0

와우 좋은 글입니다! DIN 12까지 되는 바인딩 모델이 14나 16까지 되는 것들보다 싸니까 비싼 바인딩이라고 무조건 사지 마시고 여러가지 조건과 자신의 스키 실력, 그리고 미래의 목표 등등 생각하셔서 구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쉐기boo-ya

2010.12.07 00:33:20
*.129.68.65

영웅아 추천한다 ㅋ

쉐기boo-ya

2010.12.07 00:33:22
*.129.68.65

영웅아 추천한다 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676
214871 바인딩 나눔 발표해요~ file [33] 달다구리 2014-10-21 14 2130
214870 비시즌이벤트)프리다이빙 무료강습 실시합니다.^^ file [59] 무쌍직전영신류 2014-02-28 14 5461
214869 오늘 용평 (그린피아) 사용하실분 계신가요? (무료나눔) [16] 우진파파 2014-02-18 14 169
214868 오유=일베=헝글? [33] 꼴깝들 떤다 2014-02-03 14 548
214867 라이딩에 기본은 속도가 아닌 속도제어아닙니까? [26] 호랑이74 2014-02-02 14 246
214866 압니다. [32] 세르게이♡ 2014-01-27 14 175
214865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아닌 스피커로 크게 음악 듣는 무개념 보더 죽순이 2014-01-25 14 285
214864 보딩접고 출산하러왔습니다 ㅎㅎ [22] 사부 2014-01-19 14 131
214863 겨울에 보드가 타고싶은 평범한 줌마의 푸념..... [20] 동네줌마 2014-01-08 14 308
214862 휘팍 에피소드 #3 머리카락.. file [24] 빈♡ 2013-12-24 14 182
214861 어제 휘팍 곤도라에서.......(부제 : 나이는 숫자일뿐...) [40] 에어울프 2013-12-17 14 522
214860 방금 휘팍입구에서 검은색 반지갑 주웠어요 [10] 뻐너 2013-12-09 14 122
214859 [나눔] 여성 보드복 file [14] 워니1,2호아빠 2013-12-02 14 156
214858 13부: 굿바이 마스터 [10] 我回在白夜 2013-11-29 14 137
214857 헝글 ASKY & CPMS 님들에게 드리는 당부의 말씀!! [17] 제발안전보딩 2013-11-21 14 159
214856 문제의 동호회 시즌방<원본글> [41] 오보이 2013-11-21 14 666
214855 [임시공지] 추천이 안되는거 같아 당황하셨죠? [11] 소년왕 2013-11-21 14 153
214854 스키장을 경험하는 초년생분께 file [28] 용평헝그리알바 2013-11-13 14 132
214853 [임시공지] 부탁드립니다 (━.━━ㆀ)rig... 2013-11-09 14 143
214852 (나눔) 막 데크 나눔 !!! file [55] 에어울프 2013-09-10 14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