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시즌권 2년차 초보이자 도넥 사버우드 유저입니다.

(전향각 42/24)


이제 해머도 어느정도 적응되고, 도넥의 설질무시 승덱감, 그립력 모두 만족하는데..

문제는 바로 사람 많은 곳, 좁은 구간, 특히 저속(처음 스타트 지점)에서의 조작성이 너무 안좋습니다. 


XLT159, 슈퍼노바162, 오피셜155, F2카본158, 트러스트154 등을 타보면서 조작성 문제를 전혀 몰랐는데

이번에 도넥 풀해머 타면서 저속에서 조작성(슬턴)이 넘 안좋네요..


프리덱 탈땐 사람이 많든 적든 신경끄고 내 갈길 갔는데..

해머로 바꾸니 요즘처럼 완전 성수기.. 슬로프에 가득찬 인파가 너무 무섭습니다..ㅠ


이거 사람이 문제인가요, 도넥이 문제인가요, 해머가 문제인가요?? 

계속 타면 적응 되겠죠..??


도넥 유저분들중 저같은 느낌을 받는 분들이 또 계실지 모르겠네요..ㅎㅎ

엮인글 :

samdasoo

2017.01.18 23:39:04
*.161.150.189

도넥은 그나마 헤머중에 다루기 편한편입니다
ㄷㄷㄷㄷ f2나 시기타보시면..

리오네

2017.01.19 08:41:03
*.221.227.91

안정감있고 편한데 슬턴이 잘 안되네요..ㅠ

상디

2017.01.19 00:23:00
*.70.55.96

전향을 조금 풀어보세요 슬턴이 조금 수월해지실겁니다

리오네

2017.01.19 08:41:49
*.221.227.91

각도빨이 좀 있는것 같기도 한데 저 각도가 젤 편하더군요...^^

FreeEdgeST-뺑우

2017.01.19 00:26:48
*.146.220.227

혹시 이전에 라운드 데크를 사용하실때도 42/24 각을 유지하셨는지요...프리데크들은 알파인보다 웨이스트가 넓기 때문에 각도가 많이 커질수록 조작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똑같은 SBX를 사용하는 보드크로스 선수들이 왜 각도를 18/0 또는 21/-3 이런식으로 사용할까요?

리오네

2017.01.19 08:44:03
*.221.227.91

아.. 보드크로스 선수들은 극전향으로 안하는군요..^^

라운드덱에서도 24/3~6 정도로 약간 전향 셋팅을 했습니다.

상체를 열고 타는 습관때문에 덕스탠스시 무릎이 아프더군요..

Passionist

2017.01.19 00:50:55
*.130.97.16

전향이 과도하신거 같습니다...

리오네

2017.01.19 08:44:26
*.221.227.91

저 각도가 제일 편해요..ㅠㅠ

므슈킴

2017.01.19 00:59:03
*.161.172.133

사람 문제 입니다.
시선에서 보이면 앳지 빼고 바로 바꿀수 있어야죠.
그거 안되면 그냥 실력탓입니다.
각도가 중요한거 아닙니다.

리오네

2017.01.19 08:47:45
*.221.227.91

드문드문 있는 정도는 별로 신경을 안쓰는데..

사람이 보이는 수준이 아니라 카데나치오일때 맘대로 질러가기 무섭네요..ㅠㅠ

베이KinG소다

2017.01.19 01:50:27
*.36.149.99

바인딩 각도에 따른 포지션의 변화도 중요한듯합니다.
우선은 사람들 사이를 턴을하며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롱턴 미들 숏을 언제 어디서든 뽑아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크를 미들턴하듯 말수있어야 하는데요.. 직진성이 느껴지신다는 말씀은 아직 짧게 말아 타시지 못하시는듯 합니다.
저도 45/36이나 54/45를 사용합니다.
극전향을 사용하실때에늠 그에맞는 네츄널포지션을 사용하셔야 원하는 턴을 그릴수 있죠..
포지션 유지하며 베이직이나, 짧게 말아올릴때까지 j턴 연습을 하시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바둑이지존

2017.01.19 04:27:47
*.109.198.25

베이킹 소다님 질문좀~

제가 해머 2년차인데  무릎 발목이 편한 바인딩 각도를 찾았는데여 그각도가 54-45 도입니다 당연 슬턴이 그전보다는 조금 힘들지만  스케이팅도 편하구 발에 통증이 최소로 덜한 각도라서 저각도를 선택 했는데 어떻게할지 고민이네염 ㅠㅠ

극전향을 해두 상관이없는지 여쭤봅니다 ㅠㅠ  저각도하고 어깨 시선 카빙 쫌 수월해졌다고 해야할까여? ㅠㅠ

159 f2 월드컵 사용중이구요 주6회 4시간씩 꼬박꼬박 연습중입니다 독학~ 베이스는 무주구요

lindt

2017.01.19 07:23:51
*.65.6.25

자기 맞는 각도가 있다고 하지만 54-45는 극전향각이네요 ㅎㅎ 알파이너들이 그정도 각도로 타던데..


이정도 고각으로 잘타신다면 아마 알파이너랑 비슷한 가압점, 스타일로 타시는 것 같은데 차라리 알파인을 가보시는게 어떨지..


일반적으로 극전향은 털리거나 사고 발생시 무릎과 발목 부상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하드부츠가 아니다보니

베이KinG소다

2017.01.19 07:54:46
*.36.149.99

안녕하세요~ ^^
제가 극전향을 선택했고 타오고있지만 주위분들 극전향타신다면 일단 말립니다.. ^^; 얻는것보다 잃는것이 더 많죠..
턴회전시에 프레스의 손실이 엄청 큽니다. 발목 무릎 관절이 비틀어 놓은 상태로 프레스를 넣어야 하기에 힘의 전달이 줄어들죠.
저같은 경우에는 네츄널 포지션을 유지한 상태로 고관절도 같이 비틀어서 프레스를 유지합니다. 그래서 좀 독특한 형태의 힐턴이 되더라구요..
문제는 토턴에서의 발목데미지 인데요.. 토턴에서 뒷발목에 데미지가 큽니다. 데크의 털림이나 작은 충격에도 아킬레스건 쪽에 무리가 올수 있습니다. 저도 작년에 너무도 고생을 했기에 주위분들 만류하는 이유가 이것이가장 큽니다.
가장 하드한부츠(전 드라이버x)사용. 발목에 흔들림을 잡기위한 테이핑. 발목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하드텅, 부츠벨트 이걸 다하고 탑니다... ㅠㅠ
하드한 부츠가 정답은 아니지만.. 데크의 특성을 생각해보면 그렇지도 않죠.
일제덱들은 토션사용이 좋게 제작이되서 발목에 무리가 덜하지만.. f2 월드컵 같은 데크는 워낙 하드하다보니 하드한 바인딩과 부츠 조합이 편하실수 있습니다. 저도 20키로 초과된 하드타잎의 옥세스를 이용 중이고요. 작년에 월드컵도 타봤구요.
요런 불편한 점을 알고.. 그래도 타셔야한다면 네추럴포지션 연습에 집중하시면 좀더 날렵하고 편안한 라이딩이 되수있습니다.
저도 부족한게 많고 아직 배워야할것이 많지만.. 제가 아는 부분까지는 공유해드릴수 있습니다. ^^;

리오네

2017.01.19 08:49:51
*.221.227.91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아직 초보라 롱턴밖에 못해요..;;;

내추럴포지션&베이직카빙 명심하겠습니다..^^

Kylian

2017.01.19 08:32:54
*.155.228.187

어마무시한 사이드컷의 영향이죵..

리오네

2017.01.19 08:50:22
*.221.227.91

그렇게 믿고싶네요..

스케이팅이 전혀 안돼요 ㅋㅋ

양파군

2017.01.19 09:09:17
*.134.234.254

연습연습연습 ^^ 됩니다요

리오네

2017.01.19 10:12:26
*.221.227.91

감사합니다.. 역시 연습!!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805